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벌레 삶은 즐겁지 않아요
상태바
돈벌레 삶은 즐겁지 않아요
  • 최종규
  • 승인 2010.12.08 1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읽기 삶읽기] 요르크 뮐러·요르크 슈타이너, 《두 섬 이야기》

 좋은 이야기라 할는지, 훌륭한 이야기라 할는지, 놀라운 이야기라 할는지, 아픈 이야기라 할는지, 따스한 이야기라 할는지, 여러모로 뒤엉킨 그림책 《두 섬 이야기》를 펼칩니다. 그림책 《두 섬 이야기》는 처음에는 ‘세 섬’이었으나 ‘한 섬’은 사람들이 끝없이 돈벌레 짓을 하다가 그만 물속으로 꼬르륵 가라앉고 말아, ‘두 섬’이 되었을 때 이야기를 담습니다. 아마, 맨 처음 세 섬이던 때에는 세 섬 모두 어슷비슷 조촐한 모양새였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어느새 한 섬하고 두 섬이 다른 모양새가 되고, 이 다른 모양새로 흐르고 흐르던 어느 날 한 섬이 무너졌으며, 남은 두 섬이 비슷한 모양새로 다시금 제자리를 찾았으나, 끝내 다른 한 섬마저 예전 섬이 걷던 길을 되풀이하면서 물속으로 가라앉을 뻔하는구나 싶어요.

.. 큰 섬에는 부자와 가난뱅이, 주인과 머슴이 살았습니다. 또 큰 섬의 배들은 으리으리했어요 … 그와 달리 작은 섬에는 주인도 머슴도 없었습니다. 너 나 할 것 없이 모든 일을 함께 했지요. 그런 까닭에 부자도 없고 가난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게다가 부자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 역시 없는 탓에, 노래하고 춤추고 연을 날리며 즐겁게 놀 시간이 많았습니다 ..  (4∼5쪽)

 그림책 첫머리에 적힌 이야기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첫머리부터 이 그림책 마무리가 어떻게 될는지를 환히 보여줍니다. 부자와 가난뱅이가 갈린 섬은 앞날이 어찌 되겠습니까. 주인도 머슴도 없는 섬은 앞날이 어떠할까요. 부자와 가난뱅이가 있는 섬은 오늘날로 친다면 경제성장률이 꽤 높고 국민소득 또한 제법 될 테지요. 주인도 머슴도 없는 섬은 경제성장률이 아예 없을 뿐더러 국민소득 또한 숫자로 잴 수 없을 테고요.

 생각해 보셔요. 국민소득이 몇 만 달러라 하는 나라에 거지나 떨꺼둥이가 없는가요. 국민소득이 2만 달러라 하는 이 나라 사람들 살림살이는 어떠한가요. 줄잡아서 2만 달러라 하지만, 2만 달러를 웃도는 사람하고 이 숫자를 밑도는 사람들 살림살이는 얼마나 어떻게 벌어졌는가요.

 이런 숫자를 따지면서 살아야 할 우리들일는지 궁금합니다. 이런 숫자가 아니요 숫자로 따질 수 없는 사랑과 믿음과 나눔을 헤아려야 할 우리들일는지 스스로 잘 가눌 노릇이 아닌가 싶습니다. 돈을 더 많이 버는 삶을 바라지 말고, 더 즐겁게 어우러지면서 아름다이 지낼 삶을 꿈꾸며 가꿀 노릇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붉은 사금석 밑에서 묵직한 순금이 나왔다는 소식은 눈 깜짝할 사이에 온 섬에 퍼졌습니다. 큰 섬 사람들은 너도 나도 황금을 찾아나섰습니다. 농부들은 이제 밭을 돌보지 않았어요. 어부들은 더이상 바다로 나가지 않았고요. 하인들과 머슴들은 몰래 일터를 빠져나갔지요 ..  (14∼16쪽)

 그림책 《두 섬 이야기》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책입니다. 아이들이 서로서로 따스히 아끼거나 사랑하도록 이끌려는 책입니다. 착한 마음과 참다운 넋과 고운 몸가짐을 익히도록 도우려는 책입니다. 이 나라이든 이웃한 나라이든 어른들은 도무지 제 마음을 차리지 못하는 탓에, 앞으로 우리 누리를 가꿀 아이들한테 슬기로운 얼을 북돋우고 싶어 하는 책입니다.

 틀림없이 적잖은 아이들은 이 그림책을 읽으면서 금이니 돈이니 이름이니 힘이니 하는 부질없는 뜬구름잡기를 달가이 여기지 않으리라 봅니다. 그러나, 그림책에 나오는 큰섬 임금님이 지나치게 엇나갔기 때문에 이렇게 무너졌다고 생각하며, ‘돈을 긁어모으더라도 좀 알맞게’ 긁어모았어야 한다고 생각할 아이들 또한 꽤 있으리라 봅니다. 비바람이 몰아칠 때에는 일을 쉬게 해 준다든지, 사금석 밑에서 나온 금붙이를 사람들한테 나누어 준다든지 하면 ‘투덜거리는 목소리’를 얼마든지 잠재울 수 있지 않느냐 생각할 수 있어요.

 어느 한편으로는 《두 섬 이야기》 같은 그림책이야말로 어른들이 먼저 읽고 깨우쳐야 한다 여길 만합니다. 아이들하고 사랑스레 어울리는 삶을 사랑하는 마음을 기르도록, 어른들이야말로 이 그림책을 읽으며 당신 삶을 곱씹고 뉘우칠 노릇이라 할 만합니다. 아이들한테 읽히는 그림책이라기보다 어른들한테 읽히는 그림책이라 할 수 있어요.

 아이들 스스로 돈벌레처럼 구는 일이란 없습니다. 아이들 둘레에 있는 어른들이 하나같이 돈벌레처럼 굴 때에 아이들 또한 이런 버릇을 물려받습니다. 아이들을 거느리거나 키우는 어버이가 돈벌레 삶에 얽매여 있을 때에는 아이들은 시나브로 돈벌레 삶에 젖어듭니다. 아이들이 대학입시에 일찍부터 목 매달도록 내모는 어버이와 교사란, 아이들이 돈벌레 삶에서 허덕이도록 내모는 꼴하고 마찬가지입니다.

.. 눈먼 할아버지는 섬 사람들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었습니다. 눈먼 할아버지는 자기가 같이 갈 것이며 주민들을 외롭게 버려두지 않겠다고 했지요. “큰 섬 왕은 틀림없이 우리에게 조개껍데기를 품삯으로 줄 거요. 하지만 우리가 조개껍데기를 무엇에 쓰겠소? 그러니 이제는 큰 섬 사람들에게 쓸모없어진 흙을 품삯으로 달라고 합시다. 큰 섬 사람들이 훔쳐갔던 우리 섬의 흙을 말이오.” ..  (21쪽)

 《흙, 문명이 앗아간 지구의 살갗》(삼천리 펴냄,2010.11.)이라는 책이 새로 나왔습니다. 흙을 다루는 그림책이며 이야기책이며 인문책이며 제법 많습니다. 흙을 밟거나 만지면서 살아가는 사람들도 ‘흙을 다룬 책’을 읽을까 궁금한데, 논밭을 일구거나 텃밭을 돌보거나 꽃그릇을 가꾸는 사람은 당신이 늘 만지는 흙이 바로 ‘좋은 책’입니다. 흙을 다룬 책은 ‘흙을 만지는 사람이 날마다 느끼는 삶’을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으로 풀어서 책 하나로 엮습니다. 사랑스레 살아가는 사람은 굳이 책 하나를 더 읽을 까닭이 없고, 믿음직하게 살아가는 사람한테는 애써 책 하나 더 쥐어 주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자꾸자꾸 사랑을 읽으니까 ‘흙을 다루는 책’을 내놓을밖에 없습니다. 요즈막 사람들이 하나같이 믿음을 버리니까 《두 섬 이야기》 같은 그림책이 나올밖에 없습니다.

 목숨을 살리는 길을 걷는다면, 이와 같이 걷는 내 삶이 곧바로 좋은 책 하나입니다. 목숨을 사랑하는 길을 걷는다면, 이처럼 걷는 내 삶으로 이웃하고 살가이 어깨동무합니다. 목숨을 보살피는 길을 걷는다면, 이렇게 걷는 내 삶으로 나부터 한껏 즐겁기에 내 둘레 벗과 이웃과 살붙이 모두 즐거울 길을 함께 걸을 수 있습니다.

 그림책 《두 섬 이야기》 끝자락을 보면, “작은 섬 사람들은 큰 섬 사람들에게 앙갚음할 생각은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히려 작은 섬 사람들은 도망 온 큰 섬 사람들이 뭍으로 올라오도록 도와 자기네 집으로 데려갔습니다(29쪽).”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처음부터 주인과 머슴이 없던 자그마한 섬 사람들은 ‘주인과 머슴’에다가 ‘부자와 가난뱅이’가 갈린 채 툭탁질을 하던 커다란 섬 사람들이 제 고향 터전을 잃고 찾아들었을 때에 ‘언제나 그러하듯’ 똑같은 벗이나 이웃이자 살붙이로 맞아들입니다. 마땅한 일입니다.

 싸움이 아닌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니 평화로이 서로를 맞아들입니다.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한테는 ‘내 편’이니 ‘네 편’이니가 없습니다. 평화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한테는 ‘적군’과 ‘아군’이 나뉘어요. 다 함께 골고루 일놀이를 즐기는 삶일 때에는 밥 한 그릇 넉넉히 나눕니다. 내 밥그릇에서 반을 덜든 얼마를 덜든 내 몫을 기꺼이 덜어 이웃한테 건넵니다. 이웃돕기를 할 마음이 아니라, 마땅히 이렇게 살아왔기 때문입니다. 이웃사랑이 아니라, 으레 이처럼 살아왔어요. 겉치레로 붙이는 이름이 아닌 삶입니다. 사진을 찍느니 방송을 찍느니 할 ‘봉사’나 ‘자선’이 아닌 여느 나날입니다.

 가만가만 이 나라 삶터와 삶자락과 삶무늬를 헤아려 봅니다. 이 나라에는 국민소득과 경제성장률과 대학입시라는 숫자놀음이 판칩니다. 날이면 날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에다가 이주노동자 다툼과 아픔이 불거집니다. 따숩거나 넉넉한 이야기가 불거지거나 샘솟는 일은 몹시 드뭅니다. 신문이고 방송이고 책이고 따숩거나 넉넉한 여느 사람들 수수한 삶은 좀처럼 안 다룹니다. 아무래도, 이쪽 사람이건 저쪽 사람이건 목청 높이는 금긋기를 할 뿐이지, 서로를 내 동무나 이웃이나 살붙이로 여기지 못하는 탓입니다. 삶을 바로세우면서 《두 섬 이야기》를 읽는다면 이 그림책을 ‘지식 교훈 그림책’이 아닌 ‘사랑 믿음 그림책’으로 받아들여 살포시 껴안겠지만, 삶을 바로세우기 앞서 ‘좋은 책’이라는 껍데기만 붙잡으며 그림책을 아이들한테 휙휙 던져 주거나 읽히는 어버이랑 교사만 많은 이 나라가 아닐까 근심스럽습니다.

 책은 안 읽어도 되니까 부디 착하게 살아가면 고맙겠어요. 좋은 책일지라도 애써 안 읽거나 몰라도 괜찮으니까 제발 고운 넋 사랑스레 나누며 살아가면 반갑겠어요.

― 두 섬 이야기 (요르크 뮐러 그림,요르크 슈타이너 글,김라합 옮김,비룡소 옮김,2003.11.7./12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