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윤 시인, 「섬 택리지」로 이중환 택리지의 공백을 메우다
상태바
강제윤 시인, 「섬 택리지」로 이중환 택리지의 공백을 메우다
  • 이희환 기자
  • 승인 2015.01.21 2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도 섬택리지 이어 서도 섬택리지도 계획중"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섬이 없다

뭍과 섬 사이에 오솔길을 내는 사람이 있다. 섬과 섬 사이에 노둣돌을 놓는 시인이 있다. 우리에게 섬 여행자로 잘 알려진 강제윤 시인이다. 강 시인은 인천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우리나라의 숱한 섬을 돌아다니며 섬 문화를 기록해 온 그가 이번에는 남도의 소중한 ‘보물섬’ 스물한 곳을 공들여 기록했다. 그곳에서 시인은 섬 문화와 해양 유산, 역사와 지리, 인물 등 유형과 무형의 숨어 있는 보물을 톺아보고 써내려갔다. 
 
이 책 「섬 택리지」는, 조선시대 영조 때 이중환이 지은 우리나라 지리서 「택리지」에서 따온 제목이다. 이중환의 책처럼 본격적인 지리서는 아니다. 다만, 「택리지」가 뭍과 사람 사이에서의 인문학적인 관계를 살폈다면, 「섬 택리지」는 바다와 섬이라는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살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두 책은 닮은꼴이지만, 정작 책에서 다룬 지역은 단 한 곳도 겹치지 않는다. 이중환이 기록한 것이 ‘뭍의 택리지’인 반면 강제윤이 쓴 것은 ‘바다의 택리지’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전국의 바닷길을 떠돌며 쓴 강제윤의 「섬 택리지」는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쏙 빠져 있는 우리나라 섬들을 다루고 있다. 그 덕분에 독자들은 「섬 택리지」를 통해 옛 ‘택리지’의 아쉬움을 달랠 수 있게 되었다.

「섬 택리지」는 우리나라 택리지가 지난 수백 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놓치고 또 잃어버린(조선시대부터 공도 정책 따위로 배제해온, 그래서 몇 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가 습관적으로 놓치고 있는) 천금 같은 조각을 찾아 맞추어 온전한 우리나라 택리지를 완성하는 데 힘을 보탠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는 책이다. 이 책은 강제윤이 섬을 떠돌며 기록해 온 ‘섬 택리지’를 완성해 가는 일곱 번째 책이다.
 
“알려지지 않았을 뿐, 한국의 많은 섬이 보물섬”

“사람에게만 피가 흐르랴. 섬들도 모두 크고 작은 핏줄로 이어진 혈육지간이다.”
시인이 고향 보길도를 떠나, 이 섬에서 저 섬으로 이어진 섬줄기를 따라 걸은 지도 벌써 십여 년 세월이 훌쩍 넘는다. 누가 알아주든 몰라주든 뚜벅뚜벅 걸어 답사한 유인도가 물경 삼백 곳에 이르니, 이제 강제윤에게는 웬만한 섬들이 손바닥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섬 여행자로서는 거의 독보적인 이력을 쌓아온 세월에 섬을 헤아리는 그 안목은 깊고 밝다. 시인이 던지는 인문학적 사유의 그물이 유형과 무형의 보물을 가리지 않고, 또 시공과 경계에 걸림이 없이 펼쳐진다. 시인의 그물에 걸려 올라온 보물들을 「섬 택리지」에서 생생한 글로 만날 수 있다.
 
섬에는 유형의 보물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무형의 보물들이 더 많다. 뭍을 그리워하는 섬사람들의 애환을 담은 가거도 할머니의 민요, 제주도 ‘이어도 사나’의 흑산도 버전이랄 수 있는 흑산도 해녀 할머니가 불러주는 ‘진리 뱃노래’, 어떤 지역의 군수가 “강부자 씨, 목청을 떼놓고 가씨오” 할 만큼 구성진 들노래 등이 그 무형의 보물들이다. 또 시인이 전해 주는 흑산도 진리 당집의 피리 부는 소년과 처녀귀신의 사랑 이야기, 비구니와 비구의 사랑이 놓은 애틋한 노둣돌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섬이야말로 이야기의 보고라는 시인의 말에 절로 고개 끄덕이게 된다.
 
물결과 바람결이 억겁 세월 동안 스치듯 조각한 자연 절경이고, 더불어 그곳에서 자연을 극복하고 또 때로는 자연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람들의 높고 외롭고 애틋한 삶은 그 자체로도 보물인 셈이다. 밀레의 ‘만종’이 뭍의 풍경이라면 “망망한 갯벌 한가운데 그물을 들고 서 있는 어부의 모습”은 시인이 읽은 ‘갯벌의 만종’이라 할 것이다. 해서 시인은 “알려지지 않았을 뿐, 한국의 많은 섬이 보물섬”이라고 힘주어 얘기한다.
 
그러나 안타까움도 있다. 섬 여기저기서 개발의 망령을 목도한 것이다. 방조제나 조력발전소가 들어서면서 파괴되는 갯벌과 문화유산에 대한 마음이 그러하다. 해안도로를 내기 위해 어부림魚付林(물고기를 모으기 위해 조성된 숲)을 파괴하고 천 년 된 당집이 허물어지고 그 자리에 체육공원이 들어서는 것을 보는 마음이 그러하다.

지난 해 세월호 참사 이후 얼어붙은 바닷길을 보는 마음이 또 그러하다. 뭍사람들이나 섬사람들 스스로 섬의 진정한 가치를 알지 못하는 현실에 마음이 착잡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섬의 보물들이 아주 사라져 버리기 전에 서둘러 보존할 방법을 찾”자는 목소리도 잊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목소리를 높이지는 않는다. 다만 섬에서 만난 풍경을 찍고 그 터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생생하게 기록해 전할 따름이다.

아쉽고 서운한 것은, 이번에 출간한 「섬 택리지」가 남도의 섬 여행기라는 점이다. 시인이 어린시절 살았고, 또 누구보다도 자주 가곤했던 인천 앞바다 섬들의 이야기는 담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강제윤 시인은 [인천in]과의 통화에서 "「섬 택리지」가 좀 널리 읽힌다면 아직 미완으로 남은 다른 섬들에 대한 기록을 이어가는데 힘이 될 것 같다."고 전해왔다. 

[인천in]에서는 조만간 강제윤 시인을 인천에 초대해 출판기념 강연을 개최할 예정이다.


강제윤, 섬택리지, 도서출판 호미
332쪽. 17,000원. 올컬러.  

<목차>
 
1부
갯벌의 만종_자은도 1
여인송의 슬픔_자은도 2
비구니와 비구의 사랑이 놓은 징검다리_박지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_ 안좌도
산 사람은 날 가고 달 가면 살아지는데 _ 팔금도
 
2부
중국의 닭 우는 소리 들리는 섬 _ 가거도
외딴섬에 숨어 사는 사내처럼 _ 만재도
60개 국을 떠돌다 정착한 고향 섬 _ 하태도
흑산도 사람들은 삭힌 홍어 잘 안 먹어 _ 흑산도
순간인 줄 알면서 영원처럼 _ 홍도
 
3부
먹을 수 있는 유일한 돌 _ 도초도 1
할머니 울지 마 내가 영감 하나 사주께 _ 도초도2
내가 김일성이 아들이요 _ 비금도 1
길에서 만난 현자들 _ 비금도 2
우이도 처녀, 모래 서 말 먹고 시집가다 _ 우이도
섬마을 총각 선생님 _ 동서 소우이도
 
4부
공주와 대통령 _ 하의도 1
대중이는 고향에 암것도 안 해줬어 _ 하의도 2
장어가 뱀하고 똑같아! _ 장산도 1
슬픔도 가락을 타면 흥이 된다 _ 장산도 2
소금 섬 가는 길 _ 신의도 1
할머니 뱃사공 _ 신의도 2
 
5부
1만 마리 갈매기가 우는 집 _ 임자도 1
죽음으로 일제에 저항했던 타리 기생들 _ 임자도 2
술집 색시와 사랑에 빠졌던 선원의 순정 ㅍ 재원도
우리는 모두 아득히...1부
갯벌의 만종_자은도 1
여인송의 슬픔_자은도 2
비구니와 비구의 사랑이 놓은 징검다리_박지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_ 안좌도
산 사람은 날 가고 달 가면 살아지는데 _ 팔금도
 
2부
중국의 닭 우는 소리 들리는 섬 _ 가거도
외딴섬에 숨어 사는 사내처럼 _ 만재도
60개 국을 떠돌다 정착한 고향 섬 _ 하태도
흑산도 사람들은 삭힌 홍어 잘 안 먹어 _ 흑산도
순간인 줄 알면서 영원처럼 _ 홍도
 
3부
먹을 수 있는 유일한 돌 _ 도초도 1
할머니 울지 마 내가 영감 하나 사주께 _ 도초도2
내가 김일성이 아들이요 _ 비금도 1
길에서 만난 현자들 _ 비금도 2
우이도 처녀, 모래 서 말 먹고 시집가다 _ 우이도
섬마을 총각 선생님 _ 동서 소우이도
 
4부
공주와 대통령 _ 하의도 1
대중이는 고향에 암것도 안 해줬어 _ 하의도 2
장어가 뱀하고 똑같아! _ 장산도 1
슬픔도 가락을 타면 흥이 된다 _ 장산도 2
소금 섬 가는 길 _ 신의도 1
할머니 뱃사공 _ 신의도 2
 
5부
1만 마리 갈매기가 우는 집 _ 임자도 1
죽음으로 일제에 저항했던 타리 기생들 _ 임자도 2
술집 색시와 사랑에 빠졌던 선원의 순정 ㅍ 재원도
우리는 모두 아득히 먼 곳을 떠도는 외로운 사람들 _ 증도 1
보물섬 _ 증도 2
갯벌의 기도 _ 병풍도, 대기점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