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을 먹고 눈물을 마시는 어여쁜 삶
상태바
아픔을 먹고 눈물을 마시는 어여쁜 삶
  • 최종규
  • 승인 2011.02.10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화책 즐겨읽기] 오자와 마리, 《이치고다 씨 이야기 (2)》

― 이치고다 씨 이야기 2 (오자와 마리 글·그림,정효진 옮김,학산문화사 펴냄,2010.12.25./4200원)

 일본을 다녀온 이들이 늘 똑같이 느끼며 말하지는 않습니다만, 일본을 이룬 옛 역사를 돌아보면서 옛 일본 삶자락 가운데 한겨레 옛 삶자락이 스며든 자국이 참 많다고 느끼는 이들이 제법 있습니다. 절집이라든지 불상이라든지 무엇무엇이라든지 꽤 옛 한겨레 삶자락이 퍼졌다고 합니다. 오늘날 삶자락을 돌아보면, 한국땅 삶자락 가운데 일본땅 삶자락에서 흘러들지 않은 대목이 거의 없다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작은 삶자락 하나부터 작은 물건 하나까지, 일본에서 들어오거나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투성이입니다.

 생각해 보면, 옛 일본으로 스며들었다는 한겨레 삶자락은 ‘여느 사람 삶자락’은 아닙니다. ‘지배 계급 삶자락’이 ‘문화’라는 이름으로 흘러들었습니다. 옛 일본 지배 계급은 한겨레 지배 계급 삶자락을 받아들였을 테지만, 옛 일본 여느 사람들까지 옛 한겨레 여느 사람 삶자락을 받아들였다고는 여길 수 없습니다.

 우리들은 1900년대를 거쳐 2000년대를 살아갑니다. 2000년이 지나 태어난 어린이가 있고, 1990년대 한복판에서 태어난 푸름이가 있으며, 1980년대 한복판에서 태어난 젊은이가 있습니다. 이들이나 이들을 낳아 키우는 어버이는 ‘현대 한국 역사와 사회와 문화’를 들여다봅니다. 먼 앞날이나 까마득히 오래된 지난날 역사와 사회와 문화를 들여다볼 수 없습니다. 오늘을 살아갈 뿐 어제나 글피를 살지는 않아요. 그러니까, 앞으로 2100년이나 2200년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거나 터질는지를 하나도 모릅니다. 1800년대에 살던 사람이 2000년대를 알 수 없거나 헤아리지 못하던 일하고 마찬가지입니다.

 가만히 생각을 기울이면, 다가올 2100년이나 2200년을 살아갈 뒷사람들이 ‘한국 역사’나 ‘일본 역사’를 갈무리할 때에 무슨 이야기를 적바림할는지 어렵지 않게 깨달을 만합니다. 2200년대나 2500년대를 살아가는 한겨레나 일본겨레는 저희들 1900∼2000년대 역사와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바라보거나 느낄까요. 그무렵 일본겨레라면 한겨레 사회와 문화 가운데 일본에서 보내지 않은 것이 없다 말할 테고, 한겨레들은 ‘우리 땅 옛사람들은 무엇 하나라도 스스로 즐기며 살아가지 않으면서 죄다 일본에서 들여왔구나’ 하고 느끼겠지요. 한글이 온누리에서 가장 훌륭한 글자라 말하면서도, 정작 한글과 겨레말을 알뜰살뜰 보듬지조차 않고 일본말을 함부로 받아들여 쓸 뿐 아니라, 한손으로는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말투를 털자 하면서 다른 한손으로는 이런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말투를 고스란히 쓰는 바보스러운 모습을 그예 보여준다고 여기겠지요.

- “그때는 나도 같이 살았는데, 여름방학 때 집에 가다가, 지로네 아저씨한테서 들어서 알게 됐지. 가족인데, 나만 몰랐다니.” (16∼17쪽)
- “너도 혼자 도쿄로 가서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니까, 나도 열심히 살아야겠다 싶더라. 일이랑 집안일, 그리고 널 돌보느라, 20대 나이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엄마가 된 기분이었지만, 이번 기회에 널 독립시켜 주자 싶었어.” (20쪽)

 만화책 《이치고다 씨 이야기》 2권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이 만화책은 좋으니까 읽는 책입니다. 만화책이기 앞서 ‘좋다고 느끼는’ 책입니다. 이 만화는 일본 만화입니다. 일본 만화이기 앞서 ‘좋다고 느끼는’ 만화입니다.

 어떤 이는 《이치고다 씨 이야기》를 순정만화에 넣겠지요. 그러나 이 만화책 《이치고다 씨 이야기》는 순정만화이기 앞서 ‘좋다고 느끼는’ 만화입니다.

 순정만화를 좋아하건 아니건, 다른 만화를 좋아하건 아니건, 그닥 눈여겨볼 까닭이 없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동무들(다 남자들)이 ‘순정만화’를 보면 계집애라고 놀리건 말건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명랑만화’이든 ‘로봇만화’이든 ‘전쟁만화’이든 ‘공상과학만화’이든 굳이 더 좋아해야 할 까닭이 있다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내가 좋다고 느낄’ 만화여야 내가 읽지, 내가 좋다고 느끼지 않는데, 내가 사내아이라서 순정만화를 보면 안 되고, 계집아이들만 순정만화를 보라는 법이 없습니다. 계집아이이건 말건 ‘스스로 좋다고 느끼’면 명랑만화이든 로봇만화이든 즐기면 됩니다.

- ‘떨어진 물방울은 따뜻했다.’ (35쪽)
- ‘하지만 그렇게 예쁘다면 또 한 번 봐 줘야지. 와아, 진짜 예쁘다.’ (61쪽)
- ‘내가 사랑하는 이온의 주머니.’ (146쪽)

 제가 좋아하며 즐기는 만화는 ‘이야기가 있는’ 만화입니다. 이야기가 ‘만화쟁이 삶에서 길어올린 따사롭고 착하며 아름다운’ 만화를 좋아하며 즐깁니다.

 나 스스로 좋다고 여길 만화를 찾아서 읽는 만큼, 이 만화 하나가 ‘일본 만화이건 한국 만화이건’ 하나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중국 만화면 어떻고 미국 만화면 어떻습니까. 미국사람이라서 한미자유무역협정이니 끔찍한 전쟁무기를 만드니 하면서 다 나쁘다고 여길 수 없습니다. 내가 한국사람이니 한국사람이라면 다 좋다고 여길 수 없습니다. 한국사람 가운데에도 ‘사람됨으로 보기에 모자라거나 안타깝거나 슬픈’ 이들이 많습니다. 지난날 일제강점기에도 ‘제국주의 일본’을 나무라면서 착하며 아름다이 살던 일본사람이 많습니다.

 나부터 착한 사람됨을 볼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부터 착하게 살아갈 일이라고 여깁니다. 나부터 착한 넋을 건사하면서, 내 이웃들 착한 마음씨를 곱게 껴안아야 한다고 느낍니다.

- ‘이치고다 씨라면 분명 집으로 돌아올 거야. 그래, 벌써 집에서 내가 오길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지.’ (73쪽)
- ‘그야, 이치고다 씨가 돌아왔을 때 내가 없으면 집안에 못 들어오니까.’ (82쪽)
- ‘가끔 있잖아. 시골에서 도시로 올라오면 외로운 나머지 요정이다 뭐다 하는 망상 친구를 만들어 버리는 그런 거. 서글픈 이야기. 아니야. 이런 바보. 이치고다 씨가 없었을 리 없잖아.’ (88∼89쪽)

 만화책 《이치고다 씨 이야기》는 참으로 착한 사람들 착한 삶 착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1권이 나왔을 때에 얼른 장만해서 여러 차례 읽고, 2권이 나왔기에 기쁘게 맞아들이며 숱하게 읽습니다. 어느새 3권이 나왔는데, 1권과 2권을 조금 더 오래 삭이면서 즐기고 싶어서 아직 장만하지 않습니다. 3권을 장만하면 이때부터는 3권에 푹 빠져서 여러 차례 읽고 또 읽겠지요.

 줄거리로 읽어치우는 만화가 아니기 때문에, 한 번 보고 나서 가만히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넘기고, 며칠 뒤에 또 보며, 얼마쯤 지나서 다시금 넘깁니다.

 볼 때마다 새롭습니다. 볼 때마다 새롭기에 장만해서 아끼고 사랑할 만합니다. 볼 때마다 새롭고 읽으면서 늘 사랑스러우니까, 내가 이곳 내 삶터에서 내 살붙이들하고 복닥이는 하루하루를 더 알차고 싱그러이 돌보도록 힘을 내자고 다짐합니다.

 살아가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돕고, 살아내는 사랑스러움을 깨닫도록 이끌며, 살아숨쉬는 아름다움을 둘레에 나누도록 북돋웁니다.

 좋은 만화이기 앞서 좋은 책입니다. 좋은 책이기 앞서 좋은 넋입니다. 좋은 넋이기 앞서 좋은 사람입니다. 좋은 사람으로서 좋은 삶을 일굽니다.

- ‘이 어둠 기억나. 그래, 이건 타미의 상자. 나가야 돼. 아무 생각도 할 수 없게 되기 전에. 마음이 체념으로 가득 차기 전에.’ (95쪽)
- ‘안녕, 아야. 목욕시켜 줘서 고마워. 다른 장난감들은 아껴 줘.’ (112쪽)
- “내가 와 버렸으니, 유미의 혼잣말은 누가 들어 줄까?” (148쪽)

 만화책 《이치고다 씨 이야기》를 읽든 다른 ‘좋다고 느끼는’ 만화를 읽든 노상 느낍니다. 좋다고 느낄 만한 만화는 그림을 아주 빼어나게 잘 그려내야만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그림을 엉터리로 그려서는 안 됩니다. 좋다고 느낄 책이란 글솜씨가 빼어나도록 가다듬어야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글솜씨를 엉망인 채 그대로 둘 수는 없습니다.

 만화학과를 나와 만화쟁이가 되어도 만화를 잘 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화쟁이는 만화학과 있는 고등학교나 대학교를 다녀야 태어나지 않습니다. 만화는 붓놀림이나 셈틀놀림이 아니니까요. 만화에 담는 이야기는 만화쟁이 삶이니까요.

 만화쟁이 스스로 살아내는 목소리와 숨결과 손길과 살결과 몸내음을 고스란히 담는 만화입니다. 글쟁이들은 글쟁이들 목소리와 숨결과 손길과 살결과 몸내음을 글에 고스란히 싣습니다. 사진쟁이들은 사진쟁이들 목소리와 숨결과 손길과 살결과 몸내음을 사진에 담뿍 담습니다.

 기자라면 기자로서 쓰는 글(기사)에 기자 목소리와 숨결과 손길과 살결과 몸내음을 통째로 얹어야겠지요. 교사라면 교사로서 아이들 앞에 서면서 교사다운 목소리와 숨결과 손길과 살결과 몸내음을 송두리째 바쳐야겠지요.

- “괜찮을까? 한 시간이나 기다렸는데 아무도 가지러 안 왔으니까, 괜찮, 겠지?” ‘안 괜찮아!!’ (119쪽)

 좋은 만화를 읽는 마음은 좋은 ‘교육책’을 읽어 좋은 교사가 되려는 마음하고 한동아리입니다. 좋은 책을 읽는 마음은 좋은 ‘사진 기술’을 익혀 훌륭한 사진쟁이가 되려는 매무새하고 한솥밥입니다. 좋은 삶을 읽는 마음은 좋은 살림살이를 꾸리면서 좋은 밥과 옷과 집을 가꾸는 살림꾼 한삶하고 한몸입니다.

 마음을 따뜻하게 돌보고 싶으니 ‘좋다고 느끼는’ 책을 찾아야 합니다. 마음이 차가워지면서 힘든 나날이니까 ‘좋다고 느끼는’ 만화를 가까이해야 합니다.

 나 스스로 이 땅에 두 다리를 튼튼하게 딛고 서면서 내 동무들 두 다리 또한 이 땅에 튼튼히 딛고 서도록 어깨동무를 할 내 삶이라고 느낍니다.

- “그랬더니, 엄마가 착한 아이가 되면 생일 때 사 준대. 아직도 안 사 줬지만. 우리 엄마는 자주 깜빡깜빡 해. 아니면, 내가 착한 아이가 아니라서 그런가? 어떡해. 몸이 식겠다. 잘 자, 리나. 다음에 내가 잠옷 만들어 줄게.” ‘유미. 넌 착해. 유미는 착한 아이야.’ (132∼136쪽)
- “하룻밤이었지만 즐거웠어.” “네가 주워 준 거니? 고맙다. 다음에 꼭 보답할게.” ‘와, 왕자님이다.’ ‘안녕, 유미. 다정한 소녀. 그리고’ “어서 와.” “다녀왔어.” “내가 얼마나 걱정했는데.” “응, 미안해.” (143∼145쪽)

 우리 스스로 너무 많다 싶은 책을 읽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스스로 너무 모자라지 않도록 책을 읽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스스로 너무 많다 싶은 돈을 벌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스스로 꼭 알맞춤하게 돈을 벌어 나누면서 웃고 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 달 100만 원 벌이로 흐뭇한 삶을 일구고, 한 달 50만 원 벌이로 즐거울 삶을 보듬으면 됩니다. ‘88만 원 세대’ 같은 이름은 그야말로 허울입니다. 880만 원을 벌어야 아름답겠습니까. 8만 8천 원을 벌면 바보나 멍텅구리가 되겠습니까. 한 달에 돈을 얼마 버느냐는 아무것 아닙니다. 농사짓는 사람한테 쌀금이 얼마가 되느냐는 그리 대댄하지 않습니다. 살림하는 사람한테 살림돈이 얼마나 있느냐는 썩 큰 일이 아닙니다.

 농사지을 땅, 곧 흙이랑 햇볕이랑 물이랑 바람이랑 소담습니다. 살림할 집안, 곧 부엌과 방과 마루와 살림살이가 알뜰합니다.

 값비싼 농기구가 있어야 농사를 잘 짓지 않습니다. 값진 시설을 갖추어야 밥을 맛나게 짓지 않습니다.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를 탄대서 내 삶자락과 보금자리와 마을을 알뜰히 건사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만, 자동차만 타고 다닌다면, 또 커다란 자동차를 끌고 다닌다면, 더욱이 대중교통이라 하지만 스스로 길을 걷거나 자전거를 달리는 매무새를 잃는다면, 내 삶은커녕 내 몸을 들여다보기 힘듭니다.

 다리가 아파야 하고, 허리가 쑤셔야 하며, 팔이 저려야 합니다.

- “솔직히 난 이해가 안 돼. 3학년은 다들 취직 때문에 난린데, 아주 행복한 고민이잖아.” “하지만 테라노 선배는 할아버지의 원조를 전혀 안 받는다면서. 이런 낡은 아파트에 살면서 술집이다, 비디오 가게다, 알바도 열심히 하고.” “그건 그렇지만.” “그런 거 싫지 않을까. 전부 처음부터 준비된 듯한 미적지근한 환경.” “아아, 그렇구나. 그럴지도 모르겠네.” (162∼163쪽)
- “생각해 보면 그 그늘에서 벗어나서 평가를 받은 적이 없더라고. 이제 그런 거 다 귀찮아.” “그게 무슨 상관이에요. 테라노 선배는 가방 만드는 걸 좋아해서 만드는 거 아니었어요? 저, 선배의 가방 좋아해요.” “그건 네가 이상한 녀석이라 그런 거고. 아, 메시지다. 나 간다. 잘 마셨어.” “선배! 저보다 선배가 더 이상한 사람이에요. 그 말만큼은 그냥 넘길 수 없어요.” “뭐?” “이상한 사람이랄까, 굉장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어요. 여러 의미로. 솔직히 테라노 가방인지 뭔지는 전혀 모르지만, 그러니 이제 가방이 싫어졌다는 말은 하지 마세요. 테라노 가방이든 다른 곳에서든, 혼자든 아니든, 가방이야 어디서든지 만들 수 있잖아요.” (180∼183쪽)

 만화책 《이치고다 씨 이야기》 2권에서는 ‘아픔’ 가운데 한 갈래 이야기를 살포시 다룹니다. 아픔이란 참 아픕니다. 말 그대로 아픕니다. 아프니 눈물이 나고, 눈물이 나면서 거듭 아픕니다.

 아픈 자리이기에 아뭅니다. 아프지 않은 자리는 아물지 않습니다. 다친 자리는 생채기가 납니다. 생채기가 난 자리이기에 고름이 흐르다가는 딱지가 앉고, 딱지가 떨어지면서 새살이 돋습니다.

 이 나라 사람들이 ‘자그마한 일본 만화책 하나’에서 ‘아픈 삶 아픈 이야기를 아프게 그리’면서, 서로 나눌 애틋하며 고마운 사랑을 즐거이 보듬는 삶을 찬찬히 들여다보며 맞아들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꿈을 꿉니다. 다들 너무 바쁘지 않으면 좋겠고, 모두들 지나치게 배부르지 않으면 기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