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어새 이동통로를 차단하는 송도4교
상태바
저어새 이동통로를 차단하는 송도4교
  • 김대환
  • 승인 2010.12.16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태축 파괴의 주범이다"

인천 송도에 건설되는 송도 4교 건설과 관련해 습지보호지역을 파괴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송도 1,2,3교에 이어 건설되는 송도 4교는 사장교다. 길이 1,010m, 주탑 높이 90m 규모로 송도국제도시로 진입하는 주 역할을 맡게 되며, 완공은 오는 2014년 1월로 예정됐다.

IFEZ 관계자는 “송도 4교 건설이 완료되면, 송도국제도시와 송도 종합스포츠센터 등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이 분산돼 교통 혼잡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면서 “송도국제도시로 진입하는 역할과 함께 습지보호지역과 연계돼 인천의 명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도국제도시 5·7공구 진입도로 건설공사
  ○ 위    치 : 인천광역시 송도 5·7공구 일원
  ○ 사업규모 : 도로 5.282km, 오·우수 3.279km, 상수도 4.682km
                      공동구 1.782km, 교량(송도4교) 1개소, 조경 1식
  ○ 사 업 비 : 194,560백만원
  ○ 사업기간 : 2009. 7. 15 ~ 2014. 1. 19
  ○ 시 공 사 : GS건설(주), (주)KR산업
  ○ 감 리 사 : 동남이엔씨(주), (주)동아기술공사, (주)시텍
  ○ 현 공 정 : 13%
그렇게 해서 건설되는 다리의 조감도는 다음과 같다.

문제는 이 다리의 위치와 모양이다.

이 다리가 세워지는 곳 인근에는 2년째 저어새가 번식하는 남동유수지가 있다. 번식과정에서 저어새들은 남동유수지와 송도 11공구를 왕복하며 먹이 활동을 한다.

그러나 이 다리로 인해 저어새들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가 차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리의 구조는 사장교 형태로 중간에 높이 90m의 철탑과 다리를 지지하는 철골 구조물이 들어간다. 이는 저어새뿐만 아니라 그 주변을 지나가는 대부분의 새들에게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곳에 반드시 이 같은 다리가 놓여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설치된 다리들의 모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같이 교각을 낮추어 다리를 건설한, 송도로 진입하는 다리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현재 공사를 진행 중인 송도4교는 단지 다리의 모양을 특이하게 보이기 위한 일종의 장식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 장식이 세계적 희귀조인 저어새가 번식하는 곳에 반드시 세워져야 할 이유가 있을까?

또 IFEZ 관계자는 어떻게 저어새와 다른 새들의 이동을 생각하고 습지보호지역과 연계된다고 한 말인지 의심스럽다.

송도11공구 매립이 진행되고 그 많던 인천의 갯벌이 모두 사라져가고 있는 현실에서, 시민단체들의 주장으로 어렵게 조성되는 송도11공구 안 습지보호지역은 주변 다른 생태적 환경과 연결되어야 그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것을 우리는 생태축을 연결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요즘 생태축이란 용어는 매우 일반화한 상식이라고 할 수 있다. 과연 이 다리가 생태축을 연결하는 것에 방해를 주는 것은 아닌지 잘 생각해 봐야 할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