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자에게도 '철학교육' 필요해
상태바
자원봉사자에게도 '철학교육' 필요해
  • 유해숙
  • 승인 2012.07.23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칼럼] 유해숙 /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 교수


"아는 만큼 보이는 것 같아요. 그저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는 생각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자원봉사가 결국 나를 위한 것이고 나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라는 것을 알았어요."

"나와 내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행복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제는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자원봉사를 할 것입니다."

남동구자원봉사센터가 얼마 전 주최한 '자원봉사자 리더교육'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말이다. 이 교육은 기존 자원봉사 방법과 구체적인 실무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원봉사 철학과 방향에 대한 것이다. 즉, 이 자원봉사교육은 자원봉사자를 둘러싼 세상, 자원봉사의 상이한 의미, 자원봉사에서 다른 차원의 실천에 관한 교육이었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철학교육을 한다고 하면 의아해 할지도 모른다. 스스로 남을 돕는데 무슨 철학인가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자원봉사에도 철학이 있다. 남을 돕는 방법은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 사회적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러분 이웃에 독거노인이 있다고 하자. 이 노인은 빈곤과 질병, 그리고 무기력 상태에 있다. 자원봉사자는 '독거노인 사랑잇기 나눔천사'로 되어 이 노인에게 '사랑의 도시락'을 배달하고 말벗이 되는 등의 봉사를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자원봉사자가 이 노인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가에 따라 자원봉사 의미와 실천이 달라질 수 있다.

노인의 빈곤과 질병을 개인과 그 가족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라면, 우선 이 노인이 처한 상황을 동정하고 노인의 불행을 가슴 아파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불쌍한 노인을 위해 뭔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을 찾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 자원봉사자는 독거노인의 현재 불행이 젊은 날 열심히 노력하지 않은 결과라고 판단할 것이다. 자원봉사자는 비록 개인의 노력이나 노후준비 미비로 인해 발생한 불행이지만, 불쌍하니 시혜의 관점에서 이 노인을 돕고자 결단한다. 때로 이 노인이 좀더 서비스를 요구하거나 떼를 쓰면 자원봉사자는 '그러니깐 이런 빈곤층으로 전락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한편 노인의 불행을 사회와 국가의 사회안전망과 정책의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라면, 그 노인은 시민으로서 권리를 누리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할 것이다. 그리고 독거노인이 무기력하고 때론 서비스를 더 달라고 아우성을 친다면, 이는 구조와 환경이 만든 결과라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이 자원봉사자는 노인에 대한 돌봄과 도시락배달을 하면서도 독거노인 실태와 서비스 문제점 등을 조사하여 새로운 정책과 구조가 가능할 수 있는 실천을 모색할 것이다.

이상에서 보듯이 자원봉사자의 철학과 관점은 자원봉사자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 자원봉사의 기원은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COS)와 '인보관 운동'(Settlement Movement)에 있다. 전자가 자원봉사를 잔여적 관점에서 보고 시혜와 봉사활동으로 이해한다면, 후자는 보편적 관점에서 시민의 권리를 찾는 활동이라고 본다. 인보관 관점에서 볼 때 자원봉사자를 의미하는 'volunteer'는 '노령, 빈곤, 장애 등의 사회적 위험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런 맥락에서 공적인 일은 잔여적 복지가 아니라 보편적 복지를 위한 일 또는 실천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 현재 인천의 자원봉사 등록인원은 2011년 11월말 기준으로 364,856명에 이르고 있고 자치단체별로 보면 12%에 육박하고 있다. 인천시는 2014년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100만 자원봉사자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처럼 현재 자원봉사자들은 사회의 곳곳에서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대부분 시혜와 자선의 관점에서 사회의 문제를 진단하고, 민간 시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들은 선별적 복지를 일선에서 유지하고 실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남동구자원봉사센터에서 자원봉사의 철학을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점검하고 성찰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이 교육이 자원봉사가 단순히 시혜와 자선의 봉사를 넘어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대면하는 시민들의 자기보호와 권리를 찾는 활동이라는 것을 토론하고 대안적 실천의 전략을 고민하는 공론장으로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