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쫓기는 자연의 진객, 저어새
상태바
내쫓기는 자연의 진객, 저어새
  • 박병상
  • 승인 2011.12.20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in 칼럼] 박병상 /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여름 철새 저어새가 한겨울 축제에 초대되었다. 남동산업단지 유수지에서 3년 넘게 찾아오는 저어새를 가까이에서 살펴온 시민단체들이 12월 주말에 연수구청에 모여 축제 한마당을 연 것이다. 세계적으로 2천 여 마리가 남은 저어새는 그 행동과 모습이 독특해 우리뿐 아니라 세계의 많은 탐조인에게 인기를 끈다. 갯벌이나 논과 같은 낮은 습지 바닥에 백로처럼 긴 발을 딛고, 주걱처럼 길고 두툼한 부리를 휘저으며 먹이를 걸러 먹기에 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은 그 새들은 왜 하필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를 찾은 것일까.

잘 알다시피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는 악취가 심해 용무가 없다면 접근하려 하지 않는 곳이다. 갯벌을 매립하면서 파놓은 유수지에 목적대로 빗물만 고인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승기하수처리장이 가동되기 이전부터 공장 오폐수가 모여 바닥에 오니가 깊게 쌓였고, 하는 수 없이 당국에서 오니를 긁어모아 유수지 안에 작은 섬을 만들었던 건데, 그 자리에 저어새가 날아올 줄이야. 웬만한 오염과 악취도 잘 참아내는 재갈매기가 먼저 둥지를 쳤는데, 3월이면 날아오는 여름철새 저어새가 두툼한 부리를 휘저으며 재갈매기를 몰아냈고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인데, 무슨 사연이 있을 게 틀림없다.

여름철 우리나라 서해안 인적 없는 섬에서 번식을 하고, 겨우내 남중국해 일원의 바다로 이동하는 저어새는 큰 맘을 먹지 않으면 가까이에서 볼 수 없는 존재였다. 무인도에 주로 번식하는 저어새를 보려면 낮은 배를 타고 찾아가 엔진을 끄고 조용히 접근해야 했는데, 이상스럽게 송도신도시와 제3경인고속도로 현장에서 나오는 먼지와 소음이 가득할 뿐 아니라 남동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와 대기오염물질로 악취가 끊이지 않는 곳을 찾았다. 게다가 바닥의 오니에서 풍기는 악취로 숨 쉬기 불편한 유수지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오죽하면 그랬을까. 그만큼 매립 광풍이 거센 우리 서해안에서 생존이 불안하기 때문이었을 게다.

소음과 자동차와 사람의 물결이 일상적인 유수지에 둥지를 치기 시작한 저어새들은 코앞까지 다가와 쌍안경과 성능 좋은 망원경을 놓고 서성이는 인파에 경계심을 거뒀다. 자신들을 해치지 않는 한, 그저 정물의 하나로 인식하기로 작정한 모양이었다. 그러자 저어새의 모습을 보고자 했던 국내외 많은 탐조인이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로 모여들었다. 말로만 듣던 저어새가 둥지를 치고, 알을 낳고 품으며, 부화한 새끼들을 지극정성으로 키우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감탄과 또 감탄은 이어지고, 전국에서 모여든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저어새에 생명의 가치를 푸근하게 느끼게 되었다. 덕분에 인천의 인상은 좋아졌다.

유수지를 찾아오는 저어새들 덕분에 전문 연구자의 연구만이 성과를 빚는 게 아니었다. 시민까지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를 제 뜻으로 찾아온 저어새의 행동 모니터링을 자원하며 보호하려 3년 넘게 애를 썼고, 3년 모니터링 결과가 모여 12월 중순에 '저어새 축제'도 열지 않았던가. 저어새는 그 정성에 보답하려는 듯, 찾아오는 수를 해마다 늘렸다. 그러자 시민들은 늘어나는 둥지에 필요한 나뭇가지들을 보충해주었고, 태어난 곳을 다시 찾은 저어새까지 포함된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는 어느새 인천시의 새로운 상징으로 급부상했다. 이제 많은 인천시민들은 저어새가 다가오는 제 고장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다. 저어새뿐이 아니다. 갯벌이 매립되는 만큼 그 수가 줄어들긴 했어도 검은머리갈매기, 마도요를 비롯한 도요새와 물때새 종류들, 그리고 겨울철 오리들이 여전히 모여든다.

한데, 이상하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까지 유치한 인천시답지 않게, 구태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고, 저어새의 대부분이 주로 먹이활동을 하는 송도11공구 갯벌을 기필코 매립하고 말겠다는 자세를 바꾸지 않는 게 아닌가. 어미를 보채는 어린 저어새들을 먹이고, 다 자란 새끼들을 데리고 다니며 혼자 먹이를 사냥하고 멀리 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바로 그 현장을 매립한다면 올해 찾은 저어새 중 상당수는 남동산업단지 유수지를 찾지 못할 게 틀림없다. 지금도 지나치게 많은 새들이 내려앉아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마당인데, 그 중 핵심인 갯골을 매립한다면 새끼들을 건사할 수 없는 저어새는 떠나거나 죽고 말 것이다. 세계 2000여 마리 중 인천의 새로운 상징으로 등극했던, 적어도 150마리는 인천에서 종말을 고할 수 있다.

거기에서 그치는 게 아니다. 남동산업단지 유수지에서 송도11공구 갯벌로 이어지는 좁은 수로는 아직 저어새 이동을 방해하는 높은 건물이 없지만 앞으로 어찌될지 모른다. 최근 송도신도시에 올라가는 아파트는 대부분 초고층이다. 한창 자라는 새끼들에게 줄 먹이를 물고 송도11공구 갯벌에서 유수지의 작은 섬을 향해 낮게 날아갈 적에 눈앞을 거대한 철근콘크리트 덩어리들이 가로막는다면? 저어새는 불안해 할 게 틀림없다. 밤에 쉬려 할 때 높은 건물마다 훤히 빛을 밝히면 성장에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상당수 저어새는 몇 년 안심하게 새끼들을 키워냈던 남동산업단지 유수지 둥지를 포기할 게 뻔하다. 인천시는 어렵게 생긴 자신의 상징을 내쫓는 데 그치는 게 아니다.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저어새와 함께 지낼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꺾을 것이다.

아직 방치된 면적이 많은 송도신도시에서 개발할 땅이 진정 모자라는 걸까. 11공구 갯벌을 마저 매립하지 않으면 안 될 납득할 만한 이유라도 있는 걸까. 현재 송도신도시에 투자한 많은 자본들이 계획을 철회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분양하려던 아파트도 열기를 잃었다. 운영이 어려울 정도로 인천시 재정이 열악하다던데, 거품 시대에 계획했던 매립을 재고할 필요가 충분하지 않을까. 인천시의 건전한 살림에 맞게 사업 내용을 재조정하여 저어새를 비롯하여 수많은 철새들과 나그네새들의 마지막 낙원이 되어주는 송도11공구 갯벌을 보존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야 내일도 인천에 남을 다음 세대 시민에게 죄를 면하는 게 아닐까. 그런데도 인천시는 매립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 매립 이후 개발을 계획하는 인력이 주도권을 놓지 않기 때문일지 모르는데, 뜻밖에 인천시는 저어새를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려는 의지를 표명하고 나섰다.

저어새를 인천의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려면 인천시는 거품 시대에 확립한 개발 계획을 대폭 수정해야 한다. 인천시를 찾아오는 '진객 저어새'는 인천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산이요, 국제적인 자부심이다. 지구온난화와 석유위기 시대에 에너지 과소비를 전제하는 초고층빌딩이나 화려한 네온사인이 아니다. 일본 동경의 '야조공원'처럼 보존된 자연공간에 많은 관광객이 모여 경탄한다. 송도11공구 갯벌은 동경의 야조공원 이상으로 보전 상태가 양호하다.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갯벌과 그 곳을 찾는 저어새에서 인천의 내일이 건강하게 이어질 것이다. 저어새를 앵벌이로 여기기보다 훨씬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