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의 대중일보 승계, 인정못해!"
상태바
"경인일보의 대중일보 승계, 인정못해!"
  • 이장열 기자
  • 승인 2013.09.12 20:0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시민문화단체 성명 "인천지역사 심각한 왜곡"
12일 인천지역 문화시민단체(이하 인천시민문화단체)가 성명을 내고, 최근 경인일보가 대중일보 지령을 지역의 공론화과정도 없이 일방적으로 선언하면서 지령을 승계한 것은 인천 지역사와 인천 언론사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라고 강력하게 비판하며, 경인일보사에 대해서는 이와 관련된 대시민공개토론회를 개최하자고 제안하고 나섰다.
 
인천문화단체는 성명서에서 "㈜경인일보사가 9월 1일을 기하여 1945년 10월 7일 창간된 <대중일보>의 지령을 승계하여 “1945년 9월 1일을 창간일로 선언"한 것은 한마디로 느닷없고 허점 투성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방지 통폐합의 실제 사건을 간과한 행위이며. 아울러 대중일보의 역사를 경인일보사가 독점하는 사리에 맞지 않는 태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최근 경인일보사의 선언으로 "경인일보는 해방 이후의 최초로 발간된 신문"으로 둔갑하게 됐다.  

인천시민문화단체는 "해방 후 지방지로서는 전국 최초로 인천에서 종합일간지로 발간된 진보적 신문인 <대중일보>의 역사는 인천이 공유해야 할 공공유산"이라고 규정하고, 이에 대한 역사적 승계에 나서기 앞서 엄밀하고 객관적인 검증과 함꼐 지역 사회의 공론화 과정은 필수인데도 불구하고 경인일보사는 일방적으로 인천지역사회에 선포한 일은 언론사의 기본 정신에도 벗어난다고 비판했다. 
 
이어 "현재 본사를 수원에 두고 있는 ㈜경인일보사가 인천지역 언론의 역사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일보>의 지령을 승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납득하기 어렵"고 "특히 창간일을 “1945년 9월 1일”로 표기한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민문화단체는 " <경인일보>의 <대중일보>지면 승계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 1973년 9·1지방지 통폐합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대시민 공개토론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하면서 만약 "㈜경인일보사가 우리 시민·문화단체의 이러한 제안조차 무시한다면 우리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독자적 행동에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성명서 전문>
'경인일보'의 '대중일보' 지령 승계, 인정할 수 없다!
치열한 자기반성과 공개토론회 개최를 요청한다!
- 경인일보의 대중일보 지령 승계 선언에 대한 시민·문화단체의 입장 -
 
1. ㈜경인일보사가 9월 1일을 기하여 1945년 10월 7일 창간된 대중일보의 지령을 승계하여 “1945년 9월 1일” 창간을 선언하고 나섰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 1945년 9월 1일보다 빨리 창간된 신문은 없다. 최근 느닷없이 경인일보가 해방 이후 최초로 발간된 신문임을 선언한 것이다. ㈜경인일보사의 이번 선언은 자칫 유신정권의 반민주적인 ‘一道一社’ 지방지 통폐합조치에 따라 인천지역에서 발간되던 경기매일신문과 경기일보가 강제 폐간되었던 1973년 9월 1일 지방지 통폐합의 역사를 누락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지방지 통폐합의 실제적 사건을 간과하면서 대중일보의 역사를 ㈜경인일보사가 독점하는 것도 사리에 맞지 않은 태도다. 따라서 ㈜경인일보사의 일방 선언은 허점 투성이기에 받아들이기 어렵다. 인천지역사 및 언론사와 관련된 문제는 신중한 연구와 성찰이 필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2. 해방 후 지방지로서는 전국 최초로 인천에서 종합일간지로 발간된 진보적 신문인 대중일보의 역사는 인천이 공유해야 할 공공유산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굴절된 한국현대사는 대중일보의 전통을 인천지역 언론사가 이어받지 못하도록 단절과 폭력을 강제한 바 있다. 1973년 유신정권 정보기관의 강압과 일부 반민주적 언론인들에 협잡에 의해 주도된 9·1지방지 통폐합이 바로 오욕의 역사이다. 반민주적 유신정권의 통치 효율성을 위해 ‘一道一社’라는 논리로 지방지 통폐합 조치를 강제함에 따라 인천지역의 대표적 언론인 경기매일신문(대중일보의 후신)과 경기일보가 강제 폐간 조치되는 아픔을 겪었다. 그러나 9·1 지방지 통폐합 과정은 아직도 온전히 그 실체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강제한 언론 통폐합과 버금가는 유신정권의 반민주적 9·1지방지 통폐합 조치에 대하여 국가는 이제라도 전면적인 조사와 더불어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과 명예회복에 나서야 한다. 우리는 이번 일을 계기로 9·1지방지 통폐합의 역사를 바로잡는 역사바로세우기 운동에도 나설 것이다.
 
3. ㈜경인일보사가 대중일보의 지령 승계의 진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최소한 지역사회에 공론화과정을 거쳤어야 했다. 그러나 ㈜경인일보사의 이른바 ‘대중일보 뿌리찾기 선언’은 2년 전 경인일보사 주최의 자체 토론회 이외에는 공론화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인일보사에서는 자사 지면을 통해 대중일보가 경인일보엄밀한 검증과 연구를 거치지 않은 논리의 비약이다. 1973년 9·1지방지 통폐합 조치로 인천지역은 이후 15년 동안 지방지가 없는 언론공백기를 겪어야 했다. 또 9·1조치로 인해 일순간에 일자리를 잃은 언론인들과 가족들의 아픔은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인일보사가 성급하게 대중일보의 역사를 형식적 접근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4. 우리는 현재 본사를 수원에 두고 있는 ㈜경인일보사가 인천지역 언론의 역사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일보의 지령을 승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납득하기 어렵다. 특히 창간일을 “1945년 9월 1일”로 표기한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 ㈜경일일보사는 창간 68주년을 선언한 올해 수원에서 전직원이 참가하는 창간기념식을 ‘9월 1일’에 맞추어 개최한 바 있다. 경인일보는 사고를 통해 ‘9월 1일’을 창간일로 고수하는 이유를 “경인일보가 떠안을 수밖에 없는 1973년 9월 1일 언론 통폐합의 아픔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함”이라고 표방하고 있지만, 경인일보사가 과연 그 아픔을 위해 어떤 일을 하였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그 아픔을 안다면 이처럼 성급한 선언을 인천지역사회에 일방적으로 선포해서는 안 된다!
 
5. 이번 ㈜경인일보사의 ‘대중일보 뿌리찾기 선언’ 파동이 그나마 의미 있는 것은, 지역언론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지역언론과 지역시민사회가 건강한 긴장과 상호견제 속에 발전할 때, 그 지역사회도 더 한층 성숙한 사회가 될 것이다. 경인일보의 ‘뿌리찾기 선언’을 계기로 인천 시민사회도 지역언론에 대한 건강한 비판적 독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첫 계기로 우리는 경인일보의 대중일보 지면 승계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 1973년 9·1지방지 통폐합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대시민 공개토론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하며, ㈜경인일보사의 조속한 답변이 있기를 바란다. 만약 ㈜경인일보사가 우리 시민·문화단체의 이러한 제안조차 무시한다면 우리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독자적 행동에 나설 것이다.
 
2013. 9. 12.
 
가톨릭환경연대, 경인여대교수협의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협회인천지부, 사제연대, (사)인천민예총, (사)인천작가회의, 생명평화기독연대, 스페이스빔, 언론시민모임(준), 인도주의의사실천협의회인천지부, 인천감리교사회연대, 인천녹색소비자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녹색회, 인천민중교회운동연합, 인천생활협동조합협의회, 인천여성민우회, 인천비정규노동센타, 인천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인천환경운동연합, 인천도시공공성연대 사람과터전, 인천골목문화지킴이,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인천지부, 주거복지센타, 청솔의 집, 희망을만드는마을사람들, 터진개문화마당 황금가지<이하 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2013-09-13 11:53:58
역사왜곡이 유행인가? 헐~
개나 소나 역사 왜곡을 밥먹듯이 하네 ..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