‘매각’과 ‘존치’ 사이-제1국제여객터미널 바람직한 방향은?
상태바
‘매각’과 ‘존치’ 사이-제1국제여객터미널 바람직한 방향은?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9.04.15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현안점검] 시·옹진군 -항만공사 갈등 속 ‘여론 변화’ 조짐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입구. 이 입구 왼쪽에 1터미널이, 오른쪽에 연안여객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배영수

올해 말 송도 9공구에 신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된 이후 기존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놓고 생긴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옹진군 간의 갈등이 좀처럼 봉합되지 않고 있다.
 
1터미널 부지 약 5만3천㎡를 민간에 매각하려는 인천항만공사와, 난개발을 우려해 이에 반대하는 인천시·옹진군이 장기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인천항만공사의 올해 신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되면 연안부두에 위치한 1터미널과 내항 1·2부두의 2터미널을 개장되는 신국제터미널로 이전할 계획이다. 항만공사는 현재 80%의 공정을 보이고 있는 신국제여객터미널 건립 공사가 올해 6월 말 준공되면 시범운영 절차를 거쳐 연말까지는 개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신국제여객터미널의 규모는 연면적 6만 5,600㎡규모로 축구장 아홉 개를 합친 면적보다 넓다. 따라서, 현재 둘로 나눠 있는 1·2터미널을 모두 이전할 수 있고 기존 1·2터미널 부지가 유휴지로 남는다. 2터미널이 있는 내항 1부두는 시민들에게 돌려준다는 계획이 서 있고, 관건은 1터미널의 활용 방안이다.
 
현재 1터미널 바로 옆에는 연안여객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섬 주민들이 배를 타고 오갈 때 이용하는 시설로 지난 지난 1995년 연면적 약 5,500㎡ 규모로 준공된 뒤 아직 자리를 그대로 지키고 있다.
 
지어진지 20년이 지난 연안여객터미널은 현재 여러가지 한계점이 노출돼 있다. 시설 노후화는 물론 기상악화가 빈번한 상황에서 이용객들의 편의 공간이 절대 부족하다는 민원이 일찌감치 제기되어 왔다. 규모 때문에 대형선박의 이용이 꽤나 까다롭고 정박할 수 있는 선석이 포화 상태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따라 옹진군은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등에 현재의 연안여객터미널을 제1국제여객터미널로 이전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서 편이 갈렸다. 인천시는 옹진군의 요구에 동의하고 있지만 인천항만공사는 반대하고 있이다.
 
인천항만공사의 반대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이미 오래 전에 이전 계획이 수립됐고, 중구 주민들의 의견 수렴을 거치는 등 행정절차를 충실히 이행해 왔다는 것. 다른 하나는 민간 매각을 통해 공사의 재정을 건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부지 활용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한 때는 지난 2015년부터였고 당시 시와 관할청인 중구청 및 중구의회, 주민대표 등이 모여 10차레 이상 회의를 갖고 부지 활용방안을 수립했다”며 “주변지역 경제활성화 차원에서 어시장, 해양특화상가 등 상업시설과 주택. 휴양·숙박시설 등의 용도를 지정해 매각할 게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인천시는 생각이 다르다. 항만공사가 제1터미널 부지를 민간업체에게 매각하게 되면 현재 항만으로 돼 있는 토지 이용계획은 폐지되고 일반 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변경돼 ‘난개발’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올해 초 시가 인천항만공사의 매각계획을 겨냥해 향후 2년간 단독 및 공동주택, 오피스텔, 생활숙박시설 등을 지을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긴 공고를 낸 것도 이같은 우려에서다.


제1국제여객터미날과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은 지도에서 보는 것 같이 바로 옆에 인접해 있다. (지도 출처 = 네이버)

 기자는 8일과 12일 연안여객터미널 및 제1국제여객터미널 인근을 직접 다녀왔다. 같은 사안을 두고 극명하게 갈린 지자체와 인천항만공사의 입장이 분명 민의의 전체 혹은 일부를 반영했을 거라는 판단에서였다. 인근 거주자서부터 상인, 배편 이용객 및 인근 종사자, 시민활동가 등을 다양하게 만나 봤다.
 
거주자들이나 상인들에게서는 인천항만공사의 입장에 동의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현장에서 만난 연안동 주민은 “주민들과 인천항만공사가 간담회도 자주 가졌다고 들었기 때문에, 올해 초 시가 낸 공고는 당황스러운 부분이 좀 있었다”면서 “여러 이유들이 있겠지만 주민들 중에는 시장이 교체됐다고 추진되던 사업이 뒤집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상인 한사람은  “상인들 입장에서는 민간개발이 되면 주변지역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부분이 아무래도 있지 않겠느냐”고 분위기를 전했다.
 
반면 개발지상주의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항운업계 일부에서는 반대 여론도 꽤 느껴졌다.
 
‘내항 시민답사단’ 활동을 해왔다는 한 주민은 “항만공사가 간담회 등으로 교류했다는 시민단체들은 개발에 찬성하는 편에 선 사람들인 것으로 안다”며 “개항장 일대의 역사적 흔적을 없앤 것도 모자라 개항장 경관(조망권 등)에도 큰 영향을 주는 난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지역 전반에서 반발 여론이 상당한 것을 항만공사가 외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항만업계의 한 관계자는 “민간 매각은 항만 시설 자체를 없애는 것인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지금도 연안여객터미널의 경우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열악한 만큼 성급하게 결정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현재 이 현안에 대해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기관은 바로 옹진군이다. 현재의 연안여객터미널 규모로 섬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엔 문제가 크고 이미 상당수의 민원도 들어온 만큼 군민들의 요구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옹진군이 지난해부터 장정민 군수가 직접 기자회견을 통해 1터미널 이전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다.  1터미널 기능 유지를 전제로 해상교통부서 사무실을 이곳으로 이전하겠다는 게획도 밝히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시민 및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기도 하다. 옹진군 관계자는 “서명부는 1만 명을 넘겼고 곧 해양수산부에 이 서명부를 전달해 민의를 호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옹진군은 청사 전면에 연안여객터미널의 확장이전 요구하는 현수막을 군과 군민 이름으로 걸어놓고 있다. ⓒ옹진군청


 
◆ 최근 확정된 ‘제주카페리 운영계획’, 변수로 작용할 수도?
 
이같이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옹진군의 입장이 맞서고 잇는 가운데 안천항만공사가  최근 1터미널 30m 규모의 선석 하나를 인천~제주를 오가는 카페리의 부두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2014년 참사사고를 낸 세월호의 3배가 넘는 규모의 선박을 조만간 중단된 인천~제주 항로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투입될 선박은 승객은 최대 1,500명과 차량 120대, 214TEU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이와 관련,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신국제여객터미널은 이미 선석이 모두 차서 제주카페리의 선석까지 확보될 수가 없어 국내 항로인 인천~제주 카페리는 1터미널에서 운항할 구밖에 없다”며 “민간매각을 하지만 한 선석은 제주카페리 항로에 활용해서 부두의 기능을 완전히 없애지는 않을 방침”이라고 전했다.
 
카페리 운항에 필요한 주차장이나 여객터미널 등 편의기능 확충에 대해서도 이미 계획을 세워 용역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가지, 남북관계 개선에 경협 활성화도 변수가 될 수있다. 남북 경협이 재개돼 활성화 국면에 들어서면 등이 본격화되면 인천항의 대 북한 물동량이 크게 늘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중국 항로로 신국제여객터미널의 선석이 이미 찼다면 남북교류 항로는 는 지금의 1·2 국제여객터미널이나 연안여객터미널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천항만공사가 민간매각을 당장 시행하는 것보다 항만시설 수요를 보다 멀리 내다보고 시간을 두고 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업계 일각에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게 바로 이 때문”이라며 “향후 남북관계가 더 좋아지면 지금의 제1·2국제터미널의 역할이 중요해질 게 분명한 만큼 당분간 기능 유지를 하면서 천천히 결정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