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동물보호센터 부지 못찾아 고심
상태바
인천시, 동물보호센터 부지 못찾아 고심
  • master
  • 승인 2011.10.20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유기동물 5천500마리 - 60% 이상 안락ㆍ자연사

인천시내에 버려지는 애완동물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인천시가 동물보호센터 건립을 위한 부지를 수년째 확보하지 못해 부심하고 있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서 주민 신고로 포획된 유기동물은 지난 2003년 787마리였지만 불과 5년 만인 2008년 4천664마리로 7배 증가했다. 이후에도 2009년 4천917마리, 지난해 5천524마리로 계속 늘고 있다.

유기동물은 일부 고양이를 제외하면 모두 애완견이다.

인천시와 일선 자치구는 동물보호법에 따라 유기동물을 1개월간 공고한 뒤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일반인에게 분양하거나 안락사시키고 있다.

그러나 병에 걸린 동물이 많고 보관장소 수용능력이 부족해 포획된 유기동물의 60% 이상이 죽고 있다.

지난해 포획된 5천524마리의 조치 결과는 안락사 1천710마리, 자연사 1천676마리, 분양 1천50마리, 주인 반환 427마리 등으로 집계됐다.

시는 인천시수의사회가 지난 2006년 계양구 다남동 동물보호소에 의존하고 있지만, 시 단위 광역동물보호센터 건립이 시급한 것으로 보고 지난 2008년부터 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2009년 11월 경기, 광주, 전남, 제주와 함께 국비지원이 확정돼 국ㆍ시비 6억원을 확보하고 부지 물색에 나섰다.

그러나 동물보호센터 후보지로 검토한 국ㆍ공유지 6곳에 대해 관련 기관ㆍ부서에서 소음과 악취 등으로 집단민원 발생이 우려된다며 반대해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동물보호센터가 주민들에게 혐오시설로 인식돼 부지를 확보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면서 "유기동물에 대한 치료와 격리사육 등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한번에 200~500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동물보호센터를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건립하겠다"라고 말했다.

시는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반려 목적으로 가정에서 기르는 생후 3개월 이상된 개'를 관할 구청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지만 19만 마리로 추산되는 시내 애완견의 37%인 7만 마리만 등록한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