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12년 후엔 올림픽 하겠다?
상태바
인천시, 12년 후엔 올림픽 하겠다?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6.02.19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사회 “정신 못 차렸냐” VS 시 “단순 의견일 뿐”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장면. ⓒ문화체육관광부
?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른?인천시가 향후 2028년 역시 아시안게임 경험이 있는 부산과 올림픽을 공동개최하는 방안을 내부에서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아시안게임 직후였던 2014년 말에도 이같은 이야기가 들렸던 바 있어 당시에도 시민사회에서 강력히 반대의 목소리를 냈음에도, 최근 1~2개월 사이 또?이러한 검토 소식이 알려지자?지역사회에서는 “아직도 정신 못 차렸냐”는 식의 비난여론이 나오고 있다.
?
18일과 19일 인천시 관계자에 따르면 인천아시아드 주경기장과 종목별 경기장 등 엄청난 시 예산을 들여 건립한 시설의 국제적인 활용 및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 세계 스포츠인의 최대 이벤트인 하계 올림픽을 유치할지 여부를 놓고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시 내부에서 이러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이유로는 아시안게임을 치렀던 주경기장을 비롯해 이들 경기장에 대한 사후 활용 방안이 마땅치 않은 시점에서, 국제공항 및 주변 신축시설 등을 다수 확보한 만큼 경쟁력이 충분히 있다는 의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여기에 지난 2014년 11월에는 부산지역구 의원인 문대성 IOC 선수위원(현재 인천서 국회의원 출마 예정)이 인천시 체육특보에 선임되기도 했다. 때문에 시 안팎에서는 “인천이 향후 하계 올림픽 유치를 하기 위해 사전에 포석을 두는 것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했다.
?
또 현재 부산의 경우 울산 등 인근 도시와 협력해 대회를 공동으로 치르겠다는 뜻을 최근 밝힌 바도 있다. 부산은 이런 경로를 통해 인천과도 손을 잡을 수도 있고, 만약 그게 아니라면 경남권역과 협력 하에서 올림픽을 치러보겠다는 얘기도 하는 등, 의지는 어느정도 나타나 있는 상태다. 다만 국내 체육계는 서울이 아닌 곳에서 대회를 치른다고 전제하면 인천이 부산보다는 좀 더 낫다는 의견이 좀 더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
체육계 한 관계자는 “인천이 아시안게임을 치르며 예산을 많이 써서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그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큰 사고 없이 잘 치러낸 것은 저력으로 평가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면서 “마침 인천시가 대회를 마친 당시보다는 약간이나마 재정 상태가 좀 나아졌다는 얘길 들었는데 그렇게 계속 적자폭을 줄여 가면서 재정 상태가 정상화된다는 것을 전제한다면, 공항 등 주변 시설도 괜찮아서 향후 올림픽을 연다고 하면 아시안게임 때만큼 예산 부담을 갖지 않으면서 대회를 치를 수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
지역사회는 전반적으로 반대 입장이 짙다. 아시안게임의 엄청난 적자폭으로 인해 그 부담이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되면서 지난해 주민세가 120%나 오르는 등 비정상적인 행정이 이루어짐에도 시민들이 이를 다 감수하는 등 아픔을 지금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회를 치른 이후 일부 시 공직자들이 책임의식을 갖지 않는 듯한 모습까지 나오며 여론이 좋지 못한 상황이기도 하다.
?

당시 아시안게임 대회지원본부에 근무하던 인천시 공직자가 보도 매체 ‘뉴스타파’를 통해 대회 적자는 시민이 책임져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장면. (사진 출처 = 뉴스타파 보도화면 캡처)
?
이러한 여론은 지난 2014년 11월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와 지역 시민단체 ‘참여예산네트워크’ 등이 주최 및 주관했던 ‘인천 아시안게임 성과와 과제’, 그리고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 등 두 번의 토론회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나타낸 입장과도 일치한다.
?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아시안게임을 통해 인천시민들이 자긍심을 갖거나, 아니면 대외적인 도시 브랜드 이미지가 제고되었다거나 하는 정황을 사실 찾아보기 힘들지 않냐”면서 “올림픽의 경우 상당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중계권을 IOC가 독점하고 있기에, 미국의 경우처럼 노골적으로 상업화를 들이밀지 않는 한 흑자 내지 제로 섬 게임을 하기가 힘들다”고 의견을 말했다.
?
문화단체 ‘스페이스 빔’의 민운기 대표는 “여론 수렴 단계서부터 공론화 및 공감대 형성 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리 진행이 되다 보니 시민들 스스로가 주인의식도 높지 않은 상태에서 엉성히 진행된 대회였다”며 “뉴스 보도에서도 한 공직자가 아시안게임 적자는 시민들이 책임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 말하며 시민들이 분노할 장면이 나오기도 한 만큼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올림픽 이야기가 또 나온다는 걸 보면 아직 시 공직자들이 정신을 덜 차렸구나 싶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
외부 체육계 전문가들 역시 인천의 올림픽 유치에 대해 비관적인 목소리를 많이 내고 있다. 재정상황이 위기 상태에서 올림픽을 생각하는 것은 그것이 체육발전에 공헌하는 측면이 있다고 해도 비상식적이라는 논리가 있는 것이다.
?
정희준 동아대 교수 겸 스포츠 칼럼니스트는 “영암서 열린 F-1 대회로 인해 영암이 예산부담을 크게 졌듯 인천도 결국은 쪽박을 찬 셈”이라며 “미국 경제인들이 IOC와 아주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내 LA올림픽이 흑자를 내는 걸 본 IOC가 가장 큰 돈줄인 중계권을 비롯해 스폰서십 협상권, 입장권 판매까지 모두 거둬들이면서 현재까지 그 어떤 올림픽 대회도 흑자를 낸 적이 없고,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으로 인해 몬트리올 시는 21세기가 되어서야 그 부채를 30여년 만에 모두 청산했고, 2004년 그리스 대회는 적자가 너무 천문학적이라서 얼만지도 모르겠다는 얘기가 나오는 판”이라며 올림픽 후폭풍에 대해 설명했다.
?
정 교수는 “인천이 아시안게임을 유치할 당시 안상수 시장이 올림픽이 못지않게 치를 수 있다고 공언한 것이나, 당시 김정길 조직위원장은 한술 더 떠서 올림픽보다 더 큰 규모로 치를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은 이들이 스포츠 메가 이벤트에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전적으로 증거하는 것들”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
이러한 여론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여부가 정해지지도 않았고, 내부에서도 그런 혹은 비슷한 의견이 나오는 정도”라며 “아직 확정된 일도 아닌 데다 무려 12년 후의 일인데, 벌써부터 하라 혹은 말라 등에 대해 논쟁을 벌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
한편 인천 출신의 한 스포츠 전문 기자는 기자와의 대화에서 “2018년 평창이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뛰어들었을 때, 당시 유럽의 최대 부국 중 하나였던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가 유치를 타진하고 있었으나 시민들이 극렬히 반대했고, 2024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뜻이 있었던 독일 함부르크는 주민 투표로 이를 결정해 투표자의 절반 이상이 올림픽 개최를 반대해 뜻을 접은 사례가 있다”면서 “두 나라 모두 선진화를 이뤄낸 부국들이며, 이들 선진국들의 행정집행 과정은 적잖은 예산이 소요되는 국제 스포츠 대회에 해당 시민들의 뜻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의견을 보였다.
?

?

북유럽의 부국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의 전경. 오슬로는 평창이 유치했던 동계올림픽에 대해 유치 의사를 갖고 있었으나 주민들의 반대 여론을 반영해 유치전에 뛰어들지 않았다. (사진 출처 = visitoslo.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