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ㆍ광역ㆍ개발원의 연계 협력, 인적자원 역량 강화도 필요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자 등 근로 빈곤층에게 스스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경제 조직인 자활의 활성화 방안이 논의됐다.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이 주최하고 인천광역자활센터, 서울광역자활센터, 경기광역자활센터 등이 주관한 수도권지역 자활정책포럼이 20일 송도 갯벌타워 국제회의장에서 ‘자활급여 기본계획을 통한 전달체계의 역할과 방향’이란 주제로 열렸다.
기조발제에 나선 정은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제3차 자활급여기본계획과 추진체계의 역할과 방향’에서 “자활사업의 목표를 이행하기 이해 사업의 추진체계 간 교류와 협력은 필수적인 사항”이라면서 “사업에 대한 이해정도가 동일하고 각 추진체계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로 합의하여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활지원 인프라 고도화에 대해서도 “지역, 광역, 개발원의 연계 협력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면서 “인프라별로 기능을 명확히 하고 현장 중심의 자활 인적자원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권정호 인천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서 이승우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인천지부 사무국장은 “자활사업의 수행자가 지역자활센터이기 때문에 명칭부터 시, 군, 구 자활센터로 바꿀 필요가 있다”면서 “개발원과 광역자활센터에서는 사업 개발을 위한 인력과 조직이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유혜경 서울광역자활센터장은 “광역자활센터의 주요 기능인 자활기업지원을 위해 공동마케팅과 보수교육, 업종별 지원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수행할 전문성 있는 인력 확보도 시급하다“고 밝혔다.
서광국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일자리사업본부장은 ”20년이라는 오랜 조직을 운영해 온 자활센터 운영의 표준화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자활사업 성장의 모멘텀인 자활기업의 전담 조직으로 광역자활센터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흥 경기자활기업협회장도 자활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립과 협동, 연대 등이 함께하는 경영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