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After] 김응호 녹색정의당 부평구위원장 "지역에서 다시 시작"
상태바
[총선 After] 김응호 녹색정의당 부평구위원장 "지역에서 다시 시작"
  • 최태용 기자
  • 승인 2024.04.24 18: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국 '0'석, 원외로 밀려난 녹색정의당
국민에 호소 못한 메시지, 연약한 지역기반 원인
선거제도 개혁 야권 책무, 2년 뒤 지방선거부터
"지방의원 양성할 것, 나부터 밑거름 되겠다"

22대 총선에서 참패를 맞은 정당은 국민의힘만이 아니다.

민주노동당이 17대 총선에서 10석을 확보하는 파란을 일으키며 원내 진입에 성공한 이후 진보정당은 많게는 13석에서 적게는 5석까지 꾸준히 국회의원을 배출해왔다.

하지만 국내 진보 정당의 간판 격인 녹색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해 원외로 밀려나게 됐다.

인천 부평을 선거구에 녹색정의당 후보로 출마한 김응호 부평구위원장은 "국민들의 정권교체 열망이 이재명, 조국, 이준석 선택으로 이어졌다"며 "국민들은 현재 녹색정의당엔 대권주자가 없고, '심상정은 이제 아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당의 전략적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2027년 대선을 목표로 총선 이후 통합진보당 같은 진보정당의 새집 짓기가 필요했다"며 "이후 지방선거를 교두보로 만들고, 정권교체의 파트너가 돼 대선 결선제 도입, 연합정치 논의 등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의당은 녹색당과의 선거연합정당을 만들었으나, 서로의 이미지조차 가져오지 못했다"며 "진보정치의 새 판짜기는 고사하고 당장의 선거에 급급해 세력 확장 효과도 얻지 못했다"고 했다.

 

지난 17일 인천 부평구청에서 열린 부평구 소상공인 연합회장 이취임식에 참여한 김응호 녹색정의당 부평구위원장. 사진=인천in
지난 17일 인천 부평구청에서 열린 부평구 소상공인 연합회장 이취임식에 참여한 김응호 녹색정의당 부평구위원장. 사진=인천in

 

◇ 진보정당의 대중정치, 한 발 더 국민 속으로

그는 인천시당 사무처장을 거쳐 시당위원장, 중앙당 부대표 등 당직을 두루 거쳤다.

김 위원장은 "진보 정당은 가치와 이념 실현에 목적이 있다. 그걸 제도화하기 위해 국회로 진출하는 것"이라며 "결국 현실정치, 대중정치를 위해 한 발 더 국민들에게 다가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2년 진보정의당 창당대회에서 고(故) 노회찬 의원이 당대표 수락 연설에서 대중정치를 선언했을 당시 사회를 봤다.

김 위원장은 "대중 정당은 국민이 듣고 싶은 얘기를 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얘기만 하려는 경향이 컸고, 나 역시 그랬다"며 "이런 것들이 모여 정당의 메시지가 된다. 결국 메시지가 부족했던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총선은 정권심판이 화두였다. 녹색정의당엔 버거울 수 있는 주제지만 분명 꺼내야 했던 주제"라며 "결국 조국과 민주당이 그걸 해냈고 국민의 선택을 받았다"고 말했다.

선거를 치르기 위한 지역 조직 구축과 세력 확장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정당은 선거를 치르려면 튼튼한 지역 조직이 필요하다"며 "거대 양당은 지역 공직자를 꾸준히 배출해 조직이 견고한 반면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결국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 광역의원을 배출해 성장시킬 수 있는 당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지역 조직이 구축되고, 진보 정치의 세력과 영역 확장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 한국지엠 부평공장 정문에서 한국지엠 노동자들의 김응호 당시 녹색정의당 부평을 후보 지지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김응호 페이스북
지난 5일 한국지엠 부평공장 정문에서 한국지엠 노동자들의 김응호 당시 녹색정의당 부평을 후보 지지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김응호 페이스북

 

◇ 선거제도 개혁, 정치 신뢰 회복 위해 반드시 필요

연동형비례대표제는 녹색정의당이 꾸준히 요구해왔던 선거제도였다.

사표(死票) 방지와 소수정당의 원내 진입을 위한 이 제도는 거대 양당의 위성정당 창당으로 역설적이게도 녹색정의당의 원내 진입을 막았다.

김 위원장은 "지금 우리 정치는 심각한 불신에 직면했다. 개혁 없이는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없는 지경"이라며 "정치개혁의 최선은 선거제도 개혁이다. 200석 가까이 가져간 야권이 반드시 해야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동당 시절인 2000년대 초반 당 생활을 시작한 김 위원장은 2009년 부평을 국회의원 재선거부터 모두 7번의 공직선거에 출마했다. 국회의원 선거 5번, 인천시장 선거 1번, 부평구청장 선거 1번 씩이다.

이 가운데 본선까지 치른 선거가 4번, 더불어민주당과 단일화한 선거가 3번이다.

이번 역시 낙선이 예상되는 선거였으나 비례대표 득표를 늘리기 위해 출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국회엔 정의당을 비롯한 소수 정당의 목소리가 필요하다. 다양성이 반영되는 사회가 건강하듯 국회의 건강성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며 "당장 다음 지방선거에 적용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현재 지방선거는 소선거구제와 중대선거구제를 혼용하고 있다. 지자치장과 광역의원 선거는 소선거구제, 기초의원 선거는 하나의 선거구에서 2~4명을 뽑는 중대선거구제가 운용된다.

그런데 기초의원 선거구는 선거구획정위 제안을 받아 광역의회에서 결정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다수인 인천시의회는 2022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4곳의 4인 선거구를 제안 받았으나 2곳으로 줄였다. 둘 중 한 곳은 그나마도 중대선거구제 시범 지역으로 기초의원 1석을 늘린 동구다.

 

2015년 5월 12일 부평구의 강력한 노점상 단속에 항의하는 노점상인들의 집회에 참여한 김응호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응호 페이스북
2015년 5월 12일 부평구의 강력한 노점상 단속에 항의하는 노점상인들의 집회에 참여한 김응호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응호 페이스북

 

◇ 결국 지역…"지방의원 배출 위한 밑거름 되겠다"

1972년생인 김 위원장은 50대 초반이지만 공직선거 낙선을 반복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었다.

이번 선거 역시 낙선이 예상됐으나 출마했던 이유는 비례대표 득표를 늘리는 것은 물론 진보정치를 지키고 있다는 자신의 자부심이 크게 작용했다.

김 위원장은 "출마의 뜻을 굳혔을 때 당원들에게 진보정치의 자부심과 긍지를 잇겠다고 말했다"며 "후배들에게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정치활동을 하겠단 뜻이었다"고 했다.

그는 "낙선 직후부터 활동한 이유도 다음 지방선거에서 부평에 녹색정의당 기초의원을 당선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지역에서 기초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당원과 지도부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과 진보정치가 걸어온 길을 다시 평가하는 작업도 필요하다"며 "이를 기반으로 대중정치를 위한 당의 진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