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은 따스했네~"
상태바
"골목은 따스했네~"
  • 박주희
  • 승인 2010.10.01 19:36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의 골목을 찾아
 
 
   
 
 

▲ 9월 중순, 동구·중구 골목길 곳곳에는 고추를 말리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고추 다 말린겨? 고추씨 안 버렸지? 나 좀 줘.” “고추씨는 뭐할라고?” “갈아서 간장에 넣어 먹을라 그러지.”
 
인천 골목 곳곳에서는 이런 할머니들의 대화소리가 들린다.
 
인천 골목길 사진찍기 인터넷 까페에서 골목마실이 있다기에 따라나선 9월 중순. 동구·중구 골목길 곳곳에는 고추가 햇볕을 받으며 자신을 바짝바짝 말리고 있었다. 대문 앞 계단에도, 담벼락 아래에도 공간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다양한 모습으로 누워 있다.
 
유난히 날씨가 좋았던 이날 빨래도 바람에 흔들흔들, 나뭇잎도 반짝반짝거린다. 골목마실을 이끌어주신 최종규님은 일부러 낮에 골목마실을 하신단다. 골목은 어두운 곳, 낡은 곳이라는 사람들의 편견 때문에 밝은 날 마실을 떠나야 그 편견을 배제하고 골목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다. 

 
 
▲ 집 앞 평상에서 '변신놀이'를 하는 아이들. 골목에는 평상이 많다.
  
율목동과 송현동 일대를 돌아보았는데, 날씨가 좋아서인지 골목에 자리 잡고 앉아 계신 주민분들도 간혹 만났다. 집 앞 평상에서 '변신놀이'를 하고 있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었고, 골목에 할머니 몇 분이 모여 앉아 고스톱을 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고추를 말리고 있는 마당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아주머니들도 보였다. 어떤 분은 사진 찍으러 오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 익숙한지 직접 골목길 풍경이 잘 보이는 곳을 안내해 주신 덕분에 골목길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 대조적인 고층 아파트와 골목 풍경
 
한 주민의 도움으로 높은 지대에 있는 빌라 위에서 본 골목 풍경. 저 멀리 산을 가로막고 하늘을 가린 고층 아파트들 앞에 모여 있는 골목에는 어느 건물 하나 형태도, 높이도, 색도 같은 것이 없다.
 
우리가 본 골목들은 밤에 위험한 일이 생길까 걱정되는 곳, 비가 오면 물이 새기도 하고 여기저기 보수할 곳이 생기는 곳, 가파른 경사를 오르기에 힘든 곳, 삐뚤빼뚤 깔끔하지 않은 곳 등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인식 때문일까. 골목은 '도시정비'를 해야 하는 곳이 되어 버렸고, 저 멀리 보이는 고층 아파트처럼 인천의 대부분이 아파트 숲으로 변해버렸다.
 
앞으로도 인천시는 재개발과 재건축이라며 삽질을 벌일 판이다. 2010년 7월 9일, 도시계획국 시의회 제출자료에 따르면 인천시에는 212개의 정비예정구역이 있으며, 그 면적이 인천 전체 면적의 7.34%에 달한다. 문제는 재건축과 재개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토지와 주택이 본인 소유가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며, 획일적인 건물 증축으로 경제적으로 부담돼 원주민의 재정착률이 낮다. 현재 재건축과 재개발 방식은 골목의 가치도, 사시는 분도 내쫓는 것이다.
 
그렇다면 골목의 가치는 무엇일까? 골목에 건물도, 길도 모양이 제각각인 만큼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보며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 또한 사시는 분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실지 모르겠지만, 아파트와 빌라에 사는 사람들은 경험할 수 없는 나름대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만들어 가며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
 
  
 
▲ 골목집에는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 나무전신주, 굴뚝, 푸세식 화장실 흔적 등 역사를 알아볼 수 있다.
 


▲ 골목에는 초록이 그득하다. 자리가 나는 곳마다 텃밭을 가꾸고 식물을 기른다. 
나무가 다칠까 나무구멍을 내고 담벼락을 세운 것도 보인다.
 
골목의 집들은 문패조차 같은 모양이 거의 없다. 나무문패와 돌문패도 있고, 한자로 써져 있는 문패, 한글로 써져 있는 문패, 문패가 하나만 있는 집도 있고, 두 개가 나란히 있는 집도 보인다. 우체통도 다양한 재질과 모습으로 달려 있다. 어떤 집은 오래된 철문과 담장을 바꾸지 않고 정성스레 관리하기도 하고, 굵은 나뭇가지가 다칠까 나뭇가지가 들어갈 만한 구멍을 내고 담벼락을 세운 것도 보였다. 바람개비로, 장판의 그림으로 집을 장식하기도 한다. 대문 옆 빈 공간에도 꽃을 심고, 옥상이 있는 집은 빨래와 장독대가 햇볕을 받도록 놓아 두었다. 또한 대부분의 골목집에서는 텃밭·화분 등을 가꾸고 있었다. 일제시대 세웠을 법한 나무 전신주와 푸세식 화장실 흔적도 알아볼 수 있었으며, 굴뚝의 일부를 남겨둔 채 건물을 세운 흔적도 보인다.
 
이런 골목길을 보면서 나름대로 이야기를 만들어 본다. 장독대가 유난히 많은 집을 보면, 이 집은 장을 담가 먹는가 보구나, 무슨 장을 담가 먹을까? 빨래가 널려 있는 것을 보면서 이 집은 어린아이들이 많은가 보구나, 나무전신주를 보며 예전에는 전신주가 나무로 만들어졌구나 등의 이야기들. 사람을 직접 만나지 않더라도 사람이 사는 흔적이 보이고 이야기가 그려진다.
 
골목마실을 이끌어주신 최종규님이 이런 말을 하신다. “골목길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다”라고. 현재 골목길이 오래되긴 했지만 이것이 단순히 오래된 곳, 낡은 곳, 없어질 곳으로 바라볼 게 아니라 현재 사람이 살고 있는 곳이며 앞으로도 살아가야 하는 곳으로 본다면 골목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 대안모델, 서울 성북구 삼선4구역 (출처 : 한겨레 신문, 황춘화 기자)  


골목의 가치를 알아보고 보전하기 위해 활동을 벌이고 있는 곳들이 몇 있다. 서울 성북구 삼선4구역은 10년 전부터 재개발 바람이 불어왔지만, 작년부터 녹색사회연구소·성북주거복지세터 등 7개 주거운동 단체로 구성된 '대안개발 연구모임'(대안모임)이 지난해 6월 '원주민 100% 재정착'을 목표로 한 주민참여형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제안해 진행하고 있다. 또한 1999년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선정돼 철거를 기다리고 있던 인천 부평구 십정1동에선 '열 우물길 프로젝트'라고 해 2002년부터 마을을 그림으로 꾸미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동네를 수리하고 벽에 그림을 그리는 활동하는 것이다. 골목을 지키면서 골목의 불편한 점들을 주민들과 함께 개선해 나가고 있다.
 
 
인천에는 골목이 남아 있는 곳이 몇 있다. 이 골목의 가치를 알아보고, 골목에 사는 사람들도 자신이 역사와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는 사실에 긍지를 느낀다면, 더불어 골목의 불편이 해소된다면, 골목은 역사와 문화를 만들어 내며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삶터가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종규 2010-09-30 19:57:58
골목마실 즐겁게 다닌 이야기를 살포시 적바림해 주시니 고맙습니다. 그런데, 골목동네에 페인트로 그림 그리고 벽을 손질한다고 골목이 나아질 수 없어요. 골목 삶이란 '껍데기'가 아닌 '골목집 속살' 삶이니까요. 그러나 정책을 맡은 공무원이나 문화예술을 하는 활동가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성과'에 매이기만 해서, 정작 골목사람한테 아쉬우며 반가운 '정책과 문화예술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아직 제대로 못 깨닫고 있답니다.

오래도록 골목동네에서 살아가며 제가 느끼기로는, 골목동네를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두며(존중)' 이러한 모습이 언제부터 이와 같이 이어져 왔는가를 곰곰이 살펴(역사를 찾아내어) 이사 걱정이 없이 스스로 동네를 손질하고 가꾸도록 지켜보는 일이 가장 낫지 않으랴 싶어요. 골목동네 텃밭은 동네사람이 스스로 일구었지, 누가 곡괭이를 빌려 준다거나 호미를 내어 주지 않았거든요. 가만히 두기만 하면 동네사람 스스로 동네를 아름다이 가꾼답니다.

홍길동 2010-10-01 12:33:52
도심개발한다는것이 인간의 정서까지 개발되진 않을것입니다. 사람 사는 그 자체에서 삶의 터전이 이루어지듯이 우리 삶의 터전을 무조건 개발의 잣대로만 휘젓지 않길 바랄뿐입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