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책, 항만·산업단지... 여전히 시민 접근 막는 인천의 해안선
상태바
철책, 항만·산업단지... 여전히 시민 접근 막는 인천의 해안선
  • 윤종환 기자
  • 승인 2019.10.01 13: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녹색연합 <녹색현장포럼> 열고 친수공간 방향 모색



항구도시 인천의 해안선은 그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민들의 손에 잘 와닿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전히 상당 부분이 군철책과 제방, 발전소, 항만·산업단지, 보호구역, 철책 등으로 막혀있다는 것이다.

인천 해안선에 대한 현장조사와 시민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시민의 입장에서 '인천 해안선이 나아갈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인천녹색연합'은 1일 오전 10시 하버바크호텔에서 <2019 녹색현장포럼>을 열고 '친수공간 관점에서 본 인천해안 비전과 과제'를 주제로 인천시민·환경단체들과 의견을 나눴다.

 인천 해안선과 주변 항만·도서, 시설 등을 두루 살펴 현재 인천 해안선이 갖는 문제점과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천 시민들을 위한 해안 개선 과제를 시와 시민단체 등과 함께 나눠 고민하자는 것이 행사 취지다.  

이날 포럼에선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이 사회를 맡고,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이 '2019 인천해안선 답사 결과 발표'를, 기윤환 인천연구소 연구위원이 '친수공간으로의 인천해안선 개선방안'에 대해 각각 발제했다.

장 위원장은 지난 6월부터 9차례 진행된 현장답사와 녹색연합이 진행한 현장강좌(시설·식생·동물·환경·역사) 등을 바탕으로 조사한 인천 해안선의 길이, 시설물(철책, 제방 등), 매립지, 현재 남은 유인도 등에 대한 세부현황을 발표했다.

장 위원장은 인천 도심지역 해안선 212km 중 63.6km가 군 철책으로 막혀있으며, 매립으로 인한 섬의 역할 축소, 2m가 넘는 제방 등으로 "바다와 가장 가까운 도시임에도 소래, 월미도를 제외하면 시민들이 바다를 만질 수 없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항만 배후단지의 해안테마화, 버려진 해안 철길의 이용, 철책과 제방의 축소 등 해안 인접변과 매립 공간이 '친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이어 "해양친수도시, 해양문명도시, 해양관광도시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는 인천이지만, 현재 해안문제 해결에 관해선 겉도는 면이 있다"며, "해안을 시민에게 돌려주는 방향은 좋으나, 그 방식에선 시와 시민단체의 노력과 고민이 더욱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 연구위원은 인천 해안지역의 형성과정(지난 1899년부터 시작된 매립작업~2011년 송도유원지 폐장)과 현재 인천 해안변의 시설 및 토지소유권, 관리권한 등을 발표했다.

기 위원의 조사에 따르면, 항만·산업단지·발전소·보호구역 및 철책, 방파제 등으로 활용·접근이 제한되는 해안변은 인천 전체 해안의 약 59%다. 여기에 철책으로 인한 미관 불량과 대중교통 접근성 불량까지 합해져 인천시민의 해안변접근성 또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육상 중심의 관광시설·비정기적 유람선·해안변 보행 데크 부재 등 해양 체험 컨텐츠의 부재와 인천시의 해양지역 관리 권한 부재 역시 인천 해안선이 지닌 문제로 지적됐다.

기 위원을 포함한 인천연구소 위원들은 인천 해안이 당면한 과제들에 대한 시민 의견 수집을 위해 지난 2017년부터 관련 업무 종사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현장방문 및 토론회를 개최해왔다.  

이를 통해 '시민에게 열린 바다'를 위한 '8대 추진전략'과 '미래 해안친수공간'을 제시했다. 

8대 추진전략은 ▲인천시 주도의 체계적인 해양공간 계획권 강화 ▲깨끗하고 아름다운 해안환경 관리 ▲해양친수공간 접근을 위한 대중교통망 정비 ▲다양한 해양체험형 관광컨텐츠 개발 ▲철책선 단계적 제거를 통한 해안변 개방 ▲인천시 중심의 준설토투기장 관리권 강화 ▲시민이 참여하는 항만재개발을 통한 공공 개방성 확보 ▲준설토 투기장 최소화를 통한 바다생태환경 보호이다.

미래 해안친수공간으론 ▲경인아라뱃길(친수 문화 레저 등 친환경 운하 조성) ▲정서진 해양레저테마파크 ▲내항 재생 해양친수공간 Re-Open New In Hang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송도 워터프런트 ▲친수공간 소래포구 국가어항 상생 플랫폼 등이 제시됐다.

기 위원은 "바다와 인접한 인천 원도심의 강점을 살려 포구개발, 갯벌활용 등의 해양친수공간 조성에 힘써야 한다"며, "타 지역과의 차이를 인정하되, 타 지역의 해양 축제, 문화 등을 따라하려는 시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 지역에서 지역고유자산 연계 및 해안지역 개방성 확보 등으로 친수공간 조성이 가능한 지역은 총 74개소로 우선 추진 가능 지역은 화수·만석부두, 소래습지생태공원, 해넘이 다리 해양데크, 청라 산단 등이 대표적이다.

기 위원은 "철책 철거와 접근성 향상, 유람선 확충 등의 시도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도 환경정책 강화와 시·전문가·군부대·지역주민이 함께하는 기본 계획 및 거버넌스 구축이 우선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