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지명말뚝' 인천 깊숙이 등
상태바
일제 '지명말뚝' 인천 깊숙이 등
  • master
  • 승인 2012.08.16 0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지역 지방신문 주요 기사 모음] - 8월 16일자

<인천일보>

일제 '지명말뚝' 인천 깊숙이 
도산·도원로 : 도요토미 시대 … 송도 : 日해군 군함 
 
김칭우·김상우 기자
chingw@itimes.co.kr    
 
광복절 67주년을 맞은 15일 인천지역 곳곳에 일제 당시 심어 놓은 지명말뚝이 여전히 박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지명은 2014년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도로명 주소사업에서 확대, 재생산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3면>

인천일보가 제67주년 광복절을 맞아 인천지역 도로명 주소사업을 분석한 결과 일제 식민지시절 인천의 중심지였던 중구와 연수구 지역에 일제 때 개정된 지명과 도로명이 상당수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중구 도산로, 도원로, 연수구 송도 관련 도로명 등이 대표적이다.

중구에 있는 도산로, 도원로, 도원동은 모두 일제시절 불리던 명칭들의 잔재다. 중구청은 도로명 사업 당시 "복숭아 밭이 많아 자연지명을 도로명으로 사용한다"는 설명을 하지만 실상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시대를 일컫는 말인 도산정에서 비롯됐다.

이 지명이 광복 후 도원동으로 개칭됐지만 도산정이란 지명을 그대로 본 따 온 것이다.

연수구는 송도라는 이름을 사용하면서 스스로 지명 말뚝을 박은 사례다.

인천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는 '송도'는 일본 해군이 자랑해 오던 '삼경함(三景艦)' 중 하나다. 미야기현의 송도(松島) 등 일본의 절경 3곳의 지명을 따왔다.

인천항을 수시로 드나들며 제국주의 마수를 뻗치던 일본 해군의 군함이 인천을 대표하는 지명으로 소개되고 있는 현실인 셈이다.

광복 이후 인천에서 송도정이라 불리던 지명은 옥련동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수도권 시민들의 대표적 유원지로 자리잡은 송도유원지로 인해 송도는 인천상륙작전기념관과 송도유원지 부근을 일컫는 지명처럼 사용됐다.

끈질긴 생명을 갖고 살아남은 '송도'는 결국 인천시로부터 새생명을 수혈받았다. 최근에는 갖가지 파생된 지명들이 나오는 등 일제 잔재는 사그라들기보다 더욱 기세를 높여 퍼지고 있다.

사라졌던 일제 잔재 명칭이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송도국제도시라는 명칭으로 공식 '부활'했다.

송도라는 명사에 다양한 명사를 함께 붙인 송도지식대로, 송도미래로, 송도교육로 등의 명칭으로 송도라는 지명은 멈추지 않는 바이러스처럼 확산됐다.

조우성 인천일보 객원 논설위원은 "아직까지 일제시절 지명이 남아 있는 것도 안타깝지만 문제는 새로 생긴 신도시의 명칭을 '송도'라고 부르는 것"이라며 "다시금 우리 스스로가 일본 제국주의의 말뚝을 꽂은 것이 된 형태다. 일제의 명찰을 달고 21세기 국제도시 문을 여는 것은 말도 안되는 처사"라고 말했다.

<기호일보>

'공무원 출자 170억' 불안한 오늘 
인천 직원복지회 이사회, 인사발령 때마다 변경 또 변경 
 
이인엽 기자 
ditto@kihoilbo.co.kr  

인천시 본청과 사업소 등 소속 공무원을 회원으로 운영되는 직원복지회(이하 복지회)에 대한 운영상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비공무원 1~2명이 시 공무원들에게 출자한 170여억 원의 자산을 전담 운용하며 분산투자 없이 투신사 한곳에 30여 년 동안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으며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복지회는 5천여 명의 회원과 170여억 원에 달하는 자산으로 운영되고 있다. 총무과장과 총무팀장을 각각 당연직 이사장과 부이사장으로, 각 실·국 주무팀장, 노조위원장 등 이사 13명, 감사팀장·지출팀장 등 2명의 공무원과 비공무원인 7명(이들 중 1~2명이 금융담당)의 종사자들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복지회를 총괄하는 이사회는 당연직으로 구성, 인사발령이 있을 때마다 변경돼 업무 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못해 별다른 제약 없이 비공무원 1~2명이 170여억 원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복지회에 대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천시 공무원노조는 지난 14일 성명서를 내고 “전문 공인회계사(법인)에 의한 재무제표 전반에 대한 회계감사를 벌여야 한다”며 “자산 운용 담당 사무장을 즉시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자산 운용 담당 사무장은 30여 년간 한곳에 근무하며 같은 업무를 하고 있고 유일한 의결기구인 이사회는 인사 발령 때마다 교체, 상정되는 대부분의 안건이 원안가결되고 있다”며 “별다른 제재가 없다 보니 2천여 명, 100여 억원에 달하는 대출업무에서 종종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복지회는 전산 오류 등을 핑계로 대충 넘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청 공무원 A씨 또한 “공무원 개개인이 출자하는 액수가 1만~2만 원으로 적어 대부분 신경쓰지 않고 있었지만 이제는 자산 규모가 커져 조직 개편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확인된 부분은 없지만 고인 물은 썩게 마련”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자산 운용 담당 사무장은 지난 30여 년간 복지회에서 근무해 왔으며 최근까지 분산투자 없이 한 투신사에만 자산을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조 관계자는 “복지회의 전반적인 운영사항을 정립하고 새로운 컨설팅을 통해 새 출발해야 한다”며 “조직 개편·외부 감사 등을 시행치 않고 추후 우려가 되는 금융 등 제반사고가 발생하면 이사장이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복지회는 단 한 번도 적자가 난 적이 없을 정도로 안정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으며, 작년부터 신한은행·농협 등에 분산투자를 실시하고 있다”며 “타 시·도와는 달리 투명한 복지회 운영을 위해 연 1회 공인회계사를 통한 회계감사를 펼치고 있으며, 매월 결산·감사 등 최소 연 3회 이상 복지회를 점검하고 있어 특별히 조직 개편 및 감사에 대한 필요성은 없어 보인다”고 답했다.

<경인일보>

영어 안 통하는 송도국제도시 외국인 불편 넘어 '생활 마비'  
식당 메뉴 선택·위급상황 신고접수 '발동동'
아파트 한국어 방송땐… '무슨일 났나' 불안 
 
홍현기 기자
hhk@kyeongin.com    
 
#1. 송도국제도시에 사는 오스트레일리아인 A(55)씨는 최근 송도의 한 도로에서 난 교통사고로 고생을 했다. 한국인이 모는 차가 A씨의 차를 들이받았는데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 사고 현장 목격자, 사고 차량 운전자 어느 누구와도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시간가량을 씨름하던 중 이 곳을 지나가던 학생이 통역을 도와준 덕분에 겨우 사고처리를 할 수 있었다.

#2. 2011년부터 송도에 거주하는 30대 독일인 부부는 1년째 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의 한 음식점을 찾았다가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주문도 하지 못한 채 집으로 돌아와야 했던 끔찍한 경험 때문이다. 레스토랑의 메뉴판에는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한국어 밖에 없었다. 메뉴판에 그림이나 영어로 음식을 설명해 외국인이라도 주문이 가능하게 하는 배려는 찾아볼 수 없었다. 점원에게 주문내용을 설명하던 부부는 미안한 마음에 레스토랑을 떠나 슈퍼마켓에 가 원하던 음식의 재료를 사 요리를 해먹었다. 번거로웠지만 부부의 마음은 편했다. 그 뒤 부부는 외식을 시도하지 않게 됐다.

말뿐인 송도'국제'도시에 사는 외국인들이 의사소통 문제로 불편 수준을 넘어 혼란을 겪고 있어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3면

영어 소통 문제는 외국인들이 임대해서 생활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에서부터 시작된다. 단지 내에서 한국어 방송이 나올 때면 외국인들은 '무슨 일이 일어난 것 아니냐'며 불안에 떨기도 한다.

킬라파르티 라마크리쉬나 UN ESCAP 동북아사무소 대표는 "아파트 내에서 가끔 방송이 나오는데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어 불편하다. 아파트 주방 등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나오는 말도 못 알아듣긴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아파트 곳곳에 붙어있는 입주자들을 위한 안내문도 외국인들이 이해할 수 없긴 마찬가지. 이 때문에 외국인들은 쓰레기처리 방법이나 단지 내 주의사항을 모른 채 생활할 수밖에 없다.

위급상황 때 찾게 되는 112, 119 등의 서비스도 3자 통역을 거쳐야 해 급한 신고 접수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외국인들이 신고 전화를 걸면 경찰이나 소방서는 통역해 줄 사람을 찾아준다. 동시통역자를 찾고 통역해 전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신고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도 한다. 송도국제도시에 사는 한 영국인은 법원에서 교통사고와 관련한 벌금을 내라는 문자를 한국어로 받은 뒤 '스팸'문자로 착각해 납부를 하지 않아 수배당할 뻔한 일도 있었다.

송도 외국인 자문위원회(Foreign Advisory Board) 솔로몬 디아스 회장은 "주거지에서부터 위급상황등까지 소통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주변 외국인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자문위원회는 언어소통의 불편 때문에 자구책으로 외국어 소통이 가능한 분야별 업소 리스트를 구축하기에 나선 상황이다. 하지만 이 리스트에는 인천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업소를 찾지 못해 공란으로 남거나 서울에 있는 업소를 소개하는 경우도 많다. 회계법인의 경우 송도국제도시나 인천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곳을 찾지 못해 서울 지역 2개 업체가 소개되어 있다.

솔로몬 디아스 회장은 "세금 관련 업무는 인천이나 송도에 의사소통이 가능한 곳이 없어 매번 서울에 가고 있고, 이 때문에 서울 사무실을 홈페이지에도 소개해 놨다"며 "송도국제도시에 점점 더 외국인 수가 늘어나는데 이렇게 불편한 상황이 계속되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인천신문>

인천시, 세외수입 징수 부진 
6월말 군·구 제외, 징수액 목표 29.7% 불과 
 
김영빈 기자 
kyb@i-today.co.kr  
 
인천시가 지방세 뿐 아니라 세외수입 징수 부진에 시달리면서 재정난이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시는 6월 말 현재 군·구를 포함한 세외수입 징수액이 1조831억 원으로 목표액 3조3천426억 원의 32.4%에 그쳤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군·구 세외수입(목표액 4천515억 원, 징수액 2천256억 원))을 제외하면 시의 세외수입 징수액은 8천575억 원으로 목표액인 2조8천911억 원 대비 29.7%로 더욱 낮아진다.

회계별 징수율은 ▲일반회계 27.7%(목표액 5천815억 원, 징수액 1천603억 원) ▲기타특별회계 24.7%(〃 7천479억 원, 〃 1천848억 원) ▲공기업특별회계 32.8%(〃 1조5천618억 원, 〃 5천118억 원)다. 올해 예산에 반영된 시의 세외수입은 2조7천545억 원이지만 경제청 등 특별회계에 일부 국고보조 등이 섞여 있어 수치상 다소 차이가 있다.

이처럼 시의 세외수입이 크게 줄어든 것은 지난해 예산이 일부 남았을 것으로 예측하고 순세계잉여금 175억 원을 계상했으나 결산 결과 시가 적자살림을 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1천610억 원으로 확정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또 전입금 3천807억 원은 121억 원만 들어왔고 부담금 524억 원도 38억 원을 징수하는데 머물렀다.

세외수입은 시가 세금(지방세) 외에 벌어들이는 돈으로 재산임대, 사용료, 수수료, 사업, 징수교부금, 이자 등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상적 세외수입과 재산매각, 순세계잉여금, 이월금, 전입금, 예탁금 및 예수금, 부담금 등 일시적으로 들어오는 임시적 세외수입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외수입은 지방세와 함께 시 예산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자주 재원으로 시의 특별회계는 대부분 세외수입으로 편성된다.

올해 시 본예산 7조5천448억 원은 지방세 2조6천265억 원과 세외수입 2조7천545억 원 등 자주 재원이 5조3천810억 원으로 7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존재원인 국고보조(1조4천738억 원), 지방교부세(2천819억 원), 지방채(4천81억 원)는 28.7%다.

하지만 부동산경기 침체 여파로 지방세에서 5천억 원 이상이 덜 걷힐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세외수입도 현재 추세라면 5천억~6천억 원의 결손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세 뿐 아니라 세외수입 징수도 극히 부진해 시가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올해 예산에 반영한 각종 사업에 자금 배정을 하지 못하는 유동성 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시는 재정위기 타개책으로 송도 땅과 터미널 부지 매각을 추진하고 있지만 법적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는데다 현실적으로 땅값을 일시에 낼 매입자를 찾기도 쉽지 않다. 이들 재산을 팔아도 송도 6·8공구 토지 매각 차익은 이미 세외수입에 3천억 원(도시개발사업특별회계)이 반영됐고 터미널 부지 매각대금 중 1천751억 원은 신세계백화점(임대보증금 )에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지방세와 세외수입에서 발생하는 결손을 채우고 올해 예산에 미처 담지 못한 법적·필수적 경비를 충당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