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타한 폭우... 피해집계액은 고작 ‘25억’
상태바
인천 강타한 폭우... 피해집계액은 고작 ‘25억’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7.07.28 15:04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도 현재까지 지원계획 없어... 시 “재난지역 신청 수준 아니다”

23일 폭우로 물에 잠겼던 국철1호선 간석역 인근 당시 현장. ⓒ안흥국

 
지난 23일 인천을 강타한 집중폭우로 인천지역 전역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지만, 인천시가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신청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유가 ‘침수로 인한 피해금액이 적다’는 것인데 시가 집계한 피해액이 25억 원 선에 그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에서 “맞게 잡은 거냐”는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3일의 폭우가 원인인 피해 중 28일까지 집계된 피해 상황은 인명 피해 1명(사망), 주택 3,359동, 상가 778동, 도로 68곳 등이다. 군·구별로 따져보면 주택과 상가를 포함해 1,217동이 침수된 남구 지역의 피해가 가장 많았으며, 남동구(1,167동), 부평구(1,060동)는 모두 1천 동이 넘게 피해를 입었다. 서구에서도 745동의 피해 상황이 집계됐다.
 
인천시에 따르면 이렇게 침수로 인한 관내 총 피해 금액은 25억2,300만 원이다. 침수된 주택에는 군·구를 통해 한 가구당 100만 원의 재난지원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그러나 침수 피해가 인천 전역에서 일어났던 점을 감안하면 인천시의 집계액이 ‘뭔가 잘못된 것은 아니냐’는 의문과 함께 ‘정부의 인천홀대론’ 등이 시민단체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의 경우 주택침수 등 외 공공시설 등에서 발생한 피해가 없고 피해액 자체도 그렇게 큰 편이 아니어서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신청을 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 복구인원 및 장비는 시와 일선 군·구 공무원 약 4천여 명과 복구 장비(양수기 등) 약 400여 대가 동원돼 현재 80%가 넘는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의 집중폭우로 피해가 컸던 충북 청주와 괴산군, 충남 천안 등을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 주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은 물론 각종 세금과 공공요금 감면 등의 혜택을 준 것과 달리, 정부는 인천지역을 향해서는 관망만 하고 있는 상태다.
 
물론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지 않는다 해도 지난 3월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소방당국 추산 피해액 약 6억 5천만 원) 때 정부가 내린 특별교부금(당시 10억 원)의 방식을 통해 지원하는 방법도 없진 않다. 그러나 이번 폭우피해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은 없다. 인천시의 경우 관내 피해 기업에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는 등 활동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정부에 대한 요구의 의지는 없는 상태다.
 
인천시가 잡은 피해 집계도 올라가고 있다. 집중호우가 내렸던 그 이튿날인 24일에는 2,778동으로 주택 및 상가의 피해집계가 잡혔던 것에 비해 26일 기준으로 4,200건이 넘었다. 시가 집계한 25억 원의 피해액보다 실질적으로 더 늘어날 수도 있는 상황. 시 관계자는 “침수피해가 난 경우 해당 입주민이 직접 신고를 해야 집계에 반영되는 만큼 향후 더 늘어날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고 밝혔다.
 
인천경실련 측은 “재난 없는 안전도시를 구축하겠다는 유정복 시장의 약속과 달리 여전히 인천은 재난 대응이 부실한 도시라는 점을 이번 폭우가 증명한 셈”이라며 “관내 피해 영역이 거의 전 지역에 걸쳐 형성돼 있는데 전체 25억 원이라고 하면 과연 그걸 누가 납득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지윤 2017-08-23 10:05:14
동양장 사거리의 소상공인들과 병원(나누* 병원), 침수차량의 피해만 집계해도
몇십억일텐데... 피해 기업에 경영안정자금이란것도 있으면 기업에 고지를 해줘야 신청할 것이 아닌가 싶네요~

문미정 시민기자 2017-07-29 15:43:58
말도 안되는 집계네요. 저는 아는 집만 해도 수십채인데...

서장원 2017-07-28 22:53:10
적극적으로 나서서 피해 집계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피해를 어디에 신고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만일 수재피해 지원을 한다고 저극적으로 알리면 피해액은 더 늘어 날 것이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