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쓰레기매립지·소각장 후보지 선정에 구·군 반발 기류
상태바
인천시 쓰레기매립지·소각장 후보지 선정에 구·군 반발 기류
  • 윤성문 기자
  • 승인 2020.11.17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옹진군의회, 17일 영흥도 매립지 조성 철회 촉구 성명
옹진군수는 발표 당일 기자회견 갖고 단식농성 예고
연수구청장·미추홀구청장은 유감 표명 "공론화 과정 필요"
옹진군의회는 17일 인천시의 영흥도 쓰레기매립지 조성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인천시가 지난 12일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자체 쓰레기매립지와 소각장 후보지를 발표한 것과 관련, 기초단체와 의회 등 곳곳에서 반발기류가 일고 있다. 

옹진군의회는 17일 성명서를 통해 “화력발전소로 피해를 겪는 영흥도를 혐오시설인 매립지 후보지로 지정한 계획을 즉시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천혜의 섬 영흥도는 화력발전소가 들어서면서 환경 피해 등으로 주민 갈등이 심화했고, 상호불신으로 분열되기도 했다“며 ”다른 혐오시설이 조성되면 환경 파괴는 물론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주거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옹진군의회는 ”영흥도 주민들은 한 목소리로 강력히 반대한다"며 “인천시는 주민들 간 갈등을 유발한 이번 사태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12일 인천시가 자체 매립지를 발표한 날에는 장정민 옹진군수가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1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매립지 후보지 선정 철회를 요구했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1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매립지 후보지 선정 철회를 요구했다.

이날 장 군수는 ”석탄 화력발전소와 함께 인천 자체 매립지도 영흥면이 떠안으라는 발표는 영흥도 주민을 향한 사형 선고와도 같다”며 "인천 쓰레기 배출량 중 1% 미만을 차지하는 옹진군에서 인천 전체 쓰레기를 감당하는 것이 정당한 정책인지 의문이 든다"고 꼬집었다.

그는 특히 ”이달 말까지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시청 앞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으로 주민의 슬픔과 분노를 함께할 것"이라고 강경한 투쟁 방침을 밝혔다.

소각장 신설 후보지로 선정된 기초단체에서도 잇따라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고남석 연수구청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화물차주차장과 승기하수처리장 등 환경 문제가 산적한 연수구는 물론 소각장이 들어설 지역 주민들과 충분한 협의 없이 발표된 이번 기본계획안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송도 악취 문제에 대한 적극적 대응으로 발생 건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상황에서 또다시 신규 소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에 주민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 구청장은 소각장 부지 선정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검증과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며 시와 전문가, 주민들이 참여하는 공론화위원회 구성과 관련 토론회 개최를 제안했다.

고남석 연수구청장 페이스북 캡쳐
고남석 연수구청장 페이스북 캡쳐

김정식 미추홀구청장도 앞서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중구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설치예정지를 재협의해야 한다“며 ”위치가 전적으로 미추홀구 주민에게 시설을 떠안기는 형태가 된 것에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각장 예정지가 미추홀구의 아파트와 1㎞, 신설 학교와 6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시가 내건 혜택은 미추홀구에 전혀 해당하지 않는다”며 “이 과정에서 구와 어떤 의견 교환도 하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재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 12일 신규 자체 폐기물 매립시설인 인천에코랜드와 소각장 후보지를 발표했다. 에코랜드 후보지는 옹진군 영흥면 외리 248의1 민간 법인 소유의 89만5천㎡ 부지로, 2024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소각장의 경우 현재 3곳에서 7곳으로 늘린다. 송도·서구 소각장은 현대화하고, 중구·남동구·강화도 등에 소각장 4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