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 현상
상태바
왕따 현상
  • 황원준
  • 승인 2013.01.20 2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원준의 마음성형]
 
OOOOOOOOOOOO.jpg
  ‘왕따 따돌림 준말로써 1996 무렵부터왕따 단어를 급격히 사용하기 시작했다. 신체적 폭력은 눈에 띄지만 왕따와 같은 정신적 폭력은 눈에 띄지 않고 겉으로 들어 나지 않아서 지나쳐 버릴 있기 때문이다. 행동화(acting out), 신체적 위협이나 가해 행동을 문제시하니까 변형된 모습으로 언어적 폭행, 괴롭힘, 협박, 따돌림 등의 교묘한 방법으로 가해를 하게 같다.
학교 폭력이란 청소년들의 폭력 양상 중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폭력을 일컫는다. 좁은 의미로는 신체적인 폭력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신체적 폭력뿐만이 아니라 정신적 폭력을 포함한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학교 폭력또는 일본어의이지메라는 집단 따돌림이란 의미의 말을 자주 사용해 왔다. 당시 가시적으로 나타난 신체적 폭력이 주를 이루고 문제시하여 다루어 왔다. 협박이나 따돌림 같은 정서적, 정신적 폭력도 범주에 포함되어 정신적인 면을 지나쳐 버렸다. 왕따에 대한 문제를 다루면서 이제는 가해자나 피해자 그리고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양쪽의 문제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왕따에 대한 정신의학적으로 설명해 보자. 우리도 과거에 그런 상황을 접하였으나 왕따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뿐이다. 왕따를 당하는 사람이든 왕따를 시키는 사람이든지 사실 같은 측면이 있다고 말할 있다. 가학적(sadistic) 피학적(masochistic) 현상으로 말하자면 동전의 뒷면처럼 같은 의미이다. 사랑하기에 미움도 있듯이 말이다. 가해자 측면에서 따돌려야만 하고, 피해자 측면에서는 당하게 해야 하는가?
우리는 불완전한 상태로 태어난다. 태아 때는 수동적, 자동적,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도 엄마로부터 탯줄을 통하여 영양 공급을 받고 일정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 받는다. 신생아는 출생이라는 엄청난 충격적 사건(birth trauma)으로 급변한 환경에 적응을 해야 한다. 배고프거나 춥고 아픈 불편함을 스스로 울음(crying) 통하여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요구를 엄마가 들어주어 즉각적인 만족(immediate gratification) 시켜주어야 한다. 이때 엄마와의 관계에서 엄마가 원하는 것과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절충시켜 얼마만큼 대인관계를 해나가는가에 따라서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할 있는지가 결정된다. 그래야 점차 엄마 외에 다른 사람들과도 어울리며 더불어 함께 살아갈 있다. 독립하려고 해도 혼자서 수는 없다. 엄마가 독립을 인정하고 받아 줘야 한다. 때로는 엄마가 자신의 불안으로 아이를 자기 곁에서 떨어지지 못하게 무의식적(unconscious)으로 붙잡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이별불안(격리불안, separation anxiety) 생긴다. 내가 누군가와 같이 있다는 느낌이 있어야 마음이 편하다. 옆에 친구가 없고 혼자라는 생각이 불안을 야기시킨다. 특히 경쟁사회에서 누군가를 밀어 내고 내가 자리에 차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지 못한 결과이다. 우리는 대인관계를 넓히려고 부단히 노력하며 살아간다. 그런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과 어울리고 융화될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사는 세상, 이것이 왕따를 없애는 지름길이다. 우리들도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자. 누군가 나로 인하여 왕따를 당하고 있지 않은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