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기후악당’ 기업들을 위한 온실가스 굴뚝일까?
상태바
인천이 ‘기후악당’ 기업들을 위한 온실가스 굴뚝일까?
  • 지영일
  • 승인 2020.04.10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태칼럼] 지영일 / 가톨릭환경연대 대외협력위원장
동국제강, 현대제철과 인접해 송현아파트 등이 밀집해있다
 

에너지·자동차·제철 등 ‘기후악당’ 사업장들 곳곳에서 지금도 온실가스가 펑펑 뿜어져 나오고 있다. 인천에는 포스코에너지에서 운영하는 7기의 LNG발전소가 있다. 한국지엠(부평)은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와 함께 자동차 관련 47개 업체 중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톱3에 포함되어 있다. 현대제철(동구)도 상위권으로 꼽히는 기업이다. 그중 영흥화력발전소(옹진군)는 기후악당 중 우두머리일 것이다. 이러한 지역 사정이고 보면 인천이 온실가스 대량배출 기업을 위한 굴뚝은 아닐까 싶을 정도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온실가스 명세서 배출량 통계에 의하면 2018년 12월 20일 기준으로 반도체·자동차·에너지·통신·항공 등 5개 주요 산업부문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3억1391만1204tCO²eq(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단위)로 집계됐다.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산업이 2억8550만6159tCO²eq로 가장 많았다. 에너지 사용량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산업이 78.7tCO²eq로 가장 많았고 항공 68.3tCO²eq, 반도체 64.2tCO²eq, 자동차 49.9tCO²eq, 통신 48.7tCO²eq 순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사용량도 그렇거니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가 바로 에너지산업이다.

우리나라는 기후위기와 관련해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써 국가적 ‘기후악당’으로 분류된 나라다. 제23차 기후변화협약총회에서 민간평가기관인 저먼워치, 뉴클라이밋연구소 평가, 유럽 기후행동네트워크가 발표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2018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기후변화대응지수에서 61개국 중 58위로 평가됐다. 이러한 불명예 이면에는 탄소 기반 국내 산업체계가 존재하다. 2018년 기준 상위 20개 기업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국내 전체 배출량의 58%에 이를 정도다. 극한으로 치닫는 온실가스 배출의 현실과 우리 앞을 막아선 기후위기에서 이러한 우리의 현주소는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최근 환경단체들과 에너지 관련 활동가들로 이뤄진 ‘기후위기비상행동’이 기후위기에 대한 기업의 책임, 포스코의 책임을 따지는 자리를 가졌다. 이들은 얼마 전 포스코 주주총회가 열린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포스코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었다. 석탄화력발전 중단, 즉각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후위기를 부추기는 기업 활동에 대한 정부의 제한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다양한 사업영역을 운영하며 굴지의 재벌기업으로 자리매김한 포스코지만 기후위기와 온실가스 앞에서는 한낱 기업분야 ‘기후악당’에 불과했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1위를 포스코가 차지한다. 심지어 포스코는 지난 8년 연속 온실가스 배출 국내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포스코가 2018년 배출한 온실가스는 7,300만톤으로 전체배출량의 10분의1에 이른다. 게다가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도 1,170만톤을 배출해서 국내 8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러 시사점을 던져주는 경우다.

결론적으로 기후위기와 전통적 탄소기반 기업활동은 동반자일 수 없다. 지속가능한 관계가 아니며 빨리 결별할수록 좋은 관계다.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 극대화를 위해서도 그렇다. 생태적 공존을 실천하면서 사회적 기여, 지속가능 경영환경을 만드는 기업이 착한기업이고 우량기업이다. 제품과 서비스, 기업 선호도에서 우리 인천시민이자 소비자들의 선택도 그러한 기준에서 움직여야 함이 마땅하다. 온실가스 대량배출 기업들이 그 산업구조 전환을 비롯해 배출량 감축에 즉각 나서야 하는 이유다. 환경적·사회적 영향력이 큰 기업들은 그래서 보다 근본적인 경영방식의 개선을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지방정부, 인천시는 기후악당 기업의 기후위기 경영을 견인하고 전환과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제도를 반드시 정비해 놓아야 한다. 아울러 기후·에너지를 정책적으로 통합한 조직과 거버넌스 논의구조를 구현해야 한다. 두 가지 지구적 이슈의 정합성을 높이고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기후위기와 관련한 민·관 협력적 논의구조는 대응체계를 뒷받침할 지속가능성의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기후위기 앞에 농민, 노동자, 여성, 장애인, 청소년과 같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불평등 심화와 인권침해에 대한 구제책은 물론 에너지·산업전환 과정에서 빚어질 수밖에 없는 일자리문제에 대한 발 빠른 대처 역시 중요하다. 그리고 더 이상 온실가스에 대한 기업부문이나 경제구조적인 면은 외면한 채 ‘개미’로 비유되는 시민들의 실천만을 강조해서도 안 될 것이다. 우리 인천이 기후악당 기업을 위한 온실가스 굴뚝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