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다섯 늙쟁이가 부르는 시노래
상태바
일흔다섯 늙쟁이가 부르는 시노래
  • 최종규
  • 승인 2011.03.17 1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읽기 삶읽기] 문병란, 《금요일의 노래》

 어느덧 일흔다섯 줄 나이에 접어든 ‘늙은 시인’ 문병란 님 시를 그러모은 《금요일의 노래》를 읽습니다. 《금요일의 노래》라는 이름이 붙은 시집에 실린 시에는 ‘늙어가기’라는 꼬리말이 하나씩 붙습니다. 문병란 님은 마흔 쉰 예순 일흔, 이렇게 차츰 늙은 나이로 접어들면서 ‘늙는 맛’을 깨닫습니다.

 마땅한 노릇입니다. 젊은 사람은 늙는 맛을 느낄 수 없고, 어린 사람이 늙는 멋을 알아챌 수 없습니다.

 그러면, 늙은 사람은 젊은 맛이나 어린 멋을 느끼거나 알 수 있을까요. 젊은 날을 거쳤고, 어린 날을 지난 늙은 사람이 떠올리거나 헤아리거나 살피는 젊은 맛이나 어린 멋이란 무엇일까요.

.. 고향 참새 소리 들어 본 지 얼마만인가 ..  (고향 참새 : 늙어가기 1)

 하루에 책 한 권씩 읽을 수 있다면, 나이 일흔다섯인 사람이 읽은 책은 나이 열다섯인 사람이 읽은 책보다 훨씬 많습니다. 나이 스물다섯이나 서른다섯인 사람이 읽은 책하고 견주어도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늙은 사람은 젊거나 어린 사람하고 맞댈 때에 ‘어마어마하게 많다’ 싶도록 책을 읽었으니 한결 훌륭하다 할 만할까요, 훨씬 빼어나다 할 만할까요. 책을 더 읽은 사람은 책을 덜 읽은 사람보다 똑똑하다 할 만할까요, 뛰어나다 할 만할까요.

 늙은 사람은 이런 일도 해 보고 저런 사람도 겪어 봅니다. 젊은 사람이나 어린 사람이 사귀거나 만나는 사람으로는 ‘늙은 사람이 만나거나 사귄 사람 숫자이며 깊이이며 너비’를 좇거나 따르지 못합니다.

 늙은 사람이기에 더 많은 사람을 마주하거나 사귀었대서 ‘사람을 더 잘 알아보’거나 ‘사람들 마음을 한결 살뜰히 읽는다’ 할 만할까요. 젊은이는 사람을 볼 줄 모르고, 어린이는 사람을 사귀는 멋을 모른다 해도 될까요.

.. 내가 처음 배운 말은 / 맘마·밥·엄마·아빠. / 그 다음 배운 말은 / 응아·쉬야였다 ..  (하지 마라 : 늙어가기 6)

 스물다섯 나이로 시를 쓰는 사람하고 일흔다섯 나이로 시를 쓰는 사람이 같을 수 없습니다. 스물다섯 시쟁이가 일흔다섯 시쟁이를 흉내낼 까닭이 없고, 일흔다섯 시쟁이가 스물다섯 시쟁이를 좇을 까닭이 없습니다.

 그런데 시쟁이한테서 시를 받아 시집을 엮는다든지, 신문이나 잡지에 시를 싣는다는 사람들은 일흔다섯 나이가 아닙니다. 책을 만드는 일꾼이나 신문·잡지를 엮는 일꾼은 으레 스물다섯 언저리부터 마흔다섯이나 쉰다섯 언저리까지입니다. 예순다섯을 넘으면서 책을 만들거나 신문이나 잡지를 엮는 일꾼은 없습니다.

 일흔다섯 나이를 고이 헤아리면서 일흔다섯 나이를 사랑하는 시를 엮자면 일흔다섯 나이여야만 하지는 않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열다섯 나이에 쓴 시라든지 다섯 나이에 쓴 시를 어여삐 돌아보면서 이들 푸름이와 어린이 시를 엮을 때에 열다섯 나이이거나 다섯 나이여야만 하지는 않아요.

 그렇지만, 늙은 사람 시를 읽어 가슴으로 담자면, 늙은 사람 몸과 마음으로 내 삶을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 시를 읽는 나는 내 눈길과 눈썰미와 눈높이에 따라 받아들이지만, ‘시가 태어나 우리 앞에 놓이기’까지 어떠한 길을 걸어왔는가를 읽어내자면, ‘늙은 사람 시를 읽을 때에는 늙은 사람 삶’이어야 하고, ‘푸름이 시를 읽을 때에는 푸름이 삶’이어야 하며, ‘어린이 시를 읽을 때에는 어린이 삶’이어야 합니다.

.. 좋은 시라니? / 좋은 일 없는 나라에서 / 그런 욕심 금물 아닐까 ..  (경칩 : 늙어가기 14)

 이 나라에서뿐 아니라, 이웃 일본을 비롯해 온누리 여러 나라에서는 ‘만화책을 책으로 안 여긴다’든지 ‘어린이책은 어린이만 보는 책으로 여긴다’든지 하는 얕은 울타리를 아직 높직하게 쌓습니다. 사진책을 사진책으로 바라보며 이야기 나누는 한편, 사진책을 사진책대로 즐기는 매무새를 찾아보기란 몹시 힘듭니다.

 ‘사진을 한다’고 하면 으레 ‘예술 하시나 보네요’ 하고 여기지, ‘어떠한 사진을 찍어 어떠한 사람들하고 어떠한 이야기를 나누는가’를 살피지 못합니다.

 만화책을 읽는다 한다면, ‘어떠한 만화책을 장만해서 만화에 깃든 어떠한 이야기를 곰삭이며 어떠한 이웃하고 어떠한 삶을 꾸리는가’를 돌아보아야 합니다. 그림책을 읽을 때이든 어린이책을 읽을 때이든 매한가지입니다.

 시집을 읽는다 한다면,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삶을 일구면서 어떠한 넋을 담은 시인가’를 읽으면서, 내 삶과 내 이웃 삶을 가만히 톺아보아야 알맞습니다.

 싯말을 요리조리 잘라서 이 대목은 무슨무슨 수사법을 썼다라든지, 이 싯말에서는 무슨무슨 주의주장을 담았다든지 하고 외는 일이란 ‘시 비평’도 ‘시읽기’도 아닙니다. 그예 뭇칼질입니다.

.. 2007년 8월 17일 금요일 창작과 비평 6년 전 묵은 호 111호 54년생 후배의 시를 더듬더듬 읽고 있는데, 고장난 뻐꾹시계가 멋대로 정오를 알린다 외출할 것이냐 말 것이냐 내 마음은 점점 외로워져 가는데 살기도 힘들고 나의 내장은 먹은 것이 잘 안 내린다 읽는 시가 설컹설컹 목구멍에 걸린다 무슨 놈의 서정시가 이렇게 꼬장꼬장 어렵기만 한담! 혓바닥에 깔깔하고 눈알이 울울하다 창비에 시를 게재한 지 수 년이 지났는데 그 사이 필진이 많이 바뀌었구나 ..  (금요일의 노래 : 늙어가기 47)

 “좋은 일 없는 나라”에서는 “좋은 시”가 없다 했습니다. “좋은 삶 없는 나라”에서는 “좋은 시 읽을 일” 또한 없습니다.

 나 스스로 좋은 사람이어야 합니다. 나 스스로 좋은 삶을 일구어야 합니다. 나 스스로 좋은 넋으로 좋은 글을 읽거나 써야 합니다.

 누가 해 주는 “좋은 나라 만들기”가 아닙니다. 하루아침에 좋은 대통령감이 나타나서 좋은 대통령 한 사람이 모든 개혁과 혁명과 혁신 따위를 이루어 줄 일이란 없습니다. 내 보금자리에서 내 살붙이랑 천천히 “좋은 집 일구기”를 해야 합니다. 내 이웃과 동무하고 “좋은 삶 함께 지내도록 어깨동무하기”를 이루어야 합니다.

 나부터 좋은 삶을 즐길 때에 좋은 나라가 되면서 좋은 시가 태어납니다.

.. 이틀째 궂은비는 내리고 / 김소월의 두 배를 살아온 지루한 삶 ..  (똥파리 사냥 : 늙어가기 52)

 김소월 님보다 세 곱을 산다 해서 더 뛰어나지 않겠지요. 거꾸로 김소월 님보다 일찍 흙으로 돌아간대서 더 알차지 않습니다. 김소월 님만큼 살았으니까 비로소 해맑거나 말끔하다 할 수 없습니다.

 나는 내 삶을 일굽니다. 나는 나한테 주어진 하루를 고맙게 맞아들입니다. 나는 내 몸과 마음에 맞추어 내 나날을 보냅니다. 내가 몸이 튼튼하면 튼튼한 대로 더 바지런히 일하거나 놉니다. 내가 몸이 여리다면 여린 대로 골골 앓으면서 하루하루를 버팁니다.

 누군가는 조금만 일해도 돈을 왕창 벌겠지요. 누군가는 새벽부터 밤까지 몸이 망가지도록 일하지만 돈 몇 푼 못 쥐겠지요.

 돈을 더 번대서 더 기쁜 삶이 아닙니다. 이름을 드날리니까 참 좋은 삶이 아닙니다. 튼튼하다는 몸으로 술을 엄청나게 퍼마신대서 신나는 술잔치가 아닙니다. 내 길이 무엇인지를 또렷하게 깨달아, 씩씩하고 꿋꿋하게 걸어가야 비로소 기쁘며 좋은 삶이에요.

.. 서울은 소문을 만드는 곳 / 그 소문을 밑천 삼아 / 떼돈을 버는 곳 ..  (소문의 도시 : 늙어가기 54)

 문병란 님이 서른을 살짝 넘겼을 무렵 쓴 시하고 일흔을 훌쩍 넘긴 때에 쓴 시는 같으면서 다릅니다. 마음이 같다 할 수 있으나, 마음이 달라졌다 할 수 있습니다.

 서른다섯 살부터 일흔다섯 살까지 한결같이 잇는 마음이 있지만, 이동안 거듭나거나 부딪히거나 곰삭이면서 새롭게 거듭나는 마음 또한 있어요.

 한우물을 판대서 한마음이기만 할 수 있습니다. 한우물을 파며 걸어온 삶 또한 숱한 갈래 수많은 생각과 꿈과 사랑이 피고 집니다.

 소문을 밑천 삼아 떼돈을 벌어들인 문병란 님이라 한다면 일흔다섯 나이에까지 시를 붙잡을 까닭이 없었는지 모르며, 떼돈을 벌었으니까 더 돈을 붙잡고 싶어 돈내음 구리게 나는 시를 더 매캐하게 뿜어댈는지 모릅니다.

 모르기는 모르지만, 문병란 님으로서는 소문을 붙잡기는커녕 돈자락 꽁무니조차 그닥 붙잡지 못한 ‘어수룩하’고 ‘어리석’으며 ‘어설픈’ 시쟁이 삶을 고만고만하게 보내지 않느냐 싶습니다.

.. 아내는 내 시의 애독자 / 책에 나오면 내가 먼저 읽고 / 그 다음 나의 아내가 읽는다 ..  (아내는 외출 중 : 늙어가기 60)

 못난 놈은 못난 놈끼리 논다고 누군가 말했습니다. 돈쟁이는 돈쟁이끼리 놀고, 정치꾼은 정치꾼끼리 놉니다. 공무원은 공무원끼리 어울리며, 농사꾼은 농사꾼끼리 어깨동무합니다.

 서로서로 한마음이 되는 동무하고 놀며 어울리고 어깨동무하는 삶입니다. 서로서로 한마음이 되지 못하면서 겉치레로 손을 맞잡는 일은 옳지 않고 즐겁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착한 사람은 착한 사람끼리 어울립니다. 짓궂은 사람은 짓궂은 사람끼리 복닥입니다. 도시사람은 도시사람끼리 마음이 잘 맞고, 시골사람은 시골사람끼리 생각이 잘 맞습니다. 두 다리로 걸어다니는 사람은 저처럼 두 다리로 걸어다니는 사람이 반갑습니다. 자가용을 씽씽 모는 사람은 저처럼 자가용을 씽씽 모는 사람이 반가울 테지요.

.. 늙는다는 것 / 젊어서는 몰랐네 ..  (무지개 노래 : 늙어가기 119)

 그나저나, 문병란 님은 당신 일흔다섯 나이에 내놓는 시집에 왜 “금요일의 노래”라는 이름을 붙였을까 궁금합니다. 금요일에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금요일을 맞이하면 흥얼거리는 노래이기 때문에?

 ‘늙어가기 47번’으로 “금요일의 노래”를 부르기도 하지만, 문병란 님 일흔다섯 나이 시집이란 “늙은 시인이 부르는 노래”입니다. 늙은 시인이 이 땅에서 얼레벌레 일흔다섯이 되도록 용케 안 죽고 용하게 잘 살아서 시도 쓰고 술도 마시며 당신하고 똑같이 늙은 옆지기하고 오순도순 살아간다고 기쁘면서 슬프게 부르는 노래입니다.

 당신 젊을 때에는 젊은 시를 썼고, 당신 늙을 때에는 늙은 시를 씁니다.

 서른다섯에도 시집을 한 권 내고, 일흔다섯에도 시집을 또 한 권 낼 수 있는 삶이란 얼마나 아름다운가 싶습니다. 여든 살에도 시집을 다시 한 권 낼 수 있다면, 스무 살이나 마흔 살에 낼 수 있던 시집 못지않게, 또는 열 살이나 서른 살에 냄직한 시집하고는 새삼 다르게 웃음과 눈물이 아리땁게 스미리라 생각합니다.

― 금요일의 노래 (문병란 글,일월서각 펴냄,2010.12.23./12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