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궤도 오르는 부평음악도시사업
상태바
본궤도 오르는 부평음악도시사업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7.03.07 1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 분과로 사업 진행... 일부 중복사업 및 분야 등 조정 '필요'


지난해 대강의 윤곽을 공개한 부평음악도시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국비 지원 추진사업’인 음악도시사업이 ‘주민 참여형’이라는 모토를 걸고 있는 만큼 올해 생활문화정책 등과의 연계 가능성도 있는데, 일부의 ‘조정’이 필요한 사업 영역도 지적되고 있다.
 
부평구문화재단(이하 재단)의 박옥진 대표는 7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재단의 중점사업이 크게 두 가지이며 하나는 음악도시사업, 또 하나는 생활문화센터 운영이 될 것”이라고 올해 계획에 대해 밝혔다.
 
이미 국비지원공모사업에 선정돼 지난해 말 총 6개 분과(음악산업, 콘텐츠 개발, 음악교육, 음악동네, 시민생활, 아카이빙)의 사업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됐던 음악산업의 구체화된 내용은 전문교육 아카데미 운영을 비롯한 전문교육 및 생활교육사업을 중심으로 한 음악거리 거점화 사업, 주민 생활음악 활동 지원, 대중음악사 정리 등 아카이빙 작업에 음악 산업 전문가들이 자문하는 콘텐츠개발 등의 내용이 골자다.
 
이중 전문교육 아카데미를 포함해 음악산업 인프라의 구축을 위해 부평(BP)음악산업센터가 최근 구성됐고, 음악평론가이자 공연기획자인 박준흠씨가 센터장(비상근)으로 위촉돼 업무중이다.
 
현재도 연중행사로 열리고 있는 부평밴드페스티벌과 솔아솔아 음악제 등이 올해 음악도시사업과 연계돼 추진되는 주요 행사 중 하나로 잡혀 있다. 관내 카페 등 공간들 중 별도의 음향시설을 지원하면 공연이 가능한 공간들을 대상으로 한 상시공연 지원 등의 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또 생활문화사업으로는 ‘공감 168’이라는 이름으로 8일 개관을 앞두고 있는 부평생활문화센터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문화를 직접 창조하고 체감하며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다.
 
 

음악도시사업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에 대해 설명 중인 부평구문화재단의 박옥진 대표. ⓒ배영수

 
이날 박 대표가 언급한 생활문화사업의 내용은 문화 관련 동호회의 활성화와 문화 강좌, 상설 체험 및 커뮤니티 등 지역 연계 프로그램 구축과 정기 혹은 비정기 발표회 진행 등이 골자다. 재단 측은 “이를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문화의 주체로 참여하고 이것이 활발한 주민활동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역 거주 여부와 나이 제한 등을 둬 부평구에 거주하는 젊은 청년예술가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사업을 진행해 청년들이 관의 영역에서 예술활동을 할 수 있는 루트도 가능하면 많이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전했다.
 
한편 음악도시사업의 경우에는 일부 ‘손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6개 분과의 사업 내용 중 일부 재구성이 필요하거나, 분과 별로 중복 혹은 빠져 있는 문제, 그리고 타 분과로의 재편성 필요 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아래 도표 참고)
 
 
 
실례로 재단이 발표한 계획 자료에 따르면, 재단은 ‘지역밀착형’ 축제로 ‘부평밴드페스티벌 등을 언급하며 이것을 콘텐츠개발 분과로 분류해 놓았다. 그러나, 주민에게 다가가는 밀착형 축제라면 음악 전문분과인 콘텐츠개발 분과의 분류보다는 음악동네 혹은 시민생활 사업의 분과로 분류하고 여기에 시민들을 진행 주체 일부로 참여시키는 것이 보다 확실한 지역밀착형 축제라는 것이 몇몇 지역 문화계 인사들 지적이다.
 
또 부평(BP)음악산업센터가 주관할 아카데미 사업 중 전문가 양성교육은 엄연한 교육사업인 데다 이미 교육과정에 대한 커리큘럼도 나와 있는 만큼 음악산업분과가 아닌 교육분과로 분류시킬 필요가 있다. 해당 도표 구성은 전문가와 시민이 ‘공통’으로 교육을 받게 될 내용이나 전반적인 교육 행정 등에 ‘일원화’가 돼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
 
그리고 음악산업분과는 이미 이 사업의 과제로 거론된 음악 소비 등 유통산업분야 등 실질적인 사업 분야, 그리고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전문가들의 소화 영역 확충 등에 좀 더 집중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다.
 
또 음악 산업의 전반을 잘 알고 있는 전문가들로 주로 구성되는 콘텐츠개발 분과의 경우, 지역축제를 개발하는 정책방향을 잡는 것보다는 향후 음악도시사업의 필요 과제를 발굴하고 신규 사업 등도 함께 발굴하는 작업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또 국비를 포함해 시비와 구비 등 공적자금이 5년 간 40억 원이 안 되는 빠듯한 예산으로 치러야 하는 만큼 이에 대한 압박도 재단으로서는 극복해야 하는 과제다.
 
한 문화계 인사는 “혼란한 국정 속에서 문화계가 타격이 상당해 구성원들 급여도 제대로 못 주는 상황이 속출하고 있는 판”이라며 “음악 산업과 관련된 인프라가 서울에 집중돼 있는 상황에서 ‘차라리 서울로 오라’는 등의 유혹도 지역 예술가들에게 다가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재단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국비까지 지원된 이 사업에 대해 정말로 자기 일처럼 사업을 진행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