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해사채취... 병드는 ‘인천앞바다’
상태바
무분별한 해사채취... 병드는 ‘인천앞바다’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7.07.07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단체 및 섬 주민들 “지형 변화 등 환경 악영향” 분통

해사채취의 영향으로 훼손된 대이작도.

 
해사업체의 ‘인천 앞바다 모래 캐기’가 다시금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30여년 모래를 파내는 바람에 해저지형의 회복도 되지 않은 구역을 해사업체들이 재차 다시 손대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와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 등에 따르면, 해수부는 지난 27일 골재협회가 제출한 ‘선갑도 부근 골재 채취 해상교통안전진단 용역’을 심의해 조건부 동의 결정했다.
 
골재협회에 따르면 해수부로부터 허가받아 인천 앞바다에서 운영 중인 해사채취의 만료기간은 올해 말까지다. 그러나 현재 채취되는 속도를 계산하면 골재협회는 오는 9월 허가물량을 모두 소진하면서 해사 생산을 중단될 수밖에 없어 해수부에 해사채취를 추가 요청한 것이 해당 용역의 내용이다.
 
골재협회는 지난 3월에도 해수부에 이 용역을 제출했던 바 있다. 그러나 당시 해수부는 통행 등의 안전대책 미흡을 이유로 허가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골재협회가 최근 재차 다시 이를 제출했고 해수부는 조건부 동의를 한 것이다.
 
해수부가 밝힌 ‘조건부’의 내용은 ▲골재협회가 당초 제시한 해사채취 면적의 38%에서만 작업할 것 ▲동시작업 선박수를 기존 최대 11척에서 8~9척으로 줄여 운영할 것 ▲현장 주변에 순시선 배치와 항로표지 등을 설치할 것 등이다.
 
향후 일정은 해역 이용에 대한 협의 및 형식적인 주민 공청회 등이 남아 있는 상태지지만 조만간 해사채취 허가절차는 완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전반적인 지역사회의 예상이다.
 
문제는 이러한 해사채취가 심각한 환경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골재협회가 채취 구역으로 요청한 선갑지적은 이미 지난 1984년부터 2012년까지 30여 년간 해사 채취가 진행되면서 2012년 이후 5년여가 흘렀음에도 해저지형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해사채취가 바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사전조사를 제대로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해사업체들이 재차 해저를 파헤치려하는 셈이어서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골재협회가 해사를 퍼올리려는 장소 인근 대이작도 풀등이 해수부가 지난 2003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한 바도 있어, 해사업체들이 선갑지적에서 재차 해사를 채취하면 이 해양보호구역의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상당수가 이미 훼손돼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인천녹색연합 및 인천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환경단체들은 “해사 채취로 수면이 낮아지면 해일 등 자연재해 가능성이 있고 생태계 파괴도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이라며 “업체들이 골재채취를 강행할 경우 거센 반대운동에 돌입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인천섬 등 주민들의 반대 또한 만만치 않다. 선갑지적에서의 해사채취가 중단된 이후 이들 업체들이 굴업도와 덕적도 등 일대에서 모래들을 무분별하게 퍼다 쓰기 시작하면서 섬 주민들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
 
덕적도의 한 주민은 “이미 해사업체들이 덕적도 해변 및 바다의 모래를 퍼다 충청도 지역의 건설현장 등에 갖다 쓰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는데, 자연적으로 조성된 고운 모래들을 업체들이 무분별하게 퍼가 지형 변화 등 환경 영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주민 원성이 자자하자 업체들이 복구하겠다며 저질의 모래들을 들이붓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 지역 국회의원이나 시의원 등이 상황 파악도 못 하고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며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