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3년 재개발사업 후보지 10곳 선정

중·동·부평·서구 각 1곳, 미추홀·남동·계양구 각 2곳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에 맞춰 공모 도입 정비예정구역 폐지 및 지정 요건 완화에 따라 사전검토

2023-06-28     김영빈 기자
인천시청

 

인천시가 2023년 재개발사업 후보지 10곳을 선정했다.

시는 ‘2023년 재개발사업 사전검토 제안서 공모’에 응모한 45곳에 대한 평가를 거쳐 후보지 10곳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10곳은 ▲중구 도원구역(도원동 18-1번지 일원 11만1,422㎡) ▲동구 화수아파트일원구역(화수동 287-106번지 일원 1만5,108㎡) ▲미추홀구 주안남초1구역(주안동 1520-37번지 일원 3만8,667㎡) ▲미추홀구 도화역남측구역(도화동 557-1번지 일원 2만8,874㎡) ▲남동구 구월349구역(구월동 349번지 일원 8만831㎡) ▲남동구 만수2구역(만수동 944-3번지 일원 5만8,390㎡) ▲부평구 동암중서측구역(십정동 499-1번지 일원 3만8,942㎡) ▲계양구 계산역남측구역(계산동 951-6번지 일원 2만7,597㎡) ▲계양구 효성구역(효성동 273-1번지 일원 2만3,316㎡) ▲서구 석남5구역(석남동 575-36번지 일원 5만3,349㎡)이다.

재개발 후보지 선정 기준(100점 만점)은 ▲정성적 평가 30점(구역경계 설정의 적정성 및 도시재생구역 등 유의사항 저촉 여부 10점, 주거생활권 계획 정합성 10점, 기반시설 부족 여부 등 시급성 10점) ▲정량적 평가 70점(노후 건축물 30점, 노후 연면적 10점, 접도율 10점, 과소필지 10점, 호수밀도 10점)에 ▲가점 10점(자연발생시가지 및 상습침수구역 50% 이상 3점, 설계공모 방식 여부 2점, 지하층 주거용 건축물 동수 비율 5점) ▲감점 10점(정비구역해제지역 5점, 구역면적 5점)을 적용했다.

이들 재개발 후보지는 하반기부터 해당 구가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는 등 구역 지정을 위한 절차가 시작되며 투기세력 유입을 막기 위해 아파트 분양권 등 권리 산정 기준일은 공모 공고일인 2022년 10월 4일로 고시한다.

시는 재개발 후보지가 주민 동의율(토지 등 소유자 3분의 2 이상 및 토지면적 2분의 1 이상)을 충족하면 정비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2023년 재개발 후보지 선정 구역 (10곳)

연번

자치구

구역명

위치

면적()

비고

1

중구

도원구역

도원동 18-1 일원

111,422

 

2

동구

화수아파트일원구역

화수동 287-106 일원

15,108

 

3

미추홀구

주안남초1구역

주안동 1520-37 일원

38,667

 

4

도화역남측구역

도화동 557-1 일원

28,874

5

남동구

구월349구역

구월동 349 일원

80,831

 

6

만수2구역

만수동 944-3 일원

58,390

7

부평구

동암중서측구역

십정동 499-1 일원

38,942

 

8

계양구

계산역남측구역

계산동 951-6 일원

27,597

 

9

효성구역

효성동 273-1 일원

23,316

10

서구

석남5구역

석남동 575-36 일원

53,349

 

 

‘재개발사업 사전검토 제안서 공모’는 지난해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을 통해 정비예정구역 지정 제도를 폐지하고 정비구역 지정 요건을 완화하면서 도입한 것으로 동시다발적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첫 공모는 지난해 10월 4일 공고를 시작으로 올해 1월 13일까지 제안서를 접수하고 군·구의 1차 검토(1~3월), 시의 2차 검토(4~5월), 평가위원회 심사(6월)를 거쳤다.

하지만 주민 동의 10% 이상이면 사전검토 제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구역에서 복수의 사업시행예정자가 나서 주민 갈등을 부추기는 등 부작용이 발생해 동일 구역에서는 주민 동의율이 높은 1곳만 인정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인천의 정비(예정)구역은 한 때 212곳까지 급증했으나 장기간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구역 해제가 잇따라 현재 80곳(재개발 58, 재건축 16, 주거환경개선 6)으로 줄어든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