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화형식' 하던 때 생각하면 지금은..."
상태바
"'만화 화형식' 하던 때 생각하면 지금은..."
  • 김영숙 기자
  • 승인 2013.01.29 00:3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살이 21년, 늦깎이 만화가 김광성씨
 
HKFZgZMKhYoj.jpg
집없는 천사1941(45x90).jpg 
 
 
“만화로 밥 먹고 산 세월이 25년이 다 돼가네요.” 1988년 <자갈치 아지매>로 데뷔한 이후 한눈 팔지 않고 줄곧 한 길만 달려온 만화가 김광성씨. 35살 늦깎이로 데뷔한 그는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한 미술학도는 아니지만, 힘찬 필력과 진득한 성실함으로 그만의 독특한 만화 세계를 만들어냈다.
 
2010년 가을 성황리에 끝난 <흑백영화> 개인전 이후, 두 번째 전시회는 언제쯤 계획하는지 물었다. 그는 “전시회를 언제쯤 어디서 할 건지 알아보는 중이에요. 만화가 주업이니까 시간 내기가 쉽질 않죠. 전시회는 확정돼야 하나 보다 하니까요. 제 만화는 잡동사니입니다. 성인만화, 학습만화, 아동물까지 전부 손을 대고 있어요”라며 “<로마 이야기>는 마지막 열 권째 그리고 있습니다. 벌써 4년째 붙들고 있네요. <주니어김영사> 출판사에서는 작품 잘 만들라고 로마도 보내줘서 갔다 왔죠. 덕분에 지중해도 구경하고 왔습니다"라며 웃었다.
 
 김씨는 아무리 바빠도 한 달에 한 번은 스케치 모임에 나간다. 바로 <달토끼> 모임. 박재동 이희재 오세영 등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만화가들과, 석정현 김정기 등 대학생들이 좋아하는 젊은 만화가 등 20명 정도가 꾸려나가는 모임이다.
“일에 매이다 보니 하루가 참 바쁘죠. 날마다 빠듯하게 숙제하듯 사는데, <달토끼>는 부담없이 나가서 스케치하니까 즐거워요. 지난 토요일에는 인사동에서 ‘단체만화전시’가 있었던 차라 그곳에서 모였어요. 전시회 온 사람들 캐리커처도 그려주고, 거리 스케치도 했습니다. 추워서 실내에서 행사를 열었는데 참석한 사람들이 재미있어 하니까 즐겁더군요.”
 
우리나라 40, 50대들은 만화를 ‘불량만화’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만화는 언제나 '불량'이었다. 초등학교 조회 시간에도 듣던 말이 ‘만화는 보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집에서도 만화책을 보면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이제는 사람들 생각이 참 많이 바뀌었다. 만화에서 얻는 유익함과 경쾌함을 아는 사람이 많아졌다. 하지만 일본 만화의 상업성과 문학성을 따라잡기에는 좀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일본만화가 세계 무대에서 승부를 하고 있을 때, 우리나라는 같은 시간에 핍박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2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jpg
 
우리나라에는 ‘만화 화형식’이 있었다. 김씨는 “70년대 80년대 초반까지 만화는 무조건 아이들한테 ‘해충’ ‘해악’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린이날마다 ‘만화 화형식’을 거행(?)해 만화를 가까이 하지 못하도록 했다”면서 “일본 가면 만화 보는 일이 참 자연스럽더군요. 전철 안에서 오십 중반 되는 사람이 만화를 봐도 주변 사람들은 이상하게 쳐다보지 않아요. 만화를 보는 사람도 다른 사람을 인식하지 않죠. 일본은 만화 자체가 활발하고 자연스러운 수단이라는 사실을 알죠. 우리나라는 ‘정권’에 대한 이야기를 한마디만 해도 잡혀가던 시절이 있었죠. 그러다 보니 ‘명랑만화’만 많아지게 됐어요. 다른 이야기를 할 수가 없으니까요. 하지만 예전에 비해 우리나라도 많이 달라졌어요. 만화에서 얻는 유익한 점을 많이 알게 된 거죠”라며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이라고 했다.
 
올해 예순이 되는 김씨는 하루에 12시간 꼬박 앉아 일한다. 진도가 안 나가는 날에도 더 앉아있을 때가 많다.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란다. 내일로 미룰 시간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하루종일 ‘엉덩이’로 일하는 직업 특성상 체력이 달리지 않는지 물었다. “운동을 안 하면 몸이 찌뿌드드하죠. 그럴 때는 공 들고 가좌초등학교 운동장에 가서 초등학생들이랑 공 찹니다. 요즘은 겨울이라 운동장 상태가 좋지 않아 못 가는 게 흠이죠. 대신 집에서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를 해요. 땀 흘리면서 운동을 해야 소화도 잘 되고 일에 집중력도 생깁니다. 더욱이 ‘술’ 먹을 기회가 많은 사람들은 복근운동을 꼭 해줘야 합니다, 하하하. ‘술’을 먹더라도 몸 체크하면서 먹어야죠. 만화가 중에는 ‘머리’만 쓰고 운동을 안 하니까 당뇨 걸린 사람들이 많아요. 컨디션 조절하면서 일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는 일하면서 책을 많이 읽지 못하는 게 참 안타깝다. “다른 직업도 그렇겠지만 만화가는 책을 많이 읽어야죠. 하루에 30분만이라도 시간 내서 책을 읽으려는데 그게 안 될 때가 많아요. 그러다가 재미있는 책을 잡으면 그림 그리기가 싫어지데요. 그냥 책만 읽고 싶은 거죠. 이 나이가 돼도 관심있는 분야가 많아요. 물론 폭넓은 관심이 만화 작품을 만드는 ‘장작’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걸 배우고 싶을 때가 많아요. ‘조각’도 배우고 싶고, 동양화도 새로 배우고 싶어요. 이쁜 물건들을 보면 만들고 싶고, ‘손놀림’은 어째 타고 났다 싶을 때가 많습니다.”
 
김씨의 수많은 작품 가운데 박완서 소설가가 쓴 성장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는 특히 인기가 더 많다. 세계사에서 나와 절판됐다가, 요즘 김영사에서 다시 나온다. 잘 팔리냐는 질문에 “손해는 안 보는 것 같더라. 젊은 층보다는 30,40대 여성들이 좋아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1마부(1960)(28x77).jpg
 
 
운명의손1954(42x107)인천항.jpg
 
올해로 인천에 터를 잡은 지 21년이 된다는 김씨는 인천에 관한 그림도 많이 그렸다. ‘인천교’ ‘차이나타운’ ‘인천항’ 등 향수를 자아내는 광경을 힘찬 필력으로 되살려냈다. “내 시간이 생기면 밀린 작품부터 해결해야 하니까, 어디를 나가봐야겠다는 생각이 잘 안 들어요. 그저 동네 한 바퀴 돌 때가 많죠. 하지만 벚꽃이 하얗게 흩날리거나 은행잎이 물들기 시작하면 엉덩이가 들썩거립니다. 그럴 때는 인천 중구 쪽을 다녀오거나 아내랑 강화도를 한 번씩 다녀옵니다.”
 
김씨는 살아보니 변하는 게 많다고 한다. “사람은 시행착오 투성이잖아요. 십년 전만 해도 돈 많이 벌어놓고 여유있게 작품활동을 해보고 싶었어요. 일단 이런저런 걱정이 없으면 일이 편하게 될 것 같았죠. 하지만 그게 쉬운 일인가요. 마음을 비우니까 여유가 생기는 것 같습디다. 살면서 ‘적’을 만들어봤자 이득도 없고, 정색하고 잔머리 굴리면서 다가오는 사람이 있어도 그런가 보다 하죠. 이 세상에 괘씸한 사람을 따지자고 들면 얼마나 많겠어요. 살면서 넉넉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그래서일까, 그의 작품 곳곳에는 따뜻함과 넉넉함이 짙게 배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현숙 2013-04-13 19:50:32
어떻게 저리 그릴수가 있지요?
존경합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