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코앞, 인천지역 문화예술의 현안은?
상태바
6.4지방선거 코앞, 인천지역 문화예술의 현안은?
  • 김영숙 기자
  • 승인 2014.05.13 2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민예총 사무처장 김병균씨 인터뷰
사진 2593.jpg
 
 
 
6.4지방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각 분야마다 풀어야 할 문제가 많을 것이고, 그 문제들은 수없이 고민하면서 차근차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문화예술계 쪽은 어떤 과제를 안고 있으며, 그 과제는 어떠한 고민을 통해 풀 수 있을까. 인천민예총 김병균 사무처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우리도 '2014 선택 시민넷'이라는 선거연대 활동 단체에 가입하고 있고, 여러 의제를 준비하고 있다. 쌓인 문제가 너무 많다 보니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문화 쪽 단체들이 만나서 논의한 것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나 민예총 사무처장으로서 몇 가지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문화예술 활동 지원을 위한 기초적인 예산이 만들어져야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문화예술 기금 문제다. 해마다 적립해서 1000억원을 모아야 하는데, 그 기금으로 문화예술 분야를 지원하겠다고 해서 시작했는데 그게 얼마 되지 않는다. 물론 지금 경제가 어려운 상태인데다가 인천시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어서 어려운 점이 많다. 아시아게임으로 인해 문화예술 쪽에 30~40% 대폭 예산을 줄였다. 그런 부분에서 가장 근간이 될 수 있는 것은, 원래 약속대로 시에서 적립금을 해마다 적립해나가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이든 그게 뭐든간에 가장 먼저 예산이 확보돼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재단을 발족한다든지, 문화재단을 통해서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을 하겠다고 했을 때 가장 기초적인 1000억원의 적립금을 바탕으로 얘기했다. 10년 전에 문화재단을 만들 때, 해마다 적립해서 1000억까지 만들겠다고 했다. 그 이자로 문화예술기금을 만들겠다고 했는데, 현재 1000억 만들려면 한참 멀었다. 지금 약속이 잘 지켜지고 있지 않다. 문화정책이건 지원이 됐건 기초적인 예산이 만들어져야 한다.”


임노동 체계를 반영한 생활문화예술 기획 방향을 모색해야

“두 번째는, 이번에 생활문화예술 조례가 시의회에서 제정됐다. 내년에 생활문화예술협의회를 만든다고 들었는데, 그걸 만든다고 모든 게 다 되는 게 아니다. 현재 임노동 체계를 반영한 생활문화예술 권리신장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노동자들 가운데 60~70%가 아침 일찍 출근해서 밤 늦게까지 일하는데 생활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겠는가. 낮에 하면 당연히 참석하지 못한다. 그러다 보면 여유있는 주부들에게만 혜택이 갈 수 있고, 그 분들만 대상으로 하는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저절로 지원도 그쪽으로 될 가능성이 짙다. 현재 임노동 체계를 반영한 생활문화예술 기획 방향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그 부분이 중요하다.”

“민예총에는 전업적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들이 있다. 생활문화예술이라고 갔을 때 그 안에서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또 누가 생활문화예술의 주체가 하는 점도 중요하다. 결국은 현재 임노동 조건에 맞는, 그런 것을 반영한 생활문화예술 방향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 그것이 중심이 돼야 한다. 그 다음에 생활권 내에 다양한 공간이 필요하다. 공부방 같은 데는 상당히 비좁고, 밖에 나가기엔 너무 위험하다. 주변에 그렇게 쓸 수 있는 공간이 없을까. 찾아보면 있긴 있다. 주민자치센터라든가 주민문화센터 등이 있는데, 문제는 아이들이 학교 끝나고 오면 그때 문을 잠글 시간이다. 공무원들이 퇴근하려고 문을 잠근다. 사실 그 공간은 비어 있는 것이다. 그런 주민자치센터나 문화예술 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개방해야 한다. 농담으로 하는 말이지만, 누군가 편의점을 하면 그곳에 열쇠를 맡긴다든지 등등 다양한 방식을 쓸 수 있다. 관리하기 위해서 새로운 사람을 고용할 문제는 아니고, 지역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민들이 다양하게 활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함께 고민하면 좋겠다.”

“누구나 자기가 만나고 있는 범위 안에서만 대상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활체육도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철저하게 배제된 사람들은 임노동하는 사람들이다. 생활문화예술도 마찬가지다. 임노동 사람들의 삶의 조건을 먼저 고민하고, 그 조건을 반영한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게 핵심이다.”


예술가들이 한곳에 모여 일하면서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세 번째로는, 전문적인 문화예술에 대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문화예술인들이 많이 주변화되고 있다. 전업적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은 대개 이중직업을 갖고 있거나 여러 알바를 동시에 하고 있다. 그게 문화예술과 관련된 일이면 좀 나은데, 이들이 투잡을 할 때 문화예술과는 전혀 다른 일을 한다. 직종이나 직업을 가질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 이 문제는 심각하다.”

“도심 내에서는 연습공간이 여기저기 있지만, 연습공간뿐만 아니라 극장이 여러 곳이 있지만, 전문예술가들이 자기가 일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찾아오기도 힘든 데다 멀리 만들어놓고 쓰라고 하지 말고, 도심 안에서 예술공간을 임대하고 그런 것들을 문화예술인들이 운영하도록 하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거기에 마땅한 지원제도를 만들면 어떠겠는가. 지금 중구에서는 문화공간을 만들고 3,000만원 리모델링비하고, 5,000만원 정도의 저리 대출을 준다고 하더라. 이런 시도는 지금 중구밖에 없다. 그런 것들이 확장돼서 저리대출을 해준다든가. 리모델링비를 지원한다든가, 그러면 예술인들이 한곳에 모여서 일을 하게 되면 서울의 대학로나 홍대입구 같은 곳을 만들 수 있다.”

“뭔가 하드웨어를 여기저기 자기들 편의대로 만드는 게 아니라 예술인들이 가장 소통이 필요하고 밀접한 곳에 자기네들 스스로 공간을 만들어갈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생활문화예술이 만들어진다고 하면 강사로 활용하면서 갈 수 있는 방향이 있다. 다차원의 방식으로 고민하고 정책을 만들어나가면 많은 부분이 제대로 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한다.”

"누가 시장이 되든, 지자체 장이 되든간에 시민이 가려워하는 부분을 긁어주는 사람이 돼 그런 부분에서 같이 고민하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