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한 인천문화 담론, 그 이후가 궁금해

[문화칼럼] 김정화 / 문학평론가 · 가천의과학대 겸임교수

2011-08-15     김정화


인천중앙도서관이 최근 열었던 '구들, 인천근대사에 말을 걸다' 展

무엇를 위한 문화정책과 문화담론인가

오늘도 어디에선가 '인천문화'를 위한 세미나, 공청회, 토론회, 전문가 포럼, 자문회의가 열리고 있을 터이다. 분명 전문가 중심 엘리트 문화담론 생산이 지역문화의 큰 틀을 잡아가는 데 기여하는 역할이 있다. 그동안 인천문화 정체성과 역사성 연구, 인천시민 문화향수 욕구와 만족도 조사, 문화예술인·단체에 대한 실태조사, 그리고 지자체 문화지표조사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과 예산을 투입해 그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문화의 불모지 인천에 생산적인 문화담론으로 기여한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오늘도 여전히 고군분투해오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그 많은 문화정책과 문화담론이 지역예술인과 시민과 소통하고 있는지에는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특히 작년에 출범한 대다수 기초단체장들은 문화와 문화산업을 자신들의 '성공 화두'로 여기고 있다. 그들은 문화산업의 고부가가치를 통해 지역발전을 추동하고 도시 품격과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작년과 올해만도 문화를 위한 다양한 포럼과 공청회, 전문가 토론회와 자문회의가 빈번하게 열렸다. 심지어 변별성도 별로 없는 주제에 발표자와 참가자도 중복되는 자리도 많았다.

이렇게 무성한 문화정책과 문화담론 개입은 자칫 문화 예술이 가지는 자생적이고 순수한 자유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 그 폐해는 두고두고 우리를 고민하게 만들 수도 있다. 우리는 그동안 엘리트 중심주의로 획일적으로 입안하고 지원하는 문화정책 방식을 오랫동안 해왔고 또한 신랄하게 비판했다. 정책과 이론으로 외치는 구호와 선전 속에 지역예술인과 시민과의 소통에서 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것인지 자문해보아야 한다.

문화에 대한 강박과 홍보에서 벗어나야

해방 이후 반세기 넘도록 앞만 보고 달려온 경제지상주의로 사회구성원들이 정신적·문화적 갈증과 허기에 시달려왔다. 이와 맞물려 봇물처럼 터진 문화의 당위성과 욕구를 자칫 성과주의와 보여주기식 방식으로 토론회 등의 강박에 시달리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볼 일이다. 문화담론이 무성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야말로 어떠한 형태로든 시민 삶의 현장이 문화의 생산지로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화정책과 문화담론이 오히려 창작자와 시민을 소외시키고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

문화 접근에 대한 부정적인 기존 관성에 여전히 함몰된 채 토론회 등을 통해 정책담론을 쉼 없이 쏟아내면 진정 문화도시, 문화단체장으로 거듭날 것인가. 해답은 절대 아니올시다다. 모든 문화정책과 문화담론의 최종 지향지와 기착점은 문화예술인과 문화향수자인 시민에게 그 중심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어떻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문화엘리트주의자들이나 단체장들의 현시욕과 강박의 산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며칠 전 어떤 자문회의에서 만난 어느 공무원은 문화정책과 문화담론과 관련하여 열리는 회의 결과물의 대부분(그가 말한 수치는 차마 말하지 못하겠다)은 실행에 옮겨지지 않는다고 자조했다. 대다수 일선 공무원들은 이를 과중한 스트레스로 여기고 있다는 얘기에 부끄러웠다. 문화정책과 문화담론을 현실 속에서 실행하는 주체는 결국 일선 공무원일진대 이를 어쩌랴.

자, 이제 그렇다면 적당한 날을 잡아 문화정책 토론회를 하나 더 개최하면 되겠다.

"문화정책 실행을 위한 공무원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얼마 전 인천아트플랫폼에서 열린 제1회 인천평화미술 프로젝트 '분쟁의 바다, 화해의 바다'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