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역사와 이어진 역사 -공화춘과 짜장면박물관 그리고 차이나타운
상태바
만들어진 역사와 이어진 역사 -공화춘과 짜장면박물관 그리고 차이나타운
  • 윤현위
  • 승인 2013.01.03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칼럼] 윤현위/자유기고가
111.jpg
인천역의 전경, 인천역이라는 역명아래 차이나타운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
(필자 직접 촬영)
항상 변하지 않을 것만 같은 동네, 어른들이 하인천이라고 부르는 곳, 그리고 흔히 말하는 중국집이 모여 있는 동네라고 생각되는 곳, 인천역과 차이나타운 그 일대다. 오랜만에 인천에 역에 갔다. 인천역은 변하지 않았다.
 
한 가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인천의 부역명이 차이나타운으로 변경됐다는 사실이다. 기사를 검색해보니 사실 작년에 벌어진 일이었다. 2011년 11월 7일에 차이나타운이 부역명으로 추가됐다. 지역활성화를 위해서 전력투구하고 있는 중구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대신 중구가 제물포 일대의 개항장임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전편에서 언급하였지만 제물포는 포구와 개항장 일대를 모두 의미하는 말이다.
 
제물포역명을 바꿔서 인천역(제물포)라고 했으면 인천역을 위시한 개항장일대를 모두 포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이 일을 진행함에 있어 협의와 협조라는 이름의 행정절차를 거쳐야한다. 하지만 그건 번거로운 일이 아니라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개항장문화지구를 홍보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하나 사라진 샘이다. 다소 아니 사실 많이 안타깝다. 그냥 오늘도 저렇게 서있는 인천역 역사에게 감사를 드릴 뿐이다.
 
222.jpg
짜장면 박물관으로 새롭게 단장된 구 공화춘건물(필자 직접 촬영)
   
차이나타운으로 걸어 올라갔다. 오랜만에 옛 공화춘건물을 만난다. 공화춘은 인천이 짜장면의 발상지라는 마케팅이 지속되면서 이제 전국적인 지명도를 갖는 브랜드가 됐다. 실제로 공화춘이라는 상품이 판매되기도 한다. 공화춘자리는 현재 짜장면박물관이 됐다.
 
공화춘의 설립자는 광동성출신의 우희광(1886~1949)이다. 한동수(2009)에 따르면 그는 1907년에 차이나타운에 산동회관을 설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단, 그때의 자리가 우리가 알고 있는 공화춘자리는 아니었다고 한다. 산동회관이 공화춘이 된 것은 1912년부터다. 공화춘(共和春)은 ‘공화국에 봄이 왔다’라는 의미를 가진 상호명이다. 1911년에 일어난 신해혁명을 기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실제 중국 강소성에도 공화춘이란 음식점이 1933년부터 지금까지 영업하고 있는데 같은 이 역시 같은 의미이다.
 
현재의 자리로 이전한 시기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늦어도 1934년부터는 현재의 자리에서 영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의 지리학자 발레리 줄레조가 ‘도시의 창 고급 호텔’에서 밝히고 있듯이 음식점과 숙박업이 분리된 것은 사실 최근에 와서 생긴 현상이다. 공화춘 역시 숙박의 역할을 겸했었다. 아마도 이건 공화춘만 그런 것은 아닐게다.
 
월미도에 미군이 있던 시절, 인천역 바로 뒤에 부두가 있던 시절, 지금의 중구청이 인천시청이던 그 때가 인천역과 동인천역 일대가 인천의 완투펀치(야구팀에서 1·2선발 투수를 이르는 말)였을 것이다. 공화춘의 전성기도 그때가 아니었을까? 그 사이 운영자가 우희광에서 그의 아들 우홍장으로 바뀌었다.
 
인천역 일대는 쇠락하기 시작했다. 공화춘의 1983년부터 영업을 하지 않았다. 현재 중구청이었던 인천시청이 구월동으롤 이전한 것이 1985년인데 아마도 인천역일대의 쇠락이 동인천보다 더 빨랐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2000년대 들어서면 공화춘은 브랜드화됐다. 공화춘 간판을 단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고 대형유통기업과 손잡고 공화춘이라는 이름을 단 라면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2005년이 짜장면 100주년으로 지정되면서 공화춘은 차이나타운을 대표하는 상징이 됐고 짜장면의 출발점이 되었다.
 
333.jpg
현재 영업중인 공화춘(필자 직접 촬영)
 
현재의 공화춘이 브랜드화되고 체인점화 되는 과정에서 원래 공화춘을 운영했던 우씨 일가는 어찌되었을까? 지금의 공화춘과 100년 공화춘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공화춘의 공식홈페이지에 가면 공화춘의 역사가 나온다. 거기에는 처음 누가 설립했는가에 대한 주어가 없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누가 만들었는지 어떻게 시작됐는지 명시되어 있지 않다.
 
공화춘은 차이나타운의 많은 요리집 중에서도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공화춘은 주말이면 사람들이 줄을 서서 먹는다. 저작권의 개념이 아직도 명확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12년전에도 그 상황은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지금 차이나타운의 이름 있는 요릿집들 중에서 상표등록을 한 집이 얼마나 되겠는가? 4대째 차이나타운을 지키고 있는 풍미는 홈페이지도 없다. 이곳의 분위가 이렇다.
 
현재 공화춘에 가면 식탁아래 유리에는 100년 전통의 맛이라는 홍보물이 끼워져 있다. 폐허나 다름없던 공화춘이 다시 영업을 한다는 것 자체만 본다면 사실 문제될 것이 없다. 오히려 지역회생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역사를 잇는 것과 역사를 새롭게 만드는 것은 다른 일이다. 지금의 공화춘도 새로이 영업을 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안다. 그 만들어진 과정은 상세하게 기록하고 전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만들어진 역사가 되지 않는다. 홈페이지에 있는 연혁부터 좀 고쳐보면 어떨까? 차이나타운 일대는 중구에서 조차 외면 받던 지역이었다. 그때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차이나타운을 지켜오던 집들이 있다. 그들이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차이나타운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자, 공화춘에 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하겠다. 추후에 학술적으로 논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더 정리되면 발표할 날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짜장면박물관에 있는 조형물을 한번 봐주시기 바란다. 우리는 중국집, 짜장면하면 흔히 배달을 떠올린다. 그런데 이 지역은 어떤가? 배달음식과 차이나타운은 조합이 잘 맞아 보이는가? 이 조형물을 기획한 사람이 누굴까 궁금해졌다.
 
444.jpg
짜장면 박물관의 조형물
 
 
이 조형물은 기획자가 생각하는 짜장면과 중국요리 그리고 지역을 이해하는 수준을 보여준다. 그냥 짜장면박물관이니까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이 지역은 배달음식을 파는 지역이 아니지 않나? 이 지역은 요릿집의 정체성을 고수해온 곳이 아니었던가? 차라리 수타를 하거나 짜장을 볶는 조형물이 더 적절했다고 본다. 철가방은 여기서 온 것이 아니지 않은가?
 
이 박물관에 들어간 돈이 60억이라고 한다. 큰 돈을 들여서 박물관을 만들었다. 물론 개인적으로 영업을 하는 공간으로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더 간절하긴 하지만, 예전에 떨어져나간 간판에 공화춘을 그대로 두는 것보다야 지금 모습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평일엔 100~150명 주말에는 400~500명정도의 관람객이 온다고 한다. 예산의 문제가 있겠지마 저 조형물만큼은 다시 한번 재고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짜장면이 우리나라의 음식인지 중국음식인지 중요하지 않다. 그건 북경에 있는 롯데호텔보다 더 큰 북경반점과 우리나라에 있는 북경반점 중에 어느 것이 오리지날이냐 하고 묻는 것과 같다. 짜장면이 중국에서 넘어 온지 100년도 넘었다. 청나라와 조선이 만난 것이다. 그 사이에 있는 사람들이 화교들이다. 이 음식에는 당시 개항됐던 중국의 상황과 조선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이 지금까지 내려온 시대상과 우리의 시대상이 같이 담겨져 있다. 흔한 음식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 아니냐고도 할 수 있겠다. 잘 생각해보면 일상에서 흔한 것들에 더 많은 의미들이 담겨져 있다. 음식에 담겨져 있는 의미들을 만들어진 박물관과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들에 잘 반영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거기에 담겨진 이야기들을 풀어놓아야 이 지역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갈 수 있다.
 
 
참고문헌
 
발레리 줄레조, 2007, 도시의 창 고급호텔, 후마니타스.
한동수, 2009, 인천 청국조계지 내 공화춘의 역사변천에 관한 연구, 국제중국학연구, 60,
371-392.
양세욱, 2009,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