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영결식 치러져
상태바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영결식 치러져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4.12.28 23: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가족, 시민 등 500여명 참석... 일부 유가족 “진상규명 먼저” 불참

세월호 참사로 인해 변을 당한 일반인들에 대한 영결식이 인천서 열렸다.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열린 영결식에, 일부 유족들은 진상조사 이전에 영결식부터 치르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불참했다.
 
27일 인천시청 앞 미래광장에는,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인해 희생당한 일반인 희생자의 합동 영결식이 치러졌다. 참사가 발생한 지 정확히 256일이 되는 날이었다. 승객들을 구조하다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세월호의 승무원 고 박지영 씨를 포함한 26명이 대상이었다.
 
이날 영결식은 세월호 참사로 인해 발생한 유족 일부가 중심이 되어 구성된 ‘세월호 사고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주관하고 행정자치부가 이를 지원하며 이루어졌다. 유가족 대책위를 비롯해 유정복 인천시장과 정홍원 국무총리, 정종섭 행자부장관 등 약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정 장관은 이날 추도사에서 “희생자들은 우리의 귀중한 이웃이며 형제이고 자매들이었는데 희생을 당해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할 길이 없다”며 “이 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세상에 남은 우리부터 사회 안전에 온 힘을 다하겠다.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대책위의 정명교 대변인은 “아직 진상규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가족들이 지금도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그 슬픔에 잠겨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현실을 벗어나 유가족의 의지와 용기를 국민 앞에 보여주기 위해 영결식을 치르자 결정했다”며 “돌아가신 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정부는 안전한 대한민국 건설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때 정부 인사들의 추도사에도 꿈쩍하지 않던 일부 유가족들이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정부인사들과 유가족들이 영정 앞에 헌화할 때 유가족들의 오열은 더 극에 달했다. 정부가 영결식을 지원했지만 가족을 잃은 슬픔은 그 무엇으로도 대신할 수 없었다. 이후 희생자들의 영정은 한명 한명 인천가족공원 만월당으로 옮겨졌다. 영정은 차후 추모관을 건립 때까지 이곳에 임시 안치되다 추모관 완공 이후 최종 안치될 예정이다.
 

 
한편 희생자 일곱 가족은 “우리는 진상규명 없는 영결식을 원하지 않는다”는 제목을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진상규명를 비롯해 이 참사를 완료하지 않은 시점에서의 영결식이 이르다는 것이다.
 
이들은 보도자료를 통해 “세월호 참사가 누구의 잘못인지 밝혀지지 않았고, 여전히 실종자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어찌 자식을 이렇게 허투루 떠나보낼 수가 있겠는가”라며 “특히 세월호 참사의 진상조사와 지원 방안을 위한 특별조사위원회가 내년 1월 가동되는데 그전에 갑자기 영결식을 치르겠다고 하니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영결식을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행정자치부를 통해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고 들었고 이 과정에서 대책위 부위원장이 임의로 결정을 하고 통보하는 일도 있었는데 모든 논의과정과 최종결정은 유가족과 협의해 나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며 정부가 영결식 날짜를 성급히 공개하고 진행했다 주장했다.

영결식에 불참한 희생자 유가족들은 이어 “오늘의 이 비극이 왜 일어났는지 그 이유조차도 모르는 유가족들에게 영결식과 같은 중대한 일을 보다 세심하게 협의하지 않고 결국에는 저희가 받아들일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을 무겁게 받아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