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동네 작은 사람들이 좋아
상태바
작은 동네 작은 사람들이 좋아
  • 최종규
  • 승인 2011.03.13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화책 즐겨읽기] 김의정, 《떴다! 무지개 상가 (1)》

 작은 동네 작은 사람들 이야기를 담은 만화책 《떴다! 무지개 상가》 1권을 봅니다. 우리들 살아가는 이 나라를 보자면, 대한민국은 경제가 몇 위이고 뭐가 몇 위이고를 따지지만, 찬찬히 내 삶터로 내려와서 내 보금자리를 돌아본다면, 우리는 누구나 작은 동네에서 작은 사람들로 살아갑니다.

 큰 동네 큰 사람들이 아닌 우리 삶입니다. 작은 동네 작은 사람들인 우리 삶이에요. 나부터 작은 동네 작은 사람입니다. 내 이웃이나 동무 또한 작은 동네 작은 사람이에요.

 서로서로 잘 나거나 못 나거나 하지 않습니다. 오순도순 지내며, 툭탁툭탁 다투기도 하다가는, ‘다 사람 사는 일’이라고 여기며 너그러이 감싸거나 어깨동무를 합니다.

 내 삶을 애써 큰 동네 큰 사람이라고 높일 까닭이 없습니다. 나로서는 작은 동네 작은 사람으로 머물고 싶지 않고, 남보다 큰 동네에서 살며 남보다 큰 사람으로 살고프다 꿈꿀 수 있어요.

 그렇지만, 큰 동네 큰 사람이든 작은 동네 작은 사람이든, 꼭 한 번 주어지는 목숨입니다. 내 어버이한테서 딱 한 번 선물받아 꾸리는 삶입니다.

 내 삶에서 서른일곱 나이는 딱 한 차례 흐르다가 지나갑니다. 스물일곱 나이도, 열일곱 나이도, 일곱 나이도 오직 한 차례만 흐르다가 지나갑니다. 두 번이나 세 번 보낼 수 없는 열여덟, 스물여덟이에요. 싫거나 못마땅하기에 서른이나 마흔을 훌쩍 건너뛸 수 없어요. 누구나 똑같이 누리는 삶입니다. 누구나 고르게 맞아들이는 나이입니다. 우리는 모두 작은 동네 작은 사람입니다. 내가 선 작은 동네를 느끼면서 작은 동네 이야기를 글이나 그림이나 만화나 사진으로 담을 수 있고, 나 스스로 꾸리는 삶을 돌아보면서 내 삶을 글이나 그림이나 만화나 사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저기 혹시, 여기가 별로 즐거운 추억의 장소는 못 되니까 무조건 달아나려는 건 아니야?” “뭐, 솔직히 얘기하자면 그런 면도 없지 않아. 여기는 아버지 땜에 숨막혀 했던 기억밖에 없는 곳이니까. 하지만 내가 여길 벗어나려는 게 그것 때문만은 아냐. 나는, 나는 우리 아버지처럼 살고 싶지 않아. 이런 구석탱이 동네에 틀어박혀서 매일같이 사진관 문이나 열고 닫으면서, 매번 틀에 박힌 똑같은 사진이나 찍어대셨지. 난 그렇게 꿈도 희망도 없이 현실에 끌려다니는 사람은 되고 싶지 않아.” (74∼75쪽)
- “정말 가긴 가네. 조만간 송별회나 한번 하자고.” “잠깐 있다 가는 건데요, 뭘. 그런 거 안 해 주셔도 돼요.” “자네야 그럴지 몰라도 우리한테 풀꽃사진관은 잠깐이 아니지 않은가.” (77쪽)

 이름이 남는다 해서 한결 돋보일 삶이 아닙니다. 이름을 못 남긴다 해서 슬플 삶이 아닙니다. 돈을 더 번다고 훨씬 좋은 삶이 아닙니다. 돈을 얼마 못 벌었으니까 참 못난 삶이 아닙니다.

 즐거이 태어나서 즐거이 살다가 즐거이 죽는 목숨입니다. 즐거이 사귀다가 즐거이 어우러지며 즐거이 헤어지면서 즐거이 눈을 감는 목숨입니다.

 구석탱이 동네에서 뿌리를 내린다고 내 삶이 구석탱이 삶이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 가슴을 짠하게 울리거나 움직이는 사진’을 찍은 분들은 하나같이 ‘구석탱이 동네’에 깃들거나 찾아와서 사진을 찍습니다. ‘커다란 동네’나 ‘부자 동네’ 사람들 삶을 사진으로 담아 ‘아름답다 느낄 사진을 선보이는 사람’은 거의 없거나 아예 없습니다. 연예인을 사진으로 찍거나 패션사진을 한다는 이들은 커다란 동네 커다란 사람을 담는 셈일까요. 이들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는 우리들 수수한 사람들하는 참으로 동떨어진 먼나라 사람일까요. 연예인은 똥을 안 누거나 밥을 안 먹을까요. 대통령은 잠을 안 자거나 하품을 안 할까요.

- “오메, 여기 707호 형님 걸려 있네!” “엉? 내 사진이?” “언제 찍은 거여?” “5년 전 칠순 잔치 때 찍은 사진이네.” “어째 5년 전에 찍은 사진보다 오늘 받은 사진이 더 젊어 보여?” “그러게! 호호호호.” “이 사진이 좀더 자연스러워 보이긴 하네, 그치?” (49쪽)
- “마리가 아버지한테 잘 보이고 싶어서 (사진을) 시작했던 거예요. 물론 아저씨의 반응은 냉담했지만. 그 무렵에 마리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리가 무슨 사진 공모전에서 상을 하나 받아왔어요. 마리가 아버지의 마음을 위로해 드릴 수 있겠다고 잔뜩 들떠 있었죠.” (66쪽)

 굳이 꾸밀 까닭이 없이 살아가는 작은 동네 작은 사람입니다. 애써 잘 보이려 하지 않는 작은 동네 작은 사람입니다.

 만화이든 소설이든 연속극이든, 왕자님이나 공주님 이야기를 담아야 하지 않습니다. 크고 까만 비싸구려 자동차를 몰아야 왕자님이지 않습니다. 아이 오줌기저귀를 빤대서 왕자님이 아닐 까닭이 없습니다. 밥순이 집순이 노릇을 하는 사람이기에 공주님이 아닐 까닭이 없습니다. 아니, 사람들이 온통 왕자님이고 공주님이면 누가 밥을 하고 누가 옷을 빨며 누가 집을 돌보지요? 밥을 안 먹고 옷을 안 입으며 집살림을 안 돌보아도 괜찮은 내 삶인가요?

 시시껄렁해 보이는 수다로 느낄는지 모릅니다. 쓸데없는 이야기로 여길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바로 이 시시껄렁해 보이는 수다가 사람을 살찌웁니다. 바로 이 쓸데없는 이야기가 삶을 북돋웁니다.

 오이 하나 밀가루 한 봉지 필름 한 통 책 한 권마다 손때와 손길과 손자국과 손무늬가 남습니다. 한꺼번에 밀어붙여 40층이니 60층이니 하는 높고 비싼 아파트를 숲처럼 올려세워야 멋들어지거나 놀라운 도시가 되지 않습니다.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옹기종기 모여서 크고작은 살림집을 이루어 달동네이든 꽃동네이든 해동네이든 나무동네이든 텃밭동네이든 골목동네이든 복닥이면 아름다운 내 나날이고 내 삶자락입니다.

- “이것도 우리 짐이었던가? 스크랩북? 자기야, 아버님이 생태사진작가셨어?” “뭔 소리야?” “이거 아버님 사진하고 성함 아냐?” “응?” “아버님 맞지?” “아, 응.” “자기도 몰랐던 거야?” “전혀. 생전 처음 보는.” “아버님이 처음부터 사진관을 운영하신 게 아니었구나.” (91∼93쪽)
- (마리 아버지가 젊을 적 일) “여기에 사진관 개업하신다는 게 사실입니까?” “소문 참 빠르기도 하구먼.” “네? 왜요? 형님 지금 잘 나가고 있잖아요! 더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왜 포기하시는 겁니까?” “포기는 무슨. 그냥 내 성미에 안 맞을 뿐이야. 몸도 약한 마누라를 어린 것한테만 떠맡기고 좋은 사진을 찍으면 뭘 하겠나?” (97쪽)

 이제 1권이 나온 만화책 《떴다! 무지개 상가》가 2권부터 어떤 사람들 어떤 이야기로 아웅다웅 북적거리는 삶을 보여줄는지 궁금합니다. 거룩하거나 훌륭하거나 놀랍거나 대단한 이야기가 아니어도 얼마든지 좋습니다. 자잘하거나 하잘것없거나 하찮거나 초라한 이야기일지라도 얼마든지 좋습니다. 크든 작든 내 삶을 담으면 아름답습니다. 잘 났든 못 났든 내 이야기를 나누면 즐겁습니다. 빛나든 어둡든 내 발걸음을 디디면 사랑스럽습니다. 잘생겼든 못생겼든 내 얼굴이 가장 귀엽습니다.

 대통령도 시장도 국회의원도 판사도 모두 아버지이거나 어머니이면서 딸이거나 아들입니다. 고운 목숨을 선물하는 사람이면서 고운 목숨을 선물받은 사람입니다.

 사랑하는 삶과 사랑받는 삶 이야기를 조곤조곤 적바림하는 어여쁜 만화로 이어가면 좋겠습니다. 미더운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이야기를 소곤소곤 들려주는 아리따운 만화로 마음문을 열면 고맙겠습니다.

― 떴다! 무지개 상가 1 (김의정 글·그림,마녀의책장 펴냄,2010.11.30./6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