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과 철책... 인천 해양수산 인식도 '최하위권'
상태바
매립과 철책... 인천 해양수산 인식도 '최하위권'
  • 김민지 인턴기자
  • 승인 2021.11.24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문화 토대로 해양교육문화 산업 진흥 이뤄야"
인천대 24일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정책 토론회' 개최 
24일 '인천시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정책 전문가 토론회'가 인천대에서 개최됐다.

인천은 168개의 섬이 있는 해양도시지만, 다른 도시에 비해 해양교육문화에 대한 인천시민의 인식은 낮다는 문제 제기가 전문가 토론회에서 나왔다.

인천대학교가 주최한 '인천시 해양교육문화 활성화 정책 전문가 토론회'가 24일 오후 3시 인천대 교수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지난 9월 10일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조례'가 통과됐다. 인천대는 '해양'을 대학의 중장기 발전 전략의 중요 의제 중 하나로 설정하고 해양교육과 해양문화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전문가 토론회를 펼쳤다. 

인천대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해양교육문화에 대한 인천시민의 인식을 올리고, 인천이 대표 해양도시로 발돋움할 기회로 삼고 있다. 

이날 토론회는 최영화 인천연구원 연구위원과 권기영 인천대 문화대학원 지역문화연구소장의 주제 발표로 시작됐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법률에서는 해양교육과 해양문화를 구분했지만, 인천시 조례는 구분하지 않았다. 인천시 조례 내용을 살펴보면 지자체가 할 수 있는 교육위주의 내용으로 대부분이 해양교육센터가 설립되어야 시행 가능하다"며 "해양교육 분야가 해양문화에 비해 법률이나 조례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해양교육과 해양문화는 상호연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2021년 인천 해양교육 현황을 보면 정규 교육시설 5곳, 유아·어린이전용시설 1곳, 시민대상시설 2곳, 건립 중인 시설 3곳 등 총 11곳이다. 해양교육은 정규 교육시설 5곳 외에는 시민 대상의 기반시설이 부족하며 해양고등학교 외에도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해양교육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해양교육과 해양문화 전문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전문인력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 연구위원은 "인천 해양교육문화 정책방향은 지역문화를 토대로 해양교육 추진 및 해양교육문화산업 진흥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해양인식이 개선되고 해양역량이 강화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권기영 연구소장은 "2021년 해양수산 국민인식도 조사에서 전라도가 3년 연속 1위한 데에 반해 인천/경기는 꼴찌, 2019년 부경해양지수에서도 인천이 최하위를 기록했다"며 "오랜기간 인천시민은 매립과 철책으로 바다와 친숙해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2019년 부경해양지수를 보면 인천은 ▲안전지수 ▲안보지수 ▲먹거리지수 ▲환경지수 ▲경제지수 ▲정책지수 ▲동북아해역지수 분야에서 최저점을 받았으며 다른 분야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어 "인천 해양교육문화 활성화를 위해 인천대는 해양교육문화연구소를 설립한다"며 "▲황해연구소 ▲인천학연구원 ▲지역문화연구소 ▲중국학술원 ▲스포츠과학연구소 ▲통일통합연구원 ▲일본문화연구소 ▲트라이버시티연구소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공무원 직무교육을 진행했고 오늘 토론회를 시작으로 세미나들이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발표 이후에는 종합토론 및 제언이 이어졌다. 종합토론 사회는 김규원 연구처장이 맡았으며 이용범 인천시의원, 최영화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손동혁 인천문화재단 정책협력실장, 김민철 인천대 예술체육대학 학장 등 5명이 참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