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물려주고 죽는 사람
상태바
사랑을 물려주고 죽는 사람
  • 최종규
  • 승인 2011.02.14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화책 즐겨읽기] 콘노 키타,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 (1)》

 치마처럼 길게 내려오는 겉옷을 잠자리맡에서까지 입으려 하고, 머리띠와 머리핀을 누워서까지 하려는 아이한테 “안 돼. 이제 자야 해. 얼른 벗어.” 하고 말하면 말을 듣지 않습니다. 이렇게 말해서 아이가 말을 들은 적은 거의 없습니다. “응, 이제 그만 벗고 다음날 또 입자.” 하고 말하면 으레 말을 듣습니다. “내일 또 입자.” 하고 말하면 “내일 또 입자? 내일 또 입어?” 하고 되묻고, “다음날 또 입자.” 하고 말하면 “다음날 또 입어? 응, 다음날 또 입어.” 하고 되묻습니다. 이러면서 옷을 벗겨 달라 하거나 스스로 벗습니다. 서른두 달째 함께 살아가는 아이는 제 아버지 어머니하고 이렇게 말을 섞습니다.

 제 어버이가 짜증스레 말하면 아이 또한 짜증스레 대꾸합니다. 제 어버이가 살가이 말하면 아이도 살가이 대꾸합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옛말을 굳이 들추지 않아도, 살아 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나부터 듣기 좋도록 말해야 할 노릇이고, 내 입에서 나올 때부터 말하기 좋도록 말해야 할 일입니다.

 내 입에서 톡톡 쏘는 말투라 한다면, 듣는 사람에 앞서 말하는 사람 입이 망가집니다. 내 입에서 포근하게 우러나오는 말씨라 한다면, 듣는 사람에 앞서 말하는 사람 입이 어여쁩니다.

 예부터 ‘어른이 되라.’고 말해 왔습니다. 옛사람들은 ‘훌륭한 사람이 되라.’라 하지 않았고 ‘멋진 사람이 되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늘 ‘어른이 되라.’고 말했으며, ‘어른이 그게 무슨 짓이냐.’고 말했습니다.

 한편, ‘아이라면 아이답게 굴어야지.’ 하고 말해 왔습니다. 내 주제를 알고 내 나이값을 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아이가 어른처럼 군다든지 일찍부터 철이 든 애늙은이 같은 모습을 보이지 말라 했습니다. 아이들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집일을 거들고 논밭일을 함께해야 했으나, 아이한테는 어른과 똑같이 일을 시키지는 않습니다. 꼭 아이 몸과 마음에 걸맞게 일을 시켰습니다. 아이들이 일을 하다가 놀러 나간다며 내쁘든 일을 하다가 깜빡 잠이 들든 나무라지 않습니다. 물끄러미 바라보며 살살 어루만질 뿐입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얼마든지 잘못을 저지를 만하고, 잘못을 저지르면서 크며, 잘못을 하나하나 딛으며 삶을 깨우칩니다.

- “그 (엄마) 사진 좋아? 그럼 사야가 가져.” (8쪽)
- “그래. 국수는 엄마가 좋아하던 거였지.” (12쪽)
- “따라한다고?” “반만. 엄마가 해 주는 얘기는 신데렐라도 엄지공주도 ‘끝’이 없었어.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다음엔 늘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라고 했거든.” (24쪽)

 내 삶자국을 곰곰이 돌아보면, 어느 하루도 더없이 올바르거나 아름답거나 훌륭히 걸었던 적은 없지 않느냐 싶습니다. 삐딱하게 걷는다든지 흔들흔들 걷는다든지 엉터리로 걷는다든지 뒤로 걷는다든지 옆길을 걷는다든지 하곤 했습니다. 그래도 용케 오늘까지 죽 살아옵니다. 어느 하나 잘 나거나 잘 하는 일이란 없으나, 못 하면 못 하는 대로 도란도란 살아냅니다. 가만히 살피면, 한 사람 삶이란 ‘뜻한 모든 일을 빈틈없이 이룰 때’에 아름답지 않습니다. 하루하루 모자라면 모자란 대로 즐거울 수 있어야 아름답습니다. 참사랑을 열다섯 나이부터 깨달아, 열다섯부터 티없고 훌륭하며 멋스러이 사랑을 하며 살아갈 수 있지 않습니다. 엉뚱하든 뚱딴지 같든 어설프든 어리숙하든, 스스로 부딪히거나 마주하거나 복닥이면서 살아내는 하루입니다. 잘못 보았다 싶은 사랑이라지만 내 마음을 쏟아서 사랑합니다. 엉터리로 본 사랑이라 하더라도 내 삶을 바치면서 껴안습니다.

 아이들이 나뭇가지로 땅을 파는 일은 부질없을 수 있습니다. 쓸데없이 힘을 버리는 셈일는지 모릅니다. 제 어버이가 애써 차린 밥을 먹고 엉뚱한 데에 힘을 쏟는다 할 테지요.

 그러나, 뜻없는 놀이를 하든 값없는 시간죽이기를 하든, 아이한테는 아이대로 부질없는 짓으로 하루를 보내는 삶이 즐겁습니다. 아직 말이 또렷하지 않은 아이한테 또박또박 말하라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글을 쓰라 할 수 없습니다. 예닐곱 살쯤 되었으면 잔심부름이나 잔일쯤 거들어야 할 터이나, 다 큰 어른처럼 도마질을 하든 국을 끓이든 하라고 도맡길 수는 없습니다. 어차피 배울 일이 아니라, 차근차근 익히는 삶입니다.

- “저번 학교에도 그런 애가 있었어. 교실 창으로 하늘을 바라보고 쉬는 시간엔 혼자서 책을 읽곤 했던 애야. 반에서 겉돈다는 느낌보단 마음 내키는 대로 하는 고양이 같았어. 고양이의 눈으로 우리랑은 뭔가 다른 것을 보고 있달까. 하지만 나도 가끔 알 것 같아. 아, 이 아이는 지금 여행 중이구나. 그 시끄러운 교실 안에서 그 아이는 자기 시간 안에서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 있어.” (47∼48쪽)

 만화책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 1권을 봅니다. 한눈에 보기에도 그림을 그리 잘 그리지는 못하는 만화라고 알아챕니다. 그러나, 모든 만화쟁이가 처음부터 그림을 빼어나게 잘 그리라고 바랄 수 없습니다. 만화를 그리든 그림을 그리든 그림은 그림대로 제대로 그려야 하는데, 새내기나 풋내기인 만화쟁이한테는 지나치게 바라서는 안 됩니다. 다만, 하루하루 한 해 두 해 차근차근 발돋움해야지요.

 그런데 그림결은 몹시 빼어나다 할지라도 마음이 와닿지 않는 만화가 많습니다. 그림투는 아주 대단하다 할지라도 가슴을 적시지 못하는 그림이 많아요. 사진과 글도 마찬가지이고, 춤과 노래도 비슷합니다. 놀랍게 부르는 노래가 있으나, 놀랍기만 할 뿐, 가슴이 울렁거리지 않는다면, 이러한 노래를 노래라 할 만할까요. 엄청난 작품이라고 손가락을 추켜세운달지라도, 내가 차분히 바라보는 동안 내 마음속에서 불처럼 일어나는 기쁨이나 슬픔이 없다면, 이런 작품을 작품으로 여겨야 할는지요.

 만화책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는 초등학생쯤, 얼추 열한두 살부터 열서너 살쯤 되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어 내놓은 만화라고 느낍니다. 어린이들은 만화를 보면서 ‘만화를 잘 그렸다’라든지 ‘만화를 못 그렸다’라든지를 따질까 궁금한데, 아예 안 따지기도 할 테고, 어린이 나름대로 따지기도 하겠지요. 그림이란 누구나 보면 느낌으로 아니까요. 그림이란(또 글과 사진이란) 전문가가 바라보는 잣대로 값을 매기는 그림이 아닙니다. 그림이란, 즐기는 내가 바라보는 눈썰미로 사랑할 그림입니다.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는 아직 옹글게 영글기까지는 한참 멀었지만, 수수한 내 삶을 수수한 그대로 아끼면서 보듬으려는 만화쟁이 넋을 어렴풋이 느끼며 집어듭니다. 공상과학이라든지 판타지라든지 하는 줄거리를 짜야만 놀라울 만화는 아니에요. 여느 삶자리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 또한 놀라울 만화이며, 줄거리가 그닥 놀랍다 할 만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알뜰히 즐길 만한 만화입니다.

 왜냐하면 만화 또한 삶이거든요. 사람들이 살아가며 부딪히거나 부대끼거나 겪거나 치르는 이야기를 담는 만화이기에, 만화는 고스란히 삶입니다.

- “봐,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성장한다고. 어제까진 못했던 일도 내일은 할 수 있거나, 여태 손이 안 닿았던 곳에 닿기도 한단 말야.” (71쪽)

 만화책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 1권을 찬찬히 들여다봅니다. 아이한테 밥을 먹이는 틈틈이 펼칩니다. 아이가 밥을 먹다가 자꾸 딴짓을 하니, 아빠는 아이가 밥을 언제 먹나 기다리다 지쳐, 그만 한손에 책을 펼칩니다. 아이가 딴짓을 쉬고 입을 벌릴 때에 비로소 밥을 퍼서 입에 넣어 줍니다. 이럭저럭 하는 동안 어느새 1권을 다 읽고, 아이한테도 밥을 다 먹입니다.

 줄거리를 살핍니다. 이웃집에 새로 옮겨 온 사람들을 마주하는 ‘이쪽 한 동네에서 오래오래 살아오던 식구’들이 ‘일찍 죽은 엄마’를 그리워 하는 말마디로 가득합니다. 아,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는 1권에서 그리움을 말하는구나.

- “앗. 편지도 들어 있다. ‘사야에게. 물려주는 거라 미안해. 내 몫까지 예쁘게 신어 줘. 하라다 사호.’ (씨익 웃고) 그럼 상자에 넣어 둬야지.” “구두를?” “사호 언니 편지! 사야가 처음 받은 편지잖아. 첫 편지.” (127∼128쪽)
- “사야가 답장 썼어.” “와. 고마워.” “빨랑 읽어 봐.” “‘예쁜 구두 고마워. 너무 좋아. 아껴서 신을게. 사야가.’ 기뻐. 얼른 휴대폰이 생겼으면 했는데, 편지도 나름 좋은걸.” (145쪽)

 문득문득 우리 집 딸아이 손금을 들여다봅니다. 아마 여러 달 만에 한 번쯤 들여다보지 싶은데, 어린이라서 그럴는지 몰라도, 참 정갈합니다. 다른 아이들 손금도 이렇게 정갈할는지 궁금합니다. 꼭 어린이라서 정갈하다 할는지 모르겠으나, 우리 아이가 몇 살 나이로 클 때까지 아버지랑 어머니 될 우리 둘이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 헤아려 보곤 합니다. 내가 앞으로 꾸릴 수 있는 삶은 얼마나 되며, 내가 아주 오래오래 살아서 우리 딸아이가 아이를 낳아 손녀를 볼 즈음까지 살 수 있을는지, 갑작스레 차에 치여 꼴까닥 하고 숨을 거둘는지 알 노릇이 없습니다. 오래오래 산다고 더 즐거울는지 모르고, 일찍 흙으로 돌아간다고 더 슬플는지 모릅니다.

 이렇게 되어도 삶이고, 저렇게 되어도 삶입니다. 삶이란, 어떠한 길에서 뒹굴거나 맴돌더라도, 내 목숨을 고이 여기면서 즐기는 하루가 아닌가 하고 느낍니다. 만화책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에 나오는 어머님은 일찍 숨을 거두는 바람에 아이들이 한껏 큰 모습을 못 보아서 서운할까요. 이제 좀 귀엽게 말꽃을 피우면서 마음꽃 또한 무럭무럭 흐드러지는 모습을 못 보기에 슬플까요. 숨을 거두기 앞서까지 돌보거나 어루만지거나 보살핀 나날로 흐뭇할까요. 그동안 그만큼 얼굴을 보고 살결을 부비며 지냈으니 즐거울까요.

- “하늘이 모르는 물은 눈물을 말하는 거야.” (116쪽)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들 이야기하지만, 글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 말은 이름있고 힘있으며 돈있는 사람한테나 할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로서는 사람은 죽으면서 사랑을 남긴다고 느낍니다. 잘난 사람이든 못난 사람이든, 누구나 손에서 힘이 다 빠져나가 손가락이 천천히 벌어지는 이때에, 여태껏 고이 움켜쥐던 사랑을 가만히 내려놓으면서 뒷사람들이 더욱 따사롭거나 넉넉히 살아가도록 사랑을 남겨 준다고 느낍니다.

 돈이 아닌 사랑을 물려주는 어버이입니다. 아이들이 어버이보다 일찍 흙으로 돌아간달지라도 이 아이들 또한 제 어버이한테 사랑을 남기고 떠난다고 느낍니다.

 하늘이 모르는 물처럼, 사람은 한삶을 사랑으로 얼싸안습니다. 하늘이 아는 물처럼, 사람은 온삶을 사랑으로 마무리짓습니다.

― 다음 이야기는 내일 또 1 (콘노 키타 글·그림,김승현 옮김,대원씨아이,2010.12.15./55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