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원도심균형발전계획 수립용역 발주
상태바
인천시, 원도심균형발전계획 수립용역 발주
  • 김영빈 기자
  • 승인 2018.04.29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2년만에 대폭 손질, 도시재생뉴딜정책에 맞추기로

    
       
 

 인천시가 ‘인천 원도심 균형발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한다.

 시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난 2016년 7월 첫 수립한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을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정책’에 맞춰 대폭 수정하는 것을 포함해 10억원을 들여 30일 ‘인천 원도심 균형발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도시재생사업 유형이 기존 2개(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에서 도시재생뉴딜정책 도입으로 5개로 세분화된데 맞춰 계획을 새롭게 짜기로 했다.

 기존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은 경제기반형 1곳(중·동구 일대 개항창조도시 386만8000㎡)과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4곳(중구 연안부두어시장 일대 74만㎡, 동구 송림5거리 주변 23만2000㎡, 남구 제물포역 주변 90만5000㎡, 부평구 부평역 일원 102만9000㎡) 등 대규모 재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일반 근린재생형 7곳(중구 신흥동 일원 62만1000㎡, 강화군 강화군청 주변 101만㎡, 강화군 교통 대룡시장 주변 7만8000㎡, 남동구 만부구역 주변 23만5000㎡, 서구 가재울마을 주변 16만7000㎡, 부평구 부평아울렛 주변 17만4000㎡, 서구 SK인천석유화학 3거리 주변 47만5000㎡)도 담고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도시재생뉴딜정책을 도입하면서 사업 유형을 ▲우리동네 살리기(5만㎡ 이하) ▲주거정비지원형(5만~10만㎡ 이하) ▲일반근린형(10만~15만㎡ 이하) ▲중심시가지형(20만~50만㎡ 이하) ▲경제기반형(50만㎡ 초과)로 나눠 소규모 재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4억7800만원을 투입해 첫 수립한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은 2015년 시행에 들어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5년 단위로 변경하는데 2년 만에 변경이 추진되는 것이다.

 시는 ‘인천 원도심 균형발전계획’에 강화·옹진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의 공간 범위인 원도심 820㎢보다 넓어진 923㎢를 대상으로 권역별·분야별 특성에 맞는 소규모 개발 중심의 도시재생 계획과 추진일정을 수립키로 했다.

 목표는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개편, 보행자 중심의 거리환경개선, 충분한 녹지 확보 등을 접목한 인간 중심의 도시 재창조 ▲문화생태지도 제작 등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 자원 네트워크를 통한 시민 주체의 문화도시 창조와 공동체 회복 ▲청년 일자리 창출 등 거점별 창의·혁신공간을 통한 인간·문화·산업이 공존하는 경쟁력 있는 도시를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도시재생뉴딜정책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기존 ‘2025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과 ‘인천 원도심 균형발전계획’ 수립이 병행된다”며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이 바뀐 만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최대한 많은 도시재생뉴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