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뱅이 집에 들어가기 싫은 사람은 안 들어간다
상태바
가난뱅이 집에 들어가기 싫은 사람은 안 들어간다
  • 최종규
  • 승인 2011.03.21 03: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찾아 읽는 사진책] 요제프 쿠델카(Josef Koudelka), 《Koudelka》

 다큐사진을 하거나 다큐사진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요즈음 ‘요제프 쿠델카’를 자주 이야기합니다. 곁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조용히 듣다가 ‘그 사람 사진이 그렇게 좋은가?’ 하고 혼자서 생각합니다. 그런데 요제프 쿠델카라는 사람이 찍은 사진이 좋다고 하든 이이를 좋아한다고 하든, 요제프 쿠델카를 말하는 사람들치고 막상 요제프 쿠델카가 찍은 사진을 담은 책을 사서 읽었으며, 이 사진책을 읽을 때에 어떠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또 혼자서 생각합니다. ‘뭐야, 쿠델카 사진책을 사서 읽지 않고 쿠델카를 말할 수 있는가? 어디에선가 쿠델카 사진책을 빌리거나 얻어서 몇 번 읽을 수는 있겠지. 그런데 쿠델카 사진책을 사서 내 곁에 놓으며 수없이 되읽지 않는다면 쿠델카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아니 쿠델카 사진이 어떻고 저떻고 하다며 이러쿵저러쿵 말밥으로 삼을 수 있는가?’

 두 해쯤 ‘쿠델카 사진책’을 생각하며 지냈습니다. 속으로 생각한달지라도 ‘나부터 쿠델카 사진책을 어디에서 사야 할지 몰랐’기 때문입니다. 내가 사진책을 즐겨 사던 책방은 장사가 힘들어 ‘그동안 애써 갖추던 사진책을 모조리 처분’했습니다. 한 달에 한 권씩 나라밖 비싼 사진책을 사자고 하던 그 책방이 나라밖 사진책을 다루지 않으니, 인터넷에서는 책을 안 사던 저로서는 쿠델카 사진책이 헌책방으로 흘러들기만을 손가락 쪽쪽 빨며 기다릴밖에 없습니다.

 이러던 지난겨울, 서울에서 서울사진축전을 한다며 저한테서 사진책 300권 남짓을 빌려갔고, 이 사진책으로 서울시립미술관 한켠에서 ‘사진책 도서관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 찾아가서 내 사진책들이 어떻게 놓였는가 살피려고 서울마실을 합니다. 서울마실을 한 김에 서울 홍대 앞 만화가게에 들러 시골에서 지내며 못 산 만화책을 잔뜩 삽니다. 이런 다음 이제 시골집으로 돌아갈 차를 타야지 생각하며 전철역으로 가는데, 골목 한켠에 사진책과 디자인책과 일본만화책을 유리 진열장에 가득 놓은 책방이 한 군데 보입니다. 이 책방 유리 진열장에서 ‘Koudelka’라는 알파벳을 만납니다.

 걸음을 우뚝 멈춥니다. 아버지 손을 잡고 노래하며 걷던 아이도 발걸음을 멈춥니다. 아버지는 아이한테 “벼리야, 여기 한번 들렀다 가자!” 하고 말하며 문을 밀치고 들어섭니다. 무거운 가방을 내려놓는 동안 아이는 책방 골마루를 요리 뛰고 저리 뜁니다. 책방 아주머니는 아이가 귀엽다며 고맙게 놀아 주십니다. 아이를 귀여워 하는 아주머님한테 여쭙니다. “저기, 바깥에 있는 쿠델카를 볼 수 있을까요?”

 비닐에 싸인 사진책인데, 아주머니는 “네, 그럼요.” 하면서 선선히 비닐을 뜯어 줍니다. 아, 나는 비닐을 뜯어 달라는 뜻이 아니라, 겉만 보자는 뜻이었는데. 속을 들여다보지 않고 겉만 보아도 웬만큼은 내가 살 만한가 살 만하지 않은가를 알 수 있어서, 책 생김새를 보여 달라고 했던 소리인데.

 책방 아주머니는 당신 책방에 있는 ‘또다른 쿠델카’ 한 권도 보여줍니다. 그러고는 다시 아이하고 함께 놉니다. 갑작스레 마주한 쿠델카를 더없이 고맙게 펼쳐서 읽습니다. 두 가지 쿠델카 사진책은 똑같은 쿠델카 사진을 그러모았지만 엮음새와 ‘인화 느낌’은 똑같지 않습니다. 사진을 엮은 매무새가 달라, 쿠델카 사진이 사람들한테 무슨 이야기를 건네려 하는지 ‘조금은 다르게’ 느끼겠구나 싶습니다. 사진쟁이는 사진쟁이대로 사진을 찍으나, 이 사진을 읽는 사람들은 ‘사진을 읽는 사람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어떤 생각으로 삶을 일구느냐’에 따라 사진읽기가 달라집니다. 사진책을 내는 편집자가 ‘사진을 어떠한 눈길과 마음과 손길로 엮어서 꾸미느냐’에 따라, 사진책이 들려주는 목소리와 이야기가 이렇게 달라지는구나 하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두 가지 사진책을 함께 보는 사람도 틀림없이 있을 테지만, 으레 어느 한쪽 사진책으로 쿠델카를 만나지 않겠느냐 싶습니다.

 한참 두 가지를 견주다가, 11만 원이라 하는 쿠델카하고 7만 원이라 하는 쿠델카를 놓고 망설인 끝에 11만 원짜리 쿠델카를 사기로 합니다. 책에 실린 사진이 어슷비슷하다면 7만 원짜리 쿠델카로도 넉넉하지만, 쿠델카를 잘 모르거나 쿠델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처음 마주할 쿠델카’라 한다면, 11만 원짜리를 먼저 보고 나서 7만 원짜리를 보아야 ‘사진책 편집자에 따라 사진 느낌이 이렇게 달라지는구나’ 하고 느낄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여느 사람들이 흔히 좋아한다고 말하는 쿠델카를 알자면 11만 원짜리를 고를 수밖에 없습니다.

 시골집으로 돌아옵니다. 《Koudelka》를 여러 달 책상맡에 놓습니다. 꽤 비싸다 싶은 값을 치르고 장만했으니 여러 번 수십 차례 들여다보지 않습니다. 사진을 제대로 읽고 싶기도 하지만, 사진에 깃든 마음과 손길을 찬찬히 읽고 싶으니 오래도록 곁에 놓습니다. 한참 마음껏 즐긴 다음 내 도서관 책꽂이에 얌전히 꽂아야지요. 쿠델카 사진책은 살가도 사진책 옆에 꽂을 수 있지만, 브레송 사진책 옆에 꽂을 수 있고, 김보섭이나 주명덕 사진책 곁에 꽂을 수 있습니다. 성남훈이나 한금선 사진책 둘레에 꽂을 수 있어요.

 꽤 예전에 사들여서 읽던 책 《요제프 쿠델카》(열화당,1987)를 들춥니다. 1984년에 ‘Photo Poche’에서 펴낸 책을 저작권 삯을 안 치르며 내놓은 사진책입니다. 이 사진문고를 내놓은 출판사는 저작권 삯을 안 치렀으니 이 멋진 책을 우리들이 구경할 수 있는지 모릅니다. 이무렵 저작권 삯을 치르며 이만 한 사진책을 내놓아야 했다면, 아마 우리들은 이 사진책을 구경하지 못했겠지요. 한글로 된 아주 드문 쿠델카 사진책인 터라, 쿠델카 사진을 비평한 ‘베르나르 뀌오’ 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베르나르 뀌오 님은 쿠델카 사진을 낱낱이 파헤치면서 말합니다. “나는, 피해자와 가난한 사람들의 모습이 사진가에 의해 노골적으로 드러나게 되는 것에 수치심을 느낀다.” 뀌오 님은 덧붙입니다. “가난한 사람의 집에, 들어가기 싫은 사람은 들어가지 않는다.”

 다큐사진을 찍는 이들은 가난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동네를 자주 찾아옵니다. 자연사진이든 풍경사진을 찍는 이들은 시골이나 멧골을 흔히 찾아옵니다. 다큐사진을 찍는 이들은 가난한 동네에서 똑같이 가난하게 살아가지는 않습니다. 자연사진이나 풍경사진을 찍는 이들은 시골이나 멧골에서 시골사람이나 멧골사람하고 함께 살아가지는 않습니다.

 쿠델카 님은 체코슬로바키아 한복판에서 살았기에 체코슬로바키아 꿈틀거림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쿠델카 님은 숨을 거둔 집시 한 사람을 흙으로 떠나 보내는 자리라든지 손에 수갑을 차고 마을에서 떠나야 하는 사람하고 같은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이 모습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참말로, “가난한 사람이 살아가는 집에 들어가기 싫은 사람은 들어가지 않”을 뿐더러 쳐다보지 않고 생각하지 않으며 알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다큐사진을 찍는 이들은 으레 가난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동네로 찾아올 뿐, 정작 다큐사진을 찍는 이가 몸을 담거나 뿌리를 내리며 살아가는 동네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이야기로 갈무리하거나 그러모으지는 않습니다.

 《요제프 쿠델카》는 1984년 사진책입니다. 《Koudelka》는 2006년 사진책입니다. 요제프 쿠델카 님은 1950년대부터 사진을 찍어 2000년대까지도 사진을 찍습니다. 1984년에 나온 《요제프 쿠델카》는 스무 해 남짓 사진길을 걸어온 발자국을 담습니다. 2006년에 나온 《Koudelka》는 거의 쉰 해에 가까운 사진길 발자국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요제프 쿠델카》에서 《Koudelka》로 오는 동안, 쿠델카 님 사진에서 ‘사람 그림자’가 자꾸 사라집니다. 2006년에 나온 《Koudelka》로 가까워지는 만큼 쿠델카 님 사진에서 ‘사람들 살림살이’는 거의 자취를 감춥니다. 빛이랑 그늘이 어우러지는 흐름이라든지, 빛줄기 내려앉은 멧마루나 길바닥이나 동상이나 정물 사진이 하나둘 늘어납니다. 무지개빛 사진 아닌 흑백사진으로도 얼마든지 예술이요 문화임을 보여주는 사진이 늘어납니다. 아기자기한 멋이 있고 우락부락한 멋이 있는 또다른 사진삶이 드러납니다.

 빛깔 아닌 흑백으로 찍으면서 사진쟁이 나름대로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빛깔 아닌 흑백으로 찍는 바람에 놓치거나 잃거나 버려야 하는 숱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가난하게 살아가는 사람이 ‘나와 이웃’을 사진으로 담을 때하고, 가난하지 않은 사람이 가난한 마을을 찾아가서 ‘주변인’을 사진으로 담을 때란 똑같지 않습니다.

 어떻게 일하거나 놀며 살아가는가를 찍기 앞서, 함께 부대끼지 못한 채 가만히 벽이나 방에 세워 놓고 찍으면, 무슨 ‘사람(인물) 사진’이 될까 잘 모르겠습니다.

 쿠델카 님 《요제프 쿠델카》도 좋고 《Koudelka》도 좋습니다. 사진으로 담을 사람삶이란 무엇이요 사진기를 쥐고 걷는 사진길이란 무엇인가를 잘 밝힙니다.

 1984년 《요제프 쿠델카》에 비평을 넣은 베르나르 뀌오 님은 첫머리에서 “이 책을 볼 때에는 언제나 마지막 페이지부터 보아야 한다. 첫 번째 사진, 즉 풀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계를 차고 있는 주먹 사진은 아직 당신에게 아무런 의미도 전해 줄 수 없다.”고 적었습니다. 2006년 《Koudelka》에서 ‘풀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계를 차고 있는 주먹 사진’은 사진책 깊숙한 자리에 숨었습니다. 시계 찬 사진이 두 장 나오기는 하나, 어디메에 숨었는지 찾기란 참 힘듭니다. 스물두 해라는 나날을 건너뛰는 동안 우리들은 ‘어떠한 뜻을 건네받을 수 있’도록 사진이 달라지거나 쿠델카 님 사진밭이 거듭났다는 소리가 될까요. 아니면, 이제는 쿠델카 님이 사진을 찍을 때에 사진마다 ‘우리한테 무슨 이야기와 뜻을 건네려 하는지 또렷이 아로새기게 되었다’는 소리가 되려나요.

 요제프 쿠델카 님 다큐사진은 틀림없이 ‘한 발자국 안으로 들어선 사진’입니다. 가난한 사람들 집에 성큼성큼 발을 들여놓은 사진입니다. 죽은 사람을 기리는 자리에서 사진을 찍어도 괜찮다는 말을 듣고는 스스럼없이 찍은 사진입니다.

 그래요, 찍었습니다. 찍어서 보여줄 모습을 찍었습니다. 그러면, 어떤 사람 어떤 마음 어떤 삶을 찍은 사진이 될까요. 찍어야 할 모습을 찍었기에 다큐사진이라 할 만하거나 좋은 다큐사진이라 하면 될는지요.

 쿠델카 님 집시 사진에는 쿠델카 님 삶과 넋과 말이 깃듭니다. 한국땅 적잖은 다큐사진쟁이는 쿠델카 님 사진이 보여주는 ‘빛살과 느낌과 그늘과 감도와 흑백’과 같은 모양새로 또다른 ‘다큐 집시 사진’이라든지 ‘다큐 무슨무슨 사진’을 선보입니다. 그렇지만, 다큐라는 이름을 붙인 사진이기는 하되, ‘무슨 이야기’를 담아 누구하고 도란도란 말꽃을 피우려 하는지는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다큐멘터리라는 이름을 붙이기 앞서, 먼저 사진부터 되어야 하지 않을는지요.

 다큐사진이란 고발사진이 아닙니다. 다큐사진은 현장사진이 아닙니다. 다큐사진은 이야기사진입니다. 이야기를 꽃피우며 이야기를 흐드러지게 나누지 않을 때에는 다큐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다큐사진쟁이로 살아가려는 분들이나, 다큐사진을 좋아한다는 분들이나, 다달이 만 원씩 모아서 한 해가 저물 즈음 쿠델카 님 11만 원짜리 사진책 《Koudelka》를 즐거이 장만해서 두고두고 보살피면서 읽어 주면 기쁘리라 생각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