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여년 우편제도의 첫 시행,우정총국 인천분국
상태바
130여년 우편제도의 첫 시행,우정총국 인천분국
  • 편집부
  • 승인 2016.04.05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최초, 인천 최고]⑦인천우체국

인천시는 ‘인천 가치 재창조’의 일환으로 인천의 역사를 되짚어 보기 위해 ‘한국 최초, 인천 최고 100선’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일곱번째 순서로 130년 역사의 인천우체국 이야기를 정리한다.



<인천우체국>


<우전인> 사진제공=인천시


인편으로 소통하던 시대에서 우편은  획기적인 통신 수단이었다. 1980~90년대까지만 해도 우체국을 찾아 우표를 붙여 보내는 우편통신망이 보편화됐었다.

이러한 우편통신망의 출발점은 인천과 서울이었다. 우편통신망 도입 당시 우표만을 붙여 다른 지역과 소통할 수 있었다는 것은 가히 혁명적인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인천에서 우편제도의 시행은 1884년 11월 우정총국(郵政總局) 인천분국이 설치되면서 시작되었지만, 같은 해 12월 4일 갑신정변으로 우정총국이 폐지되자 업무를 중단하게 됐다.

이후 1895년 7월,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새로운 우편사업이 재개되면서 한성과 인천에 우체사를 설치해 우편업무를 동시에 시작했다.
 
당시 집배원은 ‘우전인(郵傳人)’혹은 ‘체전부’라고 불렸는데 편지 봉투에 적힌 주소를 읽어야 하기에 언문은 물론 한문을 읽을 줄 알아야 했다. 그들은 경인철도가 부설되기까지는 걸어다니면서 우편물을 교환했는데, 인천과 한성의 체전부가 하루 8시간 80리의 길을 걸어 중간지역인 서울 오류동에서 만나 우편물을 교환했다.
 
인천 개항과 함께 일본은 영사관내에 간이우체국을 설치해 우편 업무를 취급했다. 조선정부는 1895년 우체사를 설립해 우편업무를 재개하면서 일본우편국 철폐를 요구했지만, 1905년 4월 한일통신기관협정 체결을 강요하면서 오히려 우리나라 통신권을 강탈했다.

‘우체사’의 명칭도 일본식인 ‘우편국’으로 바꾸고 금융업무까지 취급했다. 일본의 인천우편국은 1923년 12월 중구 항동에 새 청사를 지어 이전했다.
 
광복 후 1949년 8월 일제 잔재를 청산한다는 의미에서 ‘인천우편국’은 우리의 ‘인천우체국’으로 돌아왔다. 현재 ‘인천중동우체국’이라고 불리고 있는 인천우체국은 업무가 지속되고 있는 현존하는 우체국 건물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1982년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시 관계자는 “개항과 함께 130년 동안 주요 통신 업무를 담당했던 인천우체국의 역사를 되돌아 보며, 앞으로도 인천이 정보통신사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