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뮤지션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상태바
“다양한 뮤지션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어요.”
  • 이권형
  • 승인 2019.07.25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 인터뷰 #2 [서울, 변두리] 엔지니어 서준호



지역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2018년 7월, 인천의 세 싱어송라이터 Pa.je 이권형 박영환이 함께 컴필레이션 음반 [인천의 포크]을 제작했고, 이어  2019년 연작 [서울, 변두리]를 발매합니다. [인천in]은 이에 매주 1차례씩 8회에 걸쳐 지역 음악과 음악인들의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음반 제작 프로젝트의 취지와 내용을 소개하며, 인천과 서울, 그 변두리 지역을 오가며 활동한 세 팀(클라우즈 블록, 단식광대, 물과음)과 함께 음반 제작 과정과 프로듀서 인터뷰, 아티스트들의 대담 등을 기록하고 그 의미들을 찾아봅니다.

 
7월 6일 오전, 인터뷰를 위해 신용산 ‘카페 알토 바이 밀도(cafe Aalto by Meal)’에 모였다. 인터뷰어는 싱어송라이터 ‘회기동 단편선’이 맡아주었다. 기획자인 필자와 1시간, 이번 [서울, 변두리]의 전담 엔지니어 서준호와 1시간가량 인터뷰 나눴다. ‘인천의 포크’의 프로젝트 의도, 인천의 문화예술 생태계, 앞으로의 포부와 각자 음악 작업에 대한 생각 등이 담긴 인터뷰를 2회에 걸쳐 연재한다.

 

 ▲ 2019년 7월 6일, 인터뷰 중인 서준호(좌)와 회기동 단편선(우)

 
 
“다양한 뮤지션을 만나는 게 제겐 공부가 되기도 하고 커리어를 쌓이는 계기도 돼요.”

 
회기동 단편선(이하, 단)/ 인터뷰를 많이 하시나요?
 
서준호(이하, 서)/ 인터뷰할 일이 전혀 없죠.
 
단/ 예전에 밴드를 하신 적도 있잖아요.
 
서/ 그건 너무 오래된 일이기도 하고, 인터뷰를 해도 멤버들과 함께 있으니까.
 
단/ 밴드 포헤르츠로 활동하셨어요. CJ 튠업의 지원 프로그램에도 선정되었는데요.
 
서/ 김창완 선생님에게 픽(Pick)이 되었어요. 후줄근한 모습을 좋아하셨던 것 같아요. 운이 좋았죠.
 
단/ 그런데 그 이후로는 활동이 많지 않았습니다.
 
서/ 멤버가 중간에 교체되기도 했었고, 다음 앨범을 준비하니 마니 하다가 일이 잘 안 되었어요. 각자 여러 사정이 있어서 딜레이가 되다 보니까 지친 것이죠. 지금은 활동을 안 하는 상황입니다.
 
단/ 엔지니어링은 언제부터 하게 된 건가요?
 
서/ 밴드를 할 때부터 관심이 있었어요. 앨범 처음으로 작업할 때도 엔지니어 형을 되게 많이 괴롭혔던 것 같아요. 저희 때문에 스튜디오의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서 변태라는 얘기도 들었어요. (웃음) 어쨌건 그런 과정이 재미있어서 혼자 파고 들어 공부를 하다가… 나이가 서른 중반쯤이 되니까 뭔가가 오더라고요. 이대로 이걸 계속하면 안 되겠구나 싶은. 직장 다니는 게 성격에 안 맞아서 ‘노가다’하면서 살았거든요. 그런데 나이가 드니까 '이거 이대로 가다간 큰일 나겠다…' 싶었던 거죠. 그래서 3년 정도 계속 공부를 했던 것 같아요.
 
단/ 요새는 엔지니어링(Engineering, 본 지면에선 음향 장비 및 소프트웨어 다루는 일을 뜻함)을 가르치는 아카데미들도 있습니다.
 
서/ 저는 독학을 했어요. 한 학기에 500 만원씩 하기도 하는데 감당이 안 되더라고요. 그래도 대회 나가서 상도 타고 하니까 그래도 내가 못 하진 않나 보다 싶었어요. 마이크 회사에서 진행하는 믹싱(Mixing) 챌린지 대회가 있었는데, 전 세계의 엔지니어에게 녹음된 소스를 주고 마음대로 믹싱 해보라는 과제였어요. 2등을 해서 마이크를 받았는데요. (웃음) 그래서 자신에게 확신이 조금 생겼다고 해야 하나. 지금도 계속 공부하고 있어요.
 
단/ 스튜디오에선 작업을 꾸준히 하고 계신가요?
 
서/ 일처럼 한 것은 아니지만 누군가 필요하다 하면 녹음해주고… 말 그대로 소규모죠.
 
단/ 어떤 작업을 위주로 하셨나요?
 
서/ 컨츄리, 포크 위주로? 저는 개인적으론 팝 음악이 더 좋은데 제게 의뢰가 오는 사람들은 주로 포크 기반이에요. (인천의 포크의 기획자인) 권형 때문에 물꼬가 터져서 일을 더 많이 하게 되었지요. 다양한 뮤지션을 만나는 게 제겐 공부가 되기도 하고 커리어를 쌓이는 계기도 돼요.
 

“예술적이건 뭐 건 사람들이 좋아해 줄 만한 것이 나와주었으면 좋겠어요.”

 
단/ 권형은 언제 처음 만났나요?
 
서/ 인천에 ‘글래스톤베리’라는 클럽이 있었는데 제가 그쪽에서 라이브 음향 엔지니어를 했어요. 그때는 노가다를 할 때인데 인천 클럽 사장 형들이 부르면 엔지니어링 하는 경우가 있었죠. 그때 뮤지션으로 권형이 와서 연주했어요. 그런 식으로 안면이 있다가 지역 행사 아르바이트할 때도 한 번씩 보고, 그러다가 제가 "앨범 안 내냐? 하면 작업해줄게."라고 했죠.
 
단/ 권형은 그림을 크게 그리는 편이라서 구체적이기보단 추상적인 얘기들을 많이 하는 편인데요. (웃음)
 
서/ 저는 그걸 곧이곧대로 안 듣죠. 정리해서 들어야 해요. 한편으론 권형이 추상적으로 얘기를 해도 저도 뮤지션이니까 잘 알아듣는 편이긴 하죠. 음악을 만들고 상상을 해보았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감안해서 들을 수가 있죠. 여하간 저는 [인천의 포크]나 [서울, 변두리]도 그렇지만 조금 더 히트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너무 ‘인디스러운’ 것 말고 더 객관적으로 들릴 수 있는 음악이 될 수 있도록 설득을 계속했어요. 왜냐면 저도 그걸 해봤는데 피드백이 별로 없어서. (웃음)
 
단/ 권형과는 "수봉공원" 싱글부터 같이 작업을 했어요. 편곡이 아주 독특한 음악인데요.
 
서/ 어레인지(편곡)는 권형 쪽이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왔는데 그것을 구체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제 역할이었어요. 권형이 옆에 붙어서 세밀하게 방향을 조정하면서 했죠. 거의 공동작업을 한 수준이에요. 그런 게 가장 극대화된 것이 [인천의 포크]에 실렸던 "숨바꼭질"이고.
 
단/ 저도 권형의 음악 중 "숨바꼭질"을 가장 좋아해요.
 
서/ 뮤직비디오도 잘 나왔고요.
 
단/ 권형의 곡들은 기본적으론 포크(Folk)에 기반해 있는데, 생경한 요소들이 많이 가미되어 있어요.
 
서/ 그런 그림은 제가 제안을 하기도 하죠. 통기타를 치는 전형적인 포크로만 가면 사람들이 좋아할까요? ‘포크스러움’을 가지고 가되 팝(Pop)스러운 것을 보여주는 거죠. 제가 듣는 음악은 포크 음악이라도 본 이베어(Bon Iver)처럼 일렉트로닉(Electronic) 같은 게 가미되어 있기도 하고, 그런데 지금도 한국에서 포크 음악 하는 사람들 만나보면 라이브랑 똑같이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있고… 조금 더 팝스럽게 들렸으면 해요. 엘튼 존(Elton John) 같은 팝이라기 보다는 얼터너티브(Alternative)한, 현대적인.
 
단/ [서울, 변두리]에서는 프로듀서 역할을 맡았습니다.
 
서/ 편곡을 하거나 믹싱을 하는 것이 별로 어렵지가 않으니까요. 예를 들어 ‘물과음’ 같은 경우에는 처음엔 핸드폰으로 대충 녹음해서 줬어요. 그걸 듣고서 즉흥적으로 신디사이저를 연주해보면 바로 해본 것들이죠.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불과음 같은 경우는 조금 더 애착이 가요. 아트적이지 않나? 그분만이 가지고 있는 게 있어서.
 
단/ 그려둔 전체적인 그림이 있었나요?
 
서/ 저는 전체적으로 그림을 그리진 않았어요. 제가 할 수 있는 건 어쨌건 그 곡이 어떤 의미인지 분석하고 표현해보고 얘기하고… 그런데 나이를 먹어서 이제는 내가 얘기를 했는데 기억이 안 나요. 얘기하고 까먹고. (웃음)
 
단/ 그래도 전체를 들어보면 나름의 통일감이 있는데요.
 
서/ 제가 모든 곡을 믹스를 했으니까요. 쓰인 리버브(Reverb) 등의 효과들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요.
 
단/ 곡마다 어레인지 자체는 많이 달라요.
 
서/ 차이가 크죠. ‘단식광대’는 몇 트랙 안 되고. ‘단식광대’ 작업 때는 아쉬웠던 것이 보컬의 성향을 잘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레코딩을 했던 것 같아요. 다음 곡을 녹음하는데 비싼 마이크가 아니라 (비교적 중저가형 마이크인) ‘SM57’로 받아 보니까 너무 잘 맞더라고요.
 
단/ ‘클라우즈 블록’의 "청소" 같은 수록곡은 (‘더미헤드’ 녹음기법 사용 등이) ‘코넬리우스(conelius, 일본의 전자음악가)’ 같은 느낌도 있어요.
 
서/ 저는 ‘코넬리우스’는 모르는데요. 하지만 <청소>는 아이디어가 좋은 곡이에요. 고민을 많이 하는 친구구나, 했죠.
 
단/ ‘물과음’의 <적끈> 같은 경우는 곡이 정말 희한해요.
 
서/ 구성은 이미 다 짜여 있었는데 기타가 단순히 스트로크(Stroke, 기타 현 여러 줄을 동시에 치는 주법)로만 가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이를 다른 방식으로 풀어본 거죠. 앰비언트(Ambient, 배경음)를 적절하게 섞고.

 

▲ 2019년 7월 6일, 인터뷰 중인 서준호

 
 다양한 뮤지션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고, 앞으로도 계속 만났으면 좋겠어요.
 

단/ '인천스러운 사운드' 같은 것들을 얘기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서/ [인천의 포크] 1집을 작업할 때도 그에 관해 이야기를 주고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너무 ‘인천인천’ 한 거 아닌가. [인천의 포크]지만 "인천의 포크"로 안 불렸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어요. 사운드를 만들어나가는 작업 자체는 인천과는 무관하고. 린킨파크(Linkin Park)라는 팀이 있는데 한국식으론 그냥 '수봉공원' 같은 거잖아요. 어디에 중심을 두느냐의 문제인 것 같아요.
 
단/ [서울, 변두리]라는 작명에서도 보이듯, '인천의 포크' 프로젝트는 '변두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서/ 저도 주변부에 대한 무언가를 하는 것에 대해 동의를 해요. 중심이 되고 싶은데 못 되어서 아련한 것일 수도 있지만, 예술이란 게 원래 테두리에서 돌아야 예술이라고 느끼는 것 같아요. 저도 잘 모르겠지만, 예술적이건 뭐건 사람들이 좋아해 줄 만한 것이 나와주었으면 좋겠어요. 간혹 너무 아티스틱(예술가적인)한 데 빠져서 딥(Deep)하게 들어가 버리면 어떻게 풀어내야 할 것인지 난감해요. 정말 좋은 예술이 있어도 유튜브 조회수가 30, 60 씩 밖에 안 나오면 이걸 어떻게 할 거예요.
 
단/ '인천의 포크' 프로젝트에 두 번 모두 참여했습니다. 어떤 느낌인가요?
 
서/ 일단 다양한 뮤지션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고, 앞으로도 계속 만났으면 좋겠어요. 굳이 어떤 공통분모를 가지고 출발한다기보다는 공통된 것을 창조해내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해요. 덩치를 불려서 신인들이 잘 데뷔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어도 좋을 것 같고요. 이번 [서울, 변두리]의 캐스팅을 보아도 ‘클라우즈 블록’ 같은 경우에는 혼자 열심히 하는 스타일이지만 다른 둘은 푸시(Push)를 조금 더 했을 때 더 작업이 잘 되는 스타일인 것 같아요. 이런 건 뮤지션들에게도 장점이 될 수 있거든요.
 
단/ 준스노우(서준호의 별명) 개인은 무엇을 해보고 싶나요?
 
서/ 저는 연예인 하고 싶은데? 연예인 되는 게 꿈이에요. 고양이를 키워서 유튜브를 해야 할까요. 농담입니다. (웃음) 일단 돈을 좀 벌고 싶어요. 이 바닥에서 이제 프로듀서 겸 엔지니어로, 나아가서는 싱어송라이터로서. 지금 하는 것으로 돈을 벌고 싶고, 파이를 키우고 싶어요. 음악과 비슷하지만 믹싱계 역시 아직 한국은 많이 고립되어있거나 틀에 갇혀있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볼 수 있는 뮤지션들을 만나고 싶어요.
 
단/ 마지막으로, 준 스노우의 추천 음악은?
 
서/ 올라퍼 아르날즈(Ólafur Arnalds)의 [Island Songs].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