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백련사에 보물994호 있다.
상태바
강화 백련사에 보물994호 있다.
  • 이창희
  • 승인 2012.12.01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의 산수풍물]절제의 美를 본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백련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불상이다

위 불상은 높이 51.5㎝. 보물 제994호. 왼발을 옷 속에 감싸고 오른발을 드러낸 길상좌(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자세)의 모습으로 앉아 선정인(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놓은 손 모양)을 짓고 있는 불상이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유행했던 단아한 양식적 특징이 잘 나타난 철불좌상이기도 하다.

4각형의 얼굴에 반달 모양의 눈썹과 가늘면서도 알맞은 눈매, 단정하면서도 오뚝한 코와 작고 아담한 입 그리고 적당하게 굴곡진 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표정의 변화를 극도로 절제하려던 선사의 단엄한 분위기를 보여 주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특징은 신체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단정하게 처리된 목과 삼도, 다소 좁아진 단아한 어깨선과 반듯한 가슴, 팔꿈치를 삼각형 모양을 지어 좌우대칭으로 한 의도적인 자세와 긴 상호 그리고 손발의 유연한 처리 등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통견의 대의는 다소의 두께를 표현하였다. 옷주름은 간결하지만 왼쪽 팔꿈치 Ω자형 옷주름과 배의 띠 매듭 그리고 왼쪽 가슴의 독특한 고리 장식 등이 표현되어 있어서, 고려 후기 불상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 준다.

이러한 특징은 장곡사금동약사불좌상이나 문수사금동아미타불좌상 등 일련의 고려 후기 불상들과 흡사하다.

그러나 유난히도 큼직하고 대담하게 묘사된 승각기 장식과 왼쪽 종아리로 내려진 옷자락은 이들 불상과는 약간 다르다. 오히려 개성민천사금동불좌상이나 개풍군 출토로 전해져 오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동불좌상 등과 비슷한 모양이다. 단아한 모습의 특징을 지닌 불상 양식이지만 다소 엄숙한 편에 속하는 불상 계열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