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인천 총선의 야권 후보단일화의 한계
상태바
4.13 인천 총선의 야권 후보단일화의 한계
  • 조강희
  • 승인 2016.03.27 1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칼럼] 조강희 /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이제 4.13 총선에 대한 후보등록이 마감되고 본격적인 선거에 돌입하였다.


물론 총선이라는 것이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를 선출하는 과정이지만 단순히 그런 행정절차로만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 특히 역사적으로 매번 총선의 결과에 따라 국가의 방향과 흐름이 바뀌었음을 우리는 확인하고 있다. 그래서 혹자는 총선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시대정신을 결정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총선과정을 보면 국민의 고통은 뒤로 한 채 미래 대안에 대한 논의 과정은 완전히 사라지고 공당이라고는 도저히 믿을수 없는 계파공천으로 철저히 관철되었다. 다른 정당들도 큰 차이는 없었지만 물론 그 백미는 새누리당의 친박과 비박의 공천대결의 과정이었다.


결국 각 정당의 공천과정은 국민은 고려되지 않는 오로지 그들만의 리그로 끝나버렸다. 쥐들의 대표를 뽑는 선거에 고양이들끼리만 나서서 후보를 선출했다고 지적하는 누군가의 비아냥에 이제는 쥐들이 주인으로서 더 적극 정치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

 

한편 이런 공천과정과 더불어 새누리당의 일방독재를 막기 위한 야권연대의 움직임이 있었다. 상대적으로 중앙정치에는 일찌감치 후보단일화의 과정이 미온적이었으나 야권단일화의 중요한 경험을 갖고 있는 인천의 경우 진보적인 시민사회단체 원로인사들을 중심으로 각 정당이 후보단일화에 나설것을 지속적으로 촉구하였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국민의 당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양당간의 후보단일화가 이루어졌다. 그결과 더불어 민주당과 정의당은 양당의 후보단일화 합의에 따라 13개지역구를 11개와 2개로 나누어 후보등록이 이루어졌다.

 

그렇다면 더불어 민주당과 정의당의 후보단일화에 아쉬움은 없었는가?

 

물론 박근혜 정부의 심판과 새누리당의 일방 독주를 막기 위해 야권후보가 단일화 되어야 한다는 산술계산은 매우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국민적 힘을 갖기 위해서는 그 과정은 감동은 아니더라도 명분적 힘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일부지역에서의 후보단일화 과정은 시민단체의 커다란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그 단적의 예는 연수구 을의 윤종기 더불어민주당 후보로의 단일화 합의이다. 윤종기후보는 제주 강정마을의 진압 책임자로 당시 개인적 직업에 충실했는지는 모르나 국민을 대표하는 총선후보로는 적절치 않는 후보임이 인천지역사회에서는 공론화되었던 후보였다. 급기야 20여개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가 윤종기 후보에 공천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의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이런 흐름을 고려하지 않고 경선을 통한 후보단일화 원칙을 합의한 것이다. 그리고 결국 정의당 후보가 떨어지고 윤종기 후보로 단일화되는 어처구니 없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비록 양당의 단일후보가 되었지만 인천시민사회단체로부터는 낙선후보가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도출되었다.

 

또 하나의 논란은 남구을 지역의 양당의 전략적인 단일후보 확정이다.


이 지역구는 친박의 핵심인 윤상현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지역구로 인천지역 뿐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지역구이다. 만약 윤상현후보가 무소속으로 당선이 되면 막말파문에 대한 국민적 면죄부를 받고 새누리당에 복당할 것은 당연하다. 이를 감안하듯 이지역의 새누리당의 후보도 들러리후보를 세웠다는 언론의 분석이 파다하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단일후보에 까지 승리하면 더욱더 완전한 정치적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면 선택에 대한 평가는 차후로 미루고 이왕에 양당 단일후보로 전략공천된 후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김성진 정의당 후보는 계양갑에서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가 뒤늦게 양당합의에 따라 지역구를 변경해서 후보등록을 하였으니 벌써 출발선에서 뒤쳐져 버렸다. 양당의 노력과 더불어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와 협조가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이지역의 선거는 전국적 이슈 속에서 진행되는 만큼 매우 힘겨운 싸움일 될 수밖에 없다.

 

인천의 야권연대의 역사는 전국적으로 매우 귀중한 경험이다. 특히 2009년 지방선거에서의 야권단일운동의 인천시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이끌어낸 바가 있다. 명분이 있었기에 시민적 감동도 이끌어 내었고, 선거공약적으로도 탁월한 선택이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그 이후 2012년 총선과 2014년 지방선거에서의 야권단일후보 전략은 양당간의 상호합의라는 산술적 계산만 남아 시민적 감동을 주지 못했고 그 결과는 참담했다. 이번 20대 총선의 야권단일화과정도 일부 지역에서 그러한 큰 흐름을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좀더 일찍 이러한 선거에 대한 신중한 준비와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번 야권단일운동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