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2030년까지 100배 증설… 석탄화력은 줄여가야”
상태바
“해상풍력 2030년까지 100배 증설… 석탄화력은 줄여가야”
  • 인천in
  • 승인 2021.10.07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7일 토론회 열어…실시간 중계
인천시 3.7GW 규모…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커

 

인천시는 2027년까지 사업비 약 18.5조 원을 투자해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규모가 큰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이지만, 이 단지가 생태계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생태환경분과위원회와 인천에너지전환네트워크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한 ‘생태적 수용성을 통해 본 인천 해상풍력발전 방향 토론회’가 7일 오전 10시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서 진행됐다.

최근 재생에너지로 해상풍력발전이 주목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성장률이 상승하는 가운데 인천시도 2027년까지 사업비 약 18.5조 원을 투자해 용량 3.7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생태적 수용성의 관점에서 해상풍력발전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인천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생태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논의를 통해 인천이 나아갈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토론회는 최진형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생태환경분과위원장이 좌장을 맡고, 유강환 인천시청 에너지정책과 해상풍력TF팀 팀장과 이관홍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교수, 김동주 제주특별자치도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 수립 연구책임자가 발제했한다. 토론에는 성진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정책본부 정책연구위원과 이기섭 (사)한국물새네트워크 대표, 육근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환경연구실장,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이 참여했다.

유강환 팀장은 ‘인천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주제로 발표했다. 해상풍력은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17.8%의 성장률을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는 해상풍력으로 생산되는 에너지가 0.12GW밖에 안 되는 상황이지만, 2030년까지 단지를 조성해 12GW로 100배 증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유 팀장은 “인천 해상풍력발전 단지 사업에는 남동발전, 오스테드 코리아, OW 코리아, C&I 레저산업(주) 총 4개 업체가 참여 중”이라며 “7개 중 3개의 풍황계측이 끝났으며 11월이면 전부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사업 목표는 △해상풍력 확대를 통한 에너지 전환으로 온실가스 감축 실현 △사업자-주민-어업인 사이의 공정한 이익공유 실현 △해상풍력 배후항만 및 배후산단 조성을 통한 풍력발전단지 기반 소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다.

이관홍 교수는 ‘해양생태계 및 해저지형을 고려한 해상풍력발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2020년부터 정부 주도로 지자체에서는 해상풍력 개발에 적합부지를 발굴했다. 지금 여러 지역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그 중 인천은 3.7GW로 신안 9.2GW, 동남권 4.6GW에 이어 3번째로 큰 규모다.

이 교수는 “동남권의 경우 수심이 깊어 퇴적물 이동에 관한 큰 문제가 없었지만, 인천의 경우에는 수심이 낮아 문제가 발생한다”며 “남도발전은 수심 0~10m, C&I는 수심 0~15m, 오스테드는 수심 최대 17m, 가장 깊은 OW도 35m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해상풍력발전으로 인한 주요 해양환경 문제로는 △전자기장 △수중소음 △안개 △조류 △저서생물 △퇴적물이동과 퇴적환경 변화가 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인천은 선박 운항에 차질이 생겨 안개가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이 교수는 강조했다.

김동주 박사는 ‘제주 육·해상 풍력발전단지 개발사례를 통해 본 정책대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대한민국 풍력발전 1번지인 제주도의 사례를 70년대부터 최근 현황까지 정리해 설명했다.

김 박사는 “사업자들이 먼저 계측기를 설치해서 본인이 가진 건 사실상 데이터뿐임에도 불구하고 바람 전체를 가지고 있다면서 다른 사업자에게 돈을 받고 파는 행태는 우리의 공유자원을 도둑질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금과 같이 사업자가 주도하는 형태가 아닌 지자체가 경쟁 입찰을 통해 사업자가 지원하는 방안을 김 박사는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성진기 정책연구위원은 “산업부 단독으로 하면 타 부처와 힘겨루기로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며 “해상풍력단지 개발은 모든 부처가 협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섭 대표는 “해상풍력단지로 인해 조류에게 발생하는 문제는 충돌이 가장 대표적”이라며 “충돌뿐만 아니라 서식과 번식에도 영향이 미친다”고 지적했다.

육근형 해양환경연구실장은 “재생에너지를 위해 논과 밭에 태양광을 놓고 어민들이 꼭 사용해야 하는 바다에도 풍력발전소를 설치하는 상황까지 몰아붙인다”며 “2050 탄소중립이 어느 정도 에너지 자립을 고려하는 건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박주희 사무처장은 “에너지정책의 기본은 전환뿐만 아니라 저감”이라며 “풍력발전소를 통해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이는 계획과 같이 가지 않으면 에너지 생산량만 늘어나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