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빠진 인천AG … 열리면 뭐하나"
상태바
"인천빠진 인천AG … 열리면 뭐하나"
  • master
  • 승인 2012.10.11 0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지역 지방신문 주요 기사 모음] - 10월 11일자

<인천일보>

"인천빠진 인천AG … 열리면 뭐하나" 
조직위 지역홀대에 파견공무원 철수·대회 정부반납 여론 들끓어 
 
이주영·장지혜 기자
leejy96@itimes.co.kr

2014인천아시안게임(AG) 개·폐회식에 '인천 홀대'가 사실로 드러나자 아시안게임이 인천의 '공공의 적'이 됐다. 인천시가 대회 운영 주도권조차 쥐지 못하는 무능력이 드러나며 파견 공무원 복귀와 정부에 대회를 반납하자는 목소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지만 조직위는 여전히 꿈쩍 안하고 있다.

10일, 인천은 AG에 인천이 빠진 소식을 접한 시민 비판으로 온통 들끓었다. <관련기사 2면>

인천을 아우른 시민·사회단체 200여곳으로 이뤄진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인천지역사회에서 개·폐회식 지역업체 참가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했지만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조직위)가 이를 깡그리 무시했다"며 "충격적"이라고 표현했다.

인천AG를 철저히 중앙정부에서 주도하는 상황이어서 조직위에 파견된 인천시 공무원을 모두 철수시키고 차라리 대회를 정부에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직위가 인천을 뒷전으로 밀치고 발표한 사업 개요와 목적을 보면 서울 중심의 대형 기획사를 염두한 것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지난해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한 대구시가 개·폐회식 입찰 공고에서 대구 소재 업체이거나 지역업체와 40% 이상 공동이행방식을 구성한 경우에만 응모할 수 있도록 제한 했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조직위는 위법 가능성을 이유로 대구시와 같이 지역 참여를 보장한 공고를 발표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했다.

김영원 조직위 문화행사부장은 "우리가 공고한 내용대로만 알고 있으면 된다"며 "조직위가 내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한 사안"이라고 못 박았다.

인천시도 조직위 결정에 무시 당했다. 시는 AG에서 인천이 빠질 수 있다는 시민 우려에 지역업체 참여를 공식적으로 조직위에 요청했지만 조직위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막대한 인천시 예산을 투입해 치르는 대회이면서도 정작 운영에 대한 주도권을 중앙정부에 내줬다.

허종식 인천시 대변인은 "조직위에 지역업체가 개·폐회식에 참여할 수 있는 비율과 방식을 입찰 공고에 명시해 달라고 요청했었고 얼마전까지 긍정적으로 검토 하는 줄 알았다"며 "인천시와 한마디 상의도 없이 갑작스럽게 인천 배제 결론이 나와 현재 경위 파악 중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조직위는 시민들의 반발과 시의 해명 요구에도 '재검토'는 하지 않겠단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직위는 지난 9월 말 316억7000만원의 개·폐회식 대행사를 모집하면서 지역업체 참여를 고려하지 않다가 인천 홀대론과 지역경제활성화 등의 비판 여론에 인천 업체가 참여하는 방안을 공고에 포함하는 쪽으로 재검토했지만, 지난 9일 이를 다 무시하고 입찰 공고를 전격 발표했다.

<경인일보>

6·8공구 매각 '부메랑'… 더 쪼들린다  
인천시, 경제청 소유권 이전 대가
2016년부터 10년간 470억씩 지불… 재정 부담 가중
"당장의 불가피한 선택"해명 
 
이현준 기자
uplhj@kyeongin.com    
 
인천시가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각한 송도 6·8공구가 훗날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이 땅의 소유권을 가져오는 과정에서 시가 경제청에 지불키로 한 돈 때문이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송도 6·8공구 37만여㎡의 매각을 위해 경제청으로부터 소유권을 이전하는 대가로 4천787억원을 지불키로 했다. 시가 경제청으로부터 땅 등 자산을 가져올 경우 해당 자산 등에 대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대가를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관련 법은 시와 경제청간 자산 이관을 유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이 돈을 오는 2016년부터 10년간 나눠 경제청에 줘야 한다. 매년 470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시가 갚아나가야 할 돈이 이것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시가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준비 등을 위해 발행한 지방채를 올해부터 매해 3천200억~5천200억여원씩 상환해야 한다. 

6·8공구 관련 땅 값이 경제청에 지불되기 시작하는 2016년이 되면 매년 4천900억~5천740억원이나 시에서 지출해야 한다.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8공구를 사들여 당장의 유동성 위기를 넘기기는 했지만, 이후 시의 재정 부담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시의 재정위기 상황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는 이에 대해 눈앞의 재정문제를 타개할 유일한 방법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당장 망하게 생겼는데, 할 수 있는 방법은 다 찾아봐야 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머지않은 장래에 시의 재정 부담이 더 커질 수 있겠지만, 지금 당장 어려운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지방세제 개편 등을 통해 지방세수 확보가 호전될 것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호일보>

굴착 소음에 골병… 편파 대책에 속병 
인천도시철 2호선 211공구 주민들의 ‘이중고’ 
 
이재훈 기자 
ljh@kihoilbo.co.kr  
 
인천도시철도 2호선 공사장 주변 주민들의 시름이 깊어져만 가고 있다. 

관리 부실로 공사장 인근을 지나던 무고한 시민이 목숨을 잃은 사건의 아픔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주민을 고통스럽게 하는 지하 굴착공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피해와 고통을 호소하는 주민들을 가가호호 방문해 불편을 덜어 주는 게 아니라 피해 신고가 잦은 특정 가구만 선별적으로 택해 입막음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더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환경분쟁조정위원회나 기자회견 등 단체행동을 차단하려는 공사업체의 꼼수에 혀를 내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물질적 보상을 받은 주민과 받지 못한 주민 간 마찰 역시 향후 사태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증폭되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공사장은 인천시청에서 인천시 남구 석바위 방향으로 2㎞ 정도 떨어진 인천도시철도 2호선 211공구. 현재 이곳에선 원도급을 ㈜A건설이 맡아 협력업체인 ㈜B건설이 현장공사를 벌이고 있다.

지난 9일 찾아간 현장에선 여전히 ‘쿵쿵’거리는 굴착공사 소음과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여러 공사 현장 가운데 특히 이곳의 소음과 진동이 심한 이유는 왕복 4차선 도로 아래에 묻힌 돌덩어리가 단단하기 때문. 이 돌을 깨기 위해 공사업체는 하루 종일 포클레인으로 굴착을 벌이고 있으며, 하루 2~3차례 발파공사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 소음과 진동이 너무 거세다 보니 공사장 인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고통 역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한 달 전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은 낮과 밤으로 돌 깨는 소리와 전쟁을 치르고 있다.

문제는 노인가구가 대부분인 형편이라 공사 소음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공사업체 역시 민원이 잦은 일부 가구에 대해서만 대체 숙소 제공 등 소극적인 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정작 공사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진공사나 대대적인 피해 보상 자체는 꺼리고 있다.

결국 힘 없고 세상 잇속에 어두운 주민들의 속앓이만 깊어지는 형국이 됐다.

피해주민 김모(62)씨는 “주민들이 힘을 합쳐야 하는데 공사업체 사람들이 선별적으로 보상을 해 줘서 주민을 이간질시키고 있다”며 “관리감독기관인 인천시도시철도본부 역시 근원적인 대책을 세울 생각은 하지 않고 민원이 윗선(본부장 또는 시장)에 올라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혀를 찼다. 

이에 대해 시공업체 관계자는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며 “특정 주민에게만 보상을 하는 것이 아닌, 문제가 심각한 곳에 우선 지원을 했을 뿐”이라고 에둘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