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양요와 신미양요는 지금까지 학계의 해석과 달리 동해 고래잡이, 금광개발 등 조선의 산업적 가치를 차지하기 위함이 주된 목적 중 하나라는 학술 내용이 발표됐다.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12일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운요호(1875) 사건의 새로운 사실과 향후 과제와 교훈’을 주제로 발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6.15인천본부, 인천자주평화연대, 노동희망발전소는 오후 3시부터 인천YWCA에서 ‘인천상륙작전의 역사적 성찰’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했다.
황 소장은 병인양요의 원인으로 정설로 굳어진 '신부처형'은 프랑스 침공의 구실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병인양요는 러시아의 남하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의 맞대응, 그리고 조선과 주변바다에 대한 산업적 가치(조선의 금광, 철광석, 동해안의 포경산업)를 차지하기 위한 프랑스와 미국 등의 치열한 계산이 존재한 가운데 발생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1850년대 조선 바다에 고래가 많았고 포경은 프랑스, 미국의 주요산업이었다.
로즈 제독는 조선에서 러시아 영토확장과 남진에 제동을 걸고 정치적, 상업적으로 프랑스 이익을 극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작전을 세웠는데, 조선을 공격해서 러시아에 강한 인상을 주는 구실을 찾기에 혈안이 돼있었다고 했다. 그러다 1866년 천주교 탄압과 신부처형이라는 구실 속에 기회가 찾아왔다는 것이다. 로즈 제독은 본국의 승인없이 조선을 침공한 것이고, 이후 로즈의 불범침공은 본국에서 재판에 회부됐다.
황 소장은 또 신미양요는 남북전쟁(1861~1865) 후 막대한 전후 복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미국의 경제 산업적 이익을 채워보려는 전략적 계산이 있었다고 보았다. 신미양요는 제너럴 셔면호가 대동강에서 무리한 요구와 약탈에 분노한 평양 민중이 배를 불타운 것에 대한 보복 때문으로, 미국의 정당한 전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너럴 셔면호 29명의 선원은 당시 대유행이던 해적에 불과했으며, 조선에서 큰돈을 벌기위해 무단 침범한 불법 무기상일 뿐이었다는 것이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는 모두 사유 없고 불법적인 침략에 불과했는데, 조선이 불법적인 행동을 한 사실은 전혀 없다. 프랑스, 미국의 산업적 이익을 위해 조선에 함포 포격으로 약탈한 것이라고 황소장은 설명했다.
운요호 역시 일제의 조선 강점에 큰 목적이 있으나, 당시 더 중요한 점은 일제의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치밀한 계산이 존재한다. 운요호 사건은 미국이 용인한 제국주의의 실습, 실전이었던 실습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한반도 근대전쟁의 시작인 병인, 신미양요를 조선의 행위에 대한 보복 차원의 전쟁이었다고 해석해오고 정설처럼 굳어져 왔다. 이 세 번의 전쟁이 경제적 이익을 독점하기 위한 제국주의의 야욕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것이라고 황 소장은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움에서 홍용덕 한신대 외래교수가 ‘청일·러일전쟁에서 일본군의 인천 상륙’을 주제로 두 번째 발표를 했다.
홍 교수는 인천은 130년 전 10년의 간격을 두고 벌어진 청일·러일전쟁의 기점이라며, 두 전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전쟁이 아니라 열강의 세력권 다툼이라는 점에서 하나로 이어진, 한반도와 만주를 주전장으로 한 전쟁이라고 했다.
이어 이 두 전쟁은 타국 간의 전쟁으로 의미가 축소되며 ‘잊혀진 전쟁’으로 불려지지만 한반도는 이 두 개의 전쟁을 거치며 식민지화라는 비극적 운명으로 귀결되었고, 2차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으로 확대되면서 남긴 상흔은 21세기 동아시아의 대립과 갈등의 원천이 되었다고 했다.
3번째 발표는 최태육 성공회대 학술연구교수가 ‘한국전쟁과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을 주제로 발제했다.
최 교수는 인천상륙작전은 38선 이북으로 전쟁을 확전하려는 맥아더의 주장을 수용한 합참과 미 국무부의 결정에 따라 시행되었다며 이에 인천상륙작전은 한국과 한국민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극동에서의 미국의 군사적 패권을 유지,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더욱이 미군과 한국 해군(해병대), KLO(켈로부대)와 해군첩보대는 미국의 점령지대 민사정책을 그대로 수용한 국군의 민사정책에 따라 점령지역에서 ‘적국인’으로 의심되는 민간인을 체포, 분리, 즉결처형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패권 유지, 강화를 위한 전쟁 승리, 이것이 인천상륙작전의 목적이었고, 그에 따라 민간인에 대한 예방학살이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이에 "인천을 평화의 도시로 만들려 한다면 이에 대한 역사 규명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