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작가회의 신작 단편집 '마술이 필요한 순간' 출간
상태바
인천작가회의 신작 단편집 '마술이 필요한 순간' 출간
  • 김민경 기자
  • 승인 2022.11.01 1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작가회의 소속 소설가들의 작품을 모은 단편소설집 '마술이 필요한 순간'(다인아트, 295쪽)이 나왔다.

홍명진, 김경은, 조혁신, 안종수, 유영갑, 홍인기, 황경란, 최경주, 박정윤, 이상실, 오시은 작가의 신작 11편이 담겼다.

필자마다 개성이 뚜렷하다. 소재 선택과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방식, 문체가 그러하다. 그러나 우리 주변과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11편 작품에 담긴 핵심어를 도출한다면 ‘가족’, ‘노동’, ‘관계’이다.

‘가족’을 주제로 한 작품은 가족의 의미를 환기하거나 공존과 공생, 삶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노동’을 그린 작품은 노동으로 생성된 창조물 또는 결과에 의미를 부여하거나 노동을 통한 삶의 가치를 전개한다.

‘관계’를 말하는 작품은 가정과 사회에서의 인간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고 깨닫거나 성찰한다.

작가들은 치열한 삶의 여정을 숨김없이 묘사하며 흥미진진하게 이야기를 전개한다.

홍명진 작가의 「마술이 필요한 순간」은 연극무대와 현실을 통해 삶을 자각해 나간다. 갈증을 느낄 때 연극처럼 마술이 필요한 순간이 있음을 조곤조곤 묘사한다.

김경은 작가의 「애스컴시티」는 고물상을 운영하며 사는 한 집안에 대한 치열한 삶을 다룬다. 어릴 적부터 고물을 주워왔던 주인공과 가족에 대한 농익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혁신 작가의 「옥탑방 내인생 3」은 아버지의 부재와 가족의 해체를 겪으며 살아가는 소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가족의 해체 속에서 성장하는 소년의 삶에서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 묻는다.

안종수 작가의 「삼각관계」는 애증과 갈등의 삼각관계를 통해 지나온 삶을 성찰하려는 평범한 사람의 이야기다. 삶은 관계의 연속이며 삼각구도로 집약되는데, 그 구도를 미묘한 난제로 여긴다.

유영갑 작가의 「어느 중환자 병동의 하루」는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고된 풍경들이 담겨 있다. 코로나 병동의 환자들, 그중 행복을 꿈꾸지만 죽음으로 향하는 인물, 간호사의 애환 등이 전개된다.

홍인기 작가의 「카페 광야曠野」는 자기 존재의 허위와 허무에 허적이며 비주체적 삶을 이어온 ‘나’가 운명적으로 동시대의 이웃과 벗들을 만나 배우고 사랑하며 깨달아가는 여정이 담겨 있다.

황경란 작가의 「철수의 조각」은 프레스에 잘린 인물의 손가락 끝이 아름다운 이유를 전개하면서, 열여덟 살 주인공이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최경주 작가의 「중첩인간 3」은 노동으로 생성된 사물에 노동의 의미를 부여하며, 중첩된 의식을 투영한 노동자의 일상을 그린다.

박정윤 작가의 「비의 골목」은 다큐 영화를 남기고 급작스럽게 죽은 인물을 통해 극과 극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실을 묘사한다. 죽음 이후 공포와 슬픔을 경험한다.

이상실 작가의 「퇴근길」은 퇴근길에 만난 사람들의 행태를 통해 파편화된 인간을 묘사한다. 자신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인물들을 관찰하고 자신을 돌아본다.

오시은 작가의 「가족 연합체」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존재와 공존·공생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생존을 위협하는 낯선 존재가 등장하는데, 가족과 낯선 존재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는다.

11편의 소설은 자신이거나 이웃, 사회 구성원이 흘린 이야기와 삶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지금 여기에 서서 과거를 소환하고 현재를 그린다. 상처를 상처로, 슬픔을 슬픔으로 방치하지 않는다. 고통과 좌절과 절망으로만 쓰지 않는다. 외로움도 그러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