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동성당 앞뜰이 주차장이라니
상태바
답동성당 앞뜰이 주차장이라니
  • 박병상
  • 승인 2017.03.15 0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칼럼] 박병상 / 인천 도시생태ㆍ환경연구소 소장


 

요즘 신포동은 저녁 시간이 지나도 사람들이 전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10여 년 전 해가 저물기 무섭게 도서관처럼 고요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하지만 막차 시간이 가까워지면 발길이 한결 뜸해진다. 같은 시간 연수구와 구월동, 그리고 부평은 북적인다는데, 신포동을 빠져나간 사람들은 늦은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걸까? 꼭 그런 건 아닐 텐데, 인천시 중구 최고위 관료는 승용차를 가진 사람들이 신포동을 외면한다고 확신하는 모양이다. 중구청은 신포동 일원에 주차장을 확보하려고 애를 쓴다.
 

1970년대 말, 통행금지가 있던 시절이지만 휴일이나 저녁 시간이면 젊은이들은 으레 신포동으로 모였다. 공원과 다양한 식당이 있고 둘러볼 근대유적이 가깝다는 장점만은 아니었다. 인구 100만을 막 넘어선 인천시에서 젊은이들이 모일 공간은 그리 다양하지 않았다. 인구 300만이 넘는 대도시가 되었어도 블랙홀 같은 서울과 가까우니 인천의 많은 젊은이들은 광화문으로 가서 촛불을 든다. 하지만 확대된 인천의 도심은 다핵화되었다. 신포동이 예전 같은 독점적 지위를 누리지 못한다. 주차장 때문일까?
 

연수구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성장한 아이들은 신포동보다 광화문과 강남을 더 잘 안다. 부모가 신포동의 추억을 이야기해도 궁금해 하지 않고 타 지역의 친구와 굳이 찾아가려 하지 않는다. 인천의 근대유적이 여전히 산재해도 둘러보려 하지 않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어른들의 추억이 깃든 식당이 그 자리에 있지만 흥미를 일으키지 못하는 까닭은 주차장과 무관하다. 신포동 일원에 추억을 묻은 시민들이 아이와 신포동을 찾지 못하는 이유를 인천시도 중구청도 궁금해 하지 않았다.
 

오후 10시 무렵까지 사람들이 떠나지 않는 이유는 차이나타운과 동화마을의 단장과 무관하지 않겠지만, 중구청의 고민은 거기까지다. 주말에 북적여도 평일에 조용해지는 차이나타운의 주변에 개항 관련 유물이 많다는 사실을 아는 방문객은 거의 없다. 늘어난 인천시민도 그 사실을 거의 모른다. 먹고 살기 바빠 그런지, 알려준 이웃이 없었다. 동화마을을 들러본 방문객이 다시 찾았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없다. 내 자신도 찾을 생각이 없다. 아무리 알록달록해도, 주민 동의 없이 조성한 마을에 관심이 생기지 않는 탓이다.
 

최근 답동성당 신도들이 발끈했다. 신도 대부분이 모르는 사이 성당 앞뜰이 주차장 부지로 은밀하게 팔려나갔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기 때문이다. ‘답동성당 일원 관광자원화 사업’이라는 이름의 개발 사업을 위해 중구청은 답동성당 앞마당 일부와 가톨릭회관 부지 3541제곱미터를 81억 2300만 원에 사들였고, 6500제곱미터 넓이의 공원과 지하 4층 254면 주차시설을 확보한다는데, 그 땅을 매각한 인천교구는 자기 종교의 신도는 물론이고 인천 시민과 일체 사전논의를 하지 않았다. 역사를 지닌 답동성당의 정체성이 인천교구의 현실적 의지에 종속된 토지에 불과한 게 아니다. 어떤 개발이든, 신도는 물론 인천시민의 환대를 받는 행사가 되어야 옳았다
 

동인천역에서 이어지는 지하상가와 연결해 신포동 방문객들이 신포시장과 답동성당을 오가기 편하게 만들겠다는 계획이라지만, 성당 일대에 역사공원을 조성하는 성역화사업을 언젠가 시작할 거라 막연히 믿어왔던 가톨릭 신자들은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 들었을 거 같다. 애초의 이름이 달라졌을 뿐, 내용에 변화가 없다고 한발 물러선 중구청 관계자와 인천교구 담당자는 ‘성당 땅 되찾기 비상대책위원회’로 모인 신자와 시민에게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사업이므로 양해를 당부했다고 한다. 법적 하자가 없으니 따르라는 겐가? 사업의 성격과 규모를 다시 논의하자고 손을 내미는 자세는 분명히 아니었다.
 

1889년 전면에 3개의 종탑을 가진 로마네스크 양식인 답동성당은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 성전인 동시에 한때 명동성당과 더불어 민주화의 성지였지만 이제 그 빛은 찾을 수 없다. 노을을 받을 때마다 눈부시던 언덕 위의 건축물은 가톨릭회관이 가렸고 민주화를 열망하는 젊은이가 모여들던 앞뜰은 주차장으로 바꿔 성지의 면모를 내버린 지 오래다. 신자가 아니라도 심신이 피곤할 때 잠시 들려 경건한 기운을 받고 싶었던 적이 있었지만 이젠 아니다. 그저 인천의 한 성당 중의 한 건물이 되었을 뿐인데, 주차장이라. 인천시민의 마음은 커녕 눈길마저 부정하려는 걸까.


국비 74억 원과 시비 103억8000만 원, 그리고 구비 76억2000만 원, 모두 254억 원이 들여 지을 답동성당 일원의 관광지는 장차 어떤 모습을 연출할까? 병원이나 양판점 주차장처럼 승용차들이 차곡차곡 들어선 중고차 매매단지와 같은 모습은 아니겠지만, 신자들이 기대했던 성지와 거리가 멀 거 같다. 외관을 아무리 그럴싸하게 치장해도 성스러워질 가능성은 없다. 인천의 정체성을 반영할 거라 믿기 어렵다. 주차 수요가 증가해도 신포동 일대의 관광이 흥하리라 기대하기 어렵다. 신도는 물론 인천시민과 논의가 생략된 마당이 아닌가.
 

비선실세를 동원하는 독선이든 겉치장 그럴싸한 고집이든, 구청장이든 교구장이든, 충분한 논의 없는 집행은 독재와 다르지 않다. 신도 없는 종교가 있을 수 없다면 유권자 없는 정치도 존재 가치가 없다. 역사와 전통을 짓밟은 행정에 지역의 살가움이 깃들 수 없고 돈벌이를 위해 다음세대의 행복을 배제하는 행정이 지속 가능할 수 없다. 아무리 생각하고 고쳐 생각해도, 이해하기 어렵다. 어떻게 답동성당 앞뜰을 주차장 용도로 살 생각을 할 수 있고, 그 용도를 파악하고도 팔 수 있다는 겐가? 그리해놓고 감히 역사와 인천을 앞세울 수 있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