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은 만큼 때릴 것" 학교폭력의 악순환 등
상태바
"맞은 만큼 때릴 것" 학교폭력의 악순환 등
  • master
  • 승인 2012.05.03 0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지역 지방신문 주요 기사 모음] - 5월 3일자

<경인일보>

"맞은 만큼 때릴 것" 학교폭력의 악순환  
100명중 6명 '하급생에 화풀이 할 것' 전체 9%는 '1년에 1회이상' 피해입어
계양구, 관내 초·중·고등학생 7천360명 설문 
 
김민재 기자
kmj@kyeongin.com    
 
청소년 100명 중 9명이 1년에 1번 이상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00명 중 6명 이상은 상급생에게 학교 폭력을 당했을 경우, 하급생에게 똑같이 폭력을 행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폭력의 대물림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2일 인천시 계양구가 관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의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7천360명중 667명(9%)은 1년에 1번 이상 학교폭력을 경험한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중학생이 12.7%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생이 10.9%, 고등학생 4.5% 순이었다.

학교폭력 가해자는 같은 학교 학생이 37.4%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학교폭력 장소는 주로 교내(교실·화장실)와 집근처였다. 폭력 유형은 언어폭력(36.7%)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생의 경우엔 금품갈취(39.4%)가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후관리가 가해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전체 응답자의 6.5%는 '상급생으로부터 학교폭력을 당했다면 하급생에게 똑같이 학교폭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10.2%가, 중학생은 4.4%, 초등학생은 3.2%가 이같이 대답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폭력의 대물림'현상이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학교 폭력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전문상담사를 통한 정기적 상담(25.9%), 실질적인 교육(24.4%), 그룹활동 등을 통한 친목관계 형성 기회 제공(21.2%)을 꼽았다. 또 전체 응답자의 59.8%는 학교폭력을 당한다면 부모님에게 가장 먼저 알리겠다고 답했다.

이밖에 학교 및 가정생활 전반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은 학교성적(43.3%)과 진로·직업(53%)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다고 답했다. 여가 활용 방법은 TV시청(33%), 친구 만나기(25.1%), 온라인게임(16.3%) 순으로 나타났다.

마음을 터놓고 대화를 나누는 상대를 묻는 질문에 아버지라고 답한 학생이 8.4%에 불과해 아버지와 자녀간 관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48.7%, 친구는 23.4%였다.

계양구 문화교육과 관계자는 "주로 같은 학교의 학생이 언어폭력과 금품 갈취의 유형으로 폭력을 행사했고, 장소는 교실, 화장실 등 교내였다"며 "이번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경찰서와 각급 학교 등과 공유해 청소년들을 위한 행사 및 각종 시책 추진에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기호일보>

公正의 空白…저개발국 제품 수입예산 없다 
市, 첫 지자체 주도 공정무역
사업 활성화 계획 좌초 위기 
 
최미경 기자 
mkc@kihoilbo.co.kr  
 
인천시의 ‘공정무역도시 인천 만들기’ 사업이 좌초에 빠질 위험에 처했다.

아시아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추진한 사업이라 시의 자부심도 컸으나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부족과 다양하지 못한 제품 구성 등이 시의 꿈에 발목을 잡고 있다.

2일 시에 따르면 ‘경제수도 인천’의 선진적 이미지를 제고하고 제3세계와 공정무역을 통한 저개발국 주민들의 경제적·인도적 지원을 위해 공정무역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주 수입 품목은 커피, 초콜릿, 차와 같은 후식용 식품과 설탕, 올리브유 등으로 주로 네팔에서 많이 수입한다.
이렇게 수입된 제품은 비영리 사업을 주목적으로 하는 법인이나 단체 등을 통해 판매된다.

그러나 예산 부족으로 지난해부터 지적받아 온 공정무역 제품 및 대상 국가 다변화에 적색불이 켜졌다.

시는 제품을 수입하기 전 공정무역 단체와 직접 해당 지역으로 실사를 나가지만 올해는 관련 예산이 모두 삭감될 위기에 처했다.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 논의됐던 우크라이나 내 고려인을 대상으로 하려고 추진했던 사업 계획도 물거품될 위기를 맞고 있다.

시는 지난 3월 송도국제도시 송도테크노파크단지 안에 자리잡은 미추홀타워 기업홍보관에 공정무역가게 나눔카페 2호점을 개설하고 추후에도 3호점, 4호점을 오픈한다는 야심찬 계획도 세웠으나 이 역시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구청에서는 청사 내 나눔카페를 개설해 나름대로 홍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시 못지않게 어려운 군·구의 예산을 고려한다면 보다 적극적인 홍보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의 공정무역 확대는 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점점 표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정무역 확대를 위해 포상금을 편성·운영하려 했으나 시 재정상태가 어렵다 보니 사업 추진도 어렵다”며 “그러나 서울시도 우리 시의 사업을 배우고 싶어 할 정도로 모범적 사업인 만큼 자구책을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일보>

"인천터미널 일대 탐나는 투자처로" 
市, 농산물도매시장 연계 개발 등 검토
구월아시아드선수촌 분양 시너지 기대 
 
이주영 기자
leejy96@itimes.co.kr

인천시가 인천터미널에 대한 매각을 넘어서 인근 지역에 대한 개발 시너지 효과까지 노리고 있다. 인천터미널을 시작으로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이 탈바꿈하면 구월아시아드선수촌과 주변 개발제한구역에 투자자들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남구 관교동 인천터미널(신세계 인천점)에 대한 매각 방향을 잠정적으로 결정하고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또 인천터미널에 대한 투자 상담이 상당부분 진척됐다고 덧붙였다.

시는 올해 초 인천터미널 4만9천266㎡(1만4천903평)과 신세계 인천점 2만9천23㎡(8천779평) 등 7만8천289㎡에 대한 매각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재정 상태가 극한에 치닫자 우량 자산 매각을 통해 위기를 돌파할 방침을 세웠다.

시는 백화점과 터미널 동을 전체 매각하고 1층 대합실을 임대해 사용하는 1안과 백화점과 터미널 전체를 매각 후 매수자가 터미널을 자체 운영하는 2안을 놓고 고심했다. 1안은 매각 추정가가 6천916억 원으로 집계됐고, 2안은 9천381억 원을 기록했다.

시는 여기에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로 매수자가 없을 것을 염려해 용도 변경 등을 통해 부지 일대를 지하는 터미널과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에는 상업·주거 용지로 재개발해 입체도시로 조성하는 계획을 검토했다.

하지만 헐값 매각과 이 곳에 대한 잠재적 투자 가치 등을 염려하는 여론이 빗발치자 시는 단순 매각에서 벗어나 향후 개발 가치와 조성 중인 구월아시아드선수촌 연계성 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1차적인 계획은 인천터미널 매각에서 인천터미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을 연계한 개발로 구체화되고 있다. 계획이 현실화되면 수면 밑에 가라앉은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이전 또한 속도를 내게 된다.

시는 인천터미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 개발에 따른 인근 부지 시너지효과까지 예상했다.
이에 인천터미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 인근의 개발제한구역 약 6만6천㎡의 공원 조성 등도 검토하고 있다.

이 곳에는 남구 문학경기장과 구월아시아드선수촌까지 연장 2천500m, 폭 6차선로도로가 조성돼 인천 시가지의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현재 인천터미널을 소유한 인천교통공사로부터 공유재산을 취득하기 위해 시의회와 조율할 계획이다. 지방 공기업보다 행정기관에서 매각하는게 세금 등의 금전적인 혜택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시는 최대 관심사인 매수자에 대해서는 신세계를 비롯해 현대백화점과 롯데쇼핑, 이랜드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물론 새로운 개발 방향에 맞는 대기업까지도 투자 대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이달 중순쯤으로 계획된 구월아시아드선수촌 분양에 대해서도 상당부분 호재로 작용할 것이 분명하다.

시 관계자는 "인천터미널과 구월농산물도매시장은 물론 주변 개발제한구역과 구월아시아드선수촌까지 신개념 도심으로 탈바꿈한다"고 말했다.

<인천신문>

긴급진단-인천형 사회적기업의 현재와 미래
<하>자립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지자체 우선 판매 네트워크 구축 
 
유승희 기자 
ysh8772@i-today.co.kr  
 
저소득층에 도시락을 납품하는 C사는 지방자치단체 지원 2년 째로 내년에 자립을 앞두고 있다. 다행히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로 인건비 부담은 크게 줄었지만 기본 인원 9명의 인건비와 소정의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것은 절대 과제다.

“큰 도시락 시장은 대기업이 차지하고 있어 낄 틈이 없어요. 공기관에서 한 달에 한 번 도시락 먹는 날을 정해 주문을 하고 있지만 턱없죠.” 만들어도 판로가 없다. 일반 기업 도시락 주문은 야유회 때 등 가뭄에 콩나듯이다. 홍보전단지를 돌려도 일반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위생과 맛에 대한 신뢰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컴퓨터 출력기 카트리지 잉크 충전이 주업인 D사도 답답하다. “시작은 했지만 막상 부딪히니 너무 어려워요. 찾는 곳도, 반기는 곳도 없어요.”

지난달 30일 서울시는 시청과 16개 출연기관, 25개 자치구가 구매하는 모든 제품의 69%를 사회적기업이나 장애인기업 등 사회적약자 기업에서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자본과 유통망이 부족해 실제적으로 판매실적이 저조한 이들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겠다는 것이다.

또 이달 중 발주 부서 구매 담당자들이 약자기업의 생산제품을 손쉽게 검색하고 주문할 수 있도록 ‘공동구매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서울시의 행보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지자체가 제도적으로 판로를 지원하고 개척해 사회적기업의 자립을 지원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우선구매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기본으로 사회적기업과 일반 기업의 1대 1일 결연을 통한 판매처 확보, 적극적인 홍보가 더해진다면 자립은 한결 쉬워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시가 우리 제품을 홍보한다는 것 자체가 품질 보증이에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신뢰하겠죠.” “일단 기본적인 손익분기점을 해결해 사업 기반이 마련되면 자구노력을 통해서도 회사를 카워갈 수 있어요.” 기업들은 희망을 내비쳤다.

또 전문가들은 기업의 사회공헌 차원에서도 사회적기업 제품 구입 할당제를 정해 구매를 권유하는 것도 부수적인 방법으로 꼽았다. 지자체나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착한 소비 운동’도 제안했다.

결론은 사회적기업의 이상적인 미래는 이런 것들이 지역사회의 네트워크와 연결돼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의 안착인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체질 개선과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는 자성론도 나오고 있다. 사회적기업도 결국 이익창출이 목적인 만큼 지정단계부터 차별 업종 선택과 과학적인 비즈니스, 철저한 기업가 정신과 함께 자체 마케팅에 대해 검증을 하고 이후 교육과 중간 점검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러한 문제는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뒤늦게 가동을 시작한 사회적기업 통합지원센터(기관)나 사회적기업 활성화 민간네트워크가 원활히 제 역할을 한다면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