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사막화 지역에 심은 비타민나무
상태바
몽골 사막화 지역에 심은 비타민나무
  • 박병상
  • 승인 2015.09.03 1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컬럼] 박병상 / 인천 도시생태ㆍ환경연구소 소장

<사진 - 인천시민들이 몽골 사막화 지역에 심은 차차르간 나무. 비타민이 풍부한 열매로 가득 차 있다.>

5년 만에 몽골을 다녀왔다. 짧은 일정이었어도 쏟아지는 별을 볼 수 있을 거라 기대했지만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의 밤하늘에 별은 거의 없었다. 그들이 자랑하는 전승기념탑에 오르니 새로 짓거나 입주하는 고층 아파트에 막혀 경관을 관망하기 어려웠다. 걸어서 20분 거리를 자동차로 1시간 넘게 가야 하는 도로에 경음기 눌러대며 끼어드는 자동차로 혼잡을 빚었는데, 그런 징후는 5년 전에 예감할 수 있었지만 그 지경일 거라 짐작할 수 없었다. 울란바타르의 난개발은 심각했다.
 
넓고 편평해 여유가 있던 울란바타르인데, 도시계획이 왜 그 모양이 되었을까? 힘 있는 자의 독선이 개입했을까? 좁은 도로를 덮을 듯 솟아오른 건물이 낡을 때까지 한동안 불편함을 감수해야 할 텐데, 수도에서 조금만 떨어진 시골은 예전의 고즈넉한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었다. 덜컹거리는 도로를 타고 울란바타르 경계에서 30분만 지나면 만나는 구릉지의 드넓은 초원은 방목하는 소와 말, 양과 염소가 드문드문 풀을 뜯었고 파란 하늘 아래 몽골 특유의 가옥인 게르가 어울리는 풍경은 그림엽서를 방불케 했다.
초원을 가로지르는 도로는 5년 전에 없었다. 자동차들은 그저 목초지를 달렸고 2중3중으로 패인 흔적은 도로가 되어 그 자리마다 흙이 드러났는데, 울란바타르와 연결하는 2차선 도로는 목초지가 패는 현상을 어느 정도 막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사막화는 막지 못했다. 내리는 빗물보다 증발량이 늘어 얼마 전까지 호수였던 지역은 바싹 말라가고, 그 사이사이의 목초지대는 사막에서 볼 수 있는 식물, 방목하는 가축들이 외면하는 식물로 뒤덮였다. 캐시미어 제품을 위해 과도하게 사육하는 염소들은 목초의 뿌리까지 뜯어, 사막화는 심화되고 있었다.
 
평생 유목생활을 해온 몽골인에게 나무심기는 생소하다. 목축에 방해되지 않던가. 하지만 사막화가 심화되면서 몽골인들의 생각이 조금씩 바꿔간다고 한다. 바람에 따라 황사가 일며 확장되는 사막을 어떻게든 막아야하기에 뿌리 드러내는 목초지를 둘러싸며 나무를 심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나무심기는 몽골인에게 낯설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파견된 국가기관과 시민사회단체에서 나무를 심고 심은 나무가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고 있지만 정작 몽골인들은 수동적이다.
 
진전되는 사막화를 가로막는 나무심기는 몽골 초원에서 어느 정도 활성화되는 모습이라 다행이었다. 2010년경부터 인천시민들이 나무를 심어온 지역은 나무만 자라 오른 게 아니라 주위 풀밭도 안정된 모습이었다. 나무만 심고 돌아서는 게 아니라 나무들이 활착할 수 있도록 인력과 자금을 적극 지원한 인천시와 시민단체의 헌신적 노력이 있기에 가능했다. 가축들의 출입을 차단한 작은 숲에게 외롭게 상주하며 지하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주기적으로 뿌리고 있었는데, 신념과 보람이 없으면 불가능한 행동으로 보였다.
상주하는 시민단체의 활동가는 몽골인들과 밭작물을 심고 재배하고 있었다. 방목 이외의 방법으로 음식과 생계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행동으로 보였는데, 효과가 있어 보였다. 마침 한국에서 일하고 돌아간 몽골인이 많다. 울란바타르는 한국식 음식점이 5년 전에 비교해 많이 늘었고, 적지 않은 몽골인들이 육식 이외의 음식에 조금씩 익숙해진다고 한다. 사막화가 심화되는 지역에서 방목에 의존하기보다 밭을 일구는 농업으로 돈도 벌어들이고 사막화도 예방할 수 있다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으리라.
 
몽골의 방목지에서 몽골인이 능동적으로 시도하는 농업은 아직 드물지만 나무로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은 모색되고 있었다. 단순히 사막화를 막는 나무심기라면 목축인들이 쉽게 식상할지 모른다. 사막화가 줄어든다 싶으면 가축을 풀어놓아 어린 나무들을 뜯게할지 모른다. 하지만 심은 나무에서 수입이 생긴다면 달라질 수 있다. 인천시민들이 심은 ‘차차르간’ 나무가 그것이다. 이른바 ‘비타민 나무’라는 별칭을 가진 차차르간은 2미터에서 4미터 정도 자라는데, 얇은 가지에 앵두보다 작은 오렌지 색 열매를 이맘때 켜켜이 매단다.
차차르간은 척박한 토양에 살아가는 나무답게 면역력이 높은 모양이다. 오렌지색 열매 100그램에 비타민C 함량이 200밀리그램에서 1500밀리그램에 달해, 다래나무의 2에서 4배, 감귤의 5에서 30배, 파인애플의 8에서 30배에 이른다고 전문가는 분석했다. 다만 열매를 짜내 단순한 음료수와 약간의 식품재료로 가공하는 수준에서 머물 뿐이다.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으로 개발하거나 효능을 적극 홍보하여 매출을 늘리거나 수출하는 데에 이르지 못한다고 한다. 그렇더라도 차차르간 나무를 심는 몽골인이 늘고 있어 다행이다. 그들은 나무 심는 맛과 보람을 알고 있으므로.
 
인천의 공정무역은 몽골 차차르간 나무의 열매를 수입해 시민에게 선보일 방법을 찾으려 한다. 몽골의 사막화는 몽골인이 전폭 책임질 일은 아니다. 몽골에서 캐시미어를 많이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사막화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캐시미어의 원료가 되는 염소를 많이 방목하게 만든 책임을 말하는 건 아니다. 몽골 일원의 온난화는 주변국의 산업화와 결코 무관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의 급격한 산업화가 몽골의 사막화에 미친 영향이 작지 않을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몽골에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행동과 더불어 사막화 방지를 위해 심은 나무의 열매, 다시 말해 비타민 나무의 열매를 수입해 사막화 방지에 눈 떠가는 몽골인을 지원하는 일도 무척 의미 있는 행동이다. 몽골의 사막화를 방지하고 몽골인의 수입이 늘어난다면 그 이익은 궁극적으로 우리에게 긍정적으로 다가올 것이다. 몽골에서 수확해 가공한 비타민C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먹는 효과에서 그칠 리 없다. 지구온난화가 그만큼 줄어들어 기상이변이 억제되고 우리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게 아닌가?
가공할 공장을 만들고 효과적으로 수입할 방법을 찾아야 할 테니,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적지 않겠지만, 몽골은 물론 우리의 건강과 이익을 위해, 지구촌의 온난화와 사막화가 심화되는 이때, 양국 미래세대의 안전한 생존을 위해, 기왕 나무심기로 몽골의 사막화방지에 나선 인천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인천 여기저기의 산업체에 많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몽골인에게 자금심이 생길 것 같다. 무지개가 피는 나라, ‘솔롱고스’인 우리나라에 대한 몽골인의 인식은 더욱 살가워질 테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