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명이냐 양심이냐
상태바
왕명이냐 양심이냐
  • 연창호
  • 승인 2024.04.09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이 진사와 조 참봉의 구황(救荒) 사건
- 연창호 / 인천도시역사관 학예사
장봉도 출장소 앞 구황시혜불망비
장봉도 출장소 앞 구황시혜불망비

 

“네 이놈 왕명을 어겼으니 능지처참을 면치 못하리라.”

이정훈은 매일 밤 악몽을 꾸었다. 열흘이 넘도록 말이다. 망나니가 칼춤을 추다가 술을 칼날에 후하고 뿜었다가 목을 치는 끔찍한 장면에 정신을 잃었다. 식은땀을 흘리며 깨어나곤 했다. 이런 날이 열흘이 넘었다.

16년전 장봉도에 들어와 농사를 지으며 서당 훈장을 하며 살아왔는데 치욕스런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가, 고통스런 나날이었다. 식음을 전폐하고 하늘만 보고 기도하는 가련한 신세가 그였다. 자신처럼 누군가도 뜬 눈으로 잠을 못 이루고 있을 듯해, 이정훈은 새벽녘에 사립문을 열고 조용교의 집으로 찾아들었다.

 

“조 참봉 있는가”

“새벽부터 웬일인가. 자네도 잠을 설치는가 보구만.”

“이제 열흘 남았네. 어쩔 터인가.”

“어쩌긴 어쩌나. 죽기를 각오하지 않았나.”

“우리가 죽으면 처자식은 어찌 살지 참으로 걱정이라네.”

“그것도 그렇지만, 나라의 죄인으로 죽는 게 한스런 일 아닌가.”

“그렇지. 그래도 여한은 없어. 안 그런가. 마을 사람을 살리고 죽으니 말야.”

조 참봉과 이 진사는 앞장술 바닷가를 걷다가 날이 밝자 집으로 돌아갔다. 평촌 들판에 곡식이 잘 자라고 있었다. 조용교가 이정훈 보다 10년 먼저 이 섬에 들어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열흘 전이었다. 강화도 선수포구에서 장봉도 진촌포구로 들어온 관리가 어명을 전해 주고 돌아갔다.

“이 진사와 조 참봉은 왕명을 어긴 죄로 이십 일 후에 참형을 처할 것이니 도망가지 말고 처분을 기다리라. 만일 도망가면 가족을 몰살할 것이다.”

작년 장봉도에 기근과 흉년이 닥쳤다. 겨울이 지나기도 전에 곡식이 바닥이 났다. 보릿고개를 어찌 보낼지 걱정이 태산이었는데 염려했던 대로 봄이 되자 골목길에서 곡소리가 끊임이 없었다. 아이들과 노인들이 굶주림에 그만 죽어 나가고 있었다.

이제 마을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곡식은 세금을 내기 위해 모아둔 세곡 열 가마 정도였다. 원래 장봉도는 섬임에도 불구하고 논들이 많은 곳이었다. 그런데 몇 년째 가뭄이 들어 흉작으로 인해 나라에 바칠 세곡미 역시 그 양이 적었다. 그래서 배로 가져가지 못한 채 창고에 보관하고 있었다.

초봄에 마을 사람들이 굶어 나가자 이정훈은 중앙에 올리는 상소문을 세세하고 간절하게 적었다. 마지막 문장은 “장봉도에 기근이 닥쳐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습니다. 조곡창고에 약간의 곡식이 있으니 이를 풀어 마을 사람을 살려야 합니다. 부디 세곡을 구휼미로 써 주시길 바랍니다.” 였다.

마을 사람들은 중앙에서 좋은 소식이 오길 학수고대하였다. 임금이 그들의 소원대로 세곡미를 풀어 줄 것을 확신하였다. 흉년이 닥치면 조세를 감면해 주는 것이 관례였고, 세곡미 역시 구휼미로 내 줄 수도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중앙에서 온 소식은 기대와는 정반대였다. 어명은 잔인했고 임금은 무도했다. 섬의 실정을 너무도 몰랐다. 

“세곡을 풀면 절대 안된다. 세곡을 푸는 주모자는 참형에 처할 것이다.”

지엄한 어명에 사람들은 두려워 떨었다. 마을 사람들 몇이 더 굶어 죽었다.

어느날 밤 이 진사와 조 참봉은 머리를 맞대었다.

“마을 사람이 계속 죽는 것보다 우리 두 명이 죽는 게 낫지 않겠나.”

“그렇지요. 우리가 죽을 각오로 세곡을 풉시다. 이제 더 두고 볼 수 없소.

사람 목숨을 먼저 구해야지요.”

“그럽시다. 우선 사람들을 살립시다. 이건 양심의 명령이오.”

“보릿고개 넘을 때까지 죽이라도 써먹게 곡식을 조금씩 배급해 줍시다요.”

다음 날 아침 일찍 이 진사는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왕명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의 목숨이요. 세곡창고를 열 것이요.” 

 

마을에서 인색한 부자가 반대하고 나섰다.

“왕명을 어긴단 말이요?”

“백성이 바치는 세금을 받아, 먹고 사는 게 왕실이요. 백성이 살아야 왕도 살 수 있는 것 아니요? 왕실이 먼저가 아니라 백성이 먼저요. 책임은 우리 두 사람이 질 거요.”

“그럼, 목숨이라도 걸겠소?”

“그렇소. 사람 살리는데 무엇이 두렵소? 우리가 목숨을 걸겠소.”

부자는 이 진사와 조 참봉이 지엄한 왕권을 모독했다고 하는, 중상모략하는 글을 중앙에 보냈다.

위와 같은 일이 봄에 일어났던 것이다. 이십 일 후 4명의 관리가 한양에서 왔다. 그런데 망나니가 보이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은 통곡하였다. “서울로 데려가 죽이려나 보나. 아이고 불쌍하구나.”

마을 사람들은 모두 두 의인이 자기들 대신 목이 잘릴 것이라는 생각에 눈물을 흘렸다.

부자집 대청에 올라간 상급 관리가 두루마리를 펼쳤다. 그리고는 어명을 읽어 내려 갔다.

“흉년으로 죽어가는 장봉도 사람들을 위해 죽기를 결심하고,

세곡미를 나누어 주어, 주민을 살려낸 이 진사와 조 참봉은

충신 중의 충신이로다. 이에 쌀 10가마를 포상으로 내리겠노라.”

 

죽음의 문턱에서 두 의인은 살아났다. 죽기를 각오하니 새롭게 살 길이 열렸다. 그날 마을에서는 잔치가 열렸다.

위의 내용은 필자가 2021년 장봉도에 답사갔을 때 마을 어른인 홍순일 선생에게 들은 말이다. 신축년에 발생한 장봉도의 기근은 1901년으로 추정한다. 이듬해에 마을 사람들은 구황비(救荒碑)를 신촌에 세웠고, 현재 그 비는 장봉도 출장소 마당에 옮겨져 있다.

구황비의 상단에는 삼태극 문양이 음각되어 있고 그 아래에 다음과 같은 글자가 음각되어 있다.

「전참봉조공용교구황시혜불망비(前參奉趙公鏞敎救荒施惠不忘碑)

진사이공정훈구황시혜불망비(進士李公鼎薰救荒施惠不忘碑)」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