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화약고, 송도LNG기지는 안전한가?
상태바
인천 화약고, 송도LNG기지는 안전한가?
  • 이장열 기자
  • 승인 2014.05.14 1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의 안전현안 점검 ②송도 LNG기지 안전성 문제

송도LNG 기지.jpg
송도 LNG기지 전경

국제도시 송도에는 한국가스공사의 송도LNG기지가 자리 잡고 있다. 수도권에 난방용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1997년에 처음 설치됐다.

 

국가기반시설인 송도LNG기지는 당시 위험시설로 분류돼 육지에서 18km 떨어진 곳에 저장탱크 3기를 건설했고, 증설을 거듭해 현재 20기가 운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한국가스공사는 2018년까지 저장탱크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문제는 송도 경제자유구역이 지속적으로 매립되면서 경제자유구역에서 LNG인수기지가 불과 2km 남짓에 자리잡게 된다는 데 있다.

 

앞으로 송도 10공구가 2020년까지 1, 2단계 매립이 완료되면 불과 2Km 거리에 송도LNG생산기지가 눈 앞에 둘 상황이 현실화될 것이다. 따라서,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은 위험시설을 곁에 두고 생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2007년에 송도 LNG기지 20기 가운데서 4기의 저장탱크에서 가스가 유출된 사건이 발생해 시민들을 크게 불안케 한 사고가 일어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의 누출사건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들이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의혹과 불안을 증폭시켰다. 이 사고 이후에 한국가스공사는 인천시와 안전협의체를 구성해서 분기별로 안전 점검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그만큼 생산기지에 대한 인천시민들이 느끼는 위험 강도가 높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송도 LNG기지를 처음 설계할 때만 해도 18Km 정도 떨어지면 그나마 육지로부터 안전할 것이라는 예상에서 출발했지만, 항로 준설을 하면서 생산된 토사를 투기하면서 매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결국 경제구역계에서 불과 2km 밖에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며 송도LNG 건설 계획이 멀리 내다본 것은 아니었던 것만은 분명하다고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송도 10공구는 아직 완전히 매립된 상태는 아니다. 준설토로 매립하면 그 땅은 해양수산부 소유로 된다. 결국 송도 10공구는 잠정적으로 인천항만공사 소유가 될 것”이라며 송도LNG생산기지에 대해 인천시가 관리할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WEB_인천 신항 조감도 (6).jpg


현재 경제자유구역법에는 경제구역계와 인접한 2km 범위 내에 들어서는 시설에 대해서는 강제 조항은 아니지만, 경제자유구역에 취지에 맞는 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권고하는 조항이 들어 있다.

 

하지만, 송도LN생산기지와 인천시 사이에 있는 송도 10공구가 해수부 땅으로 자동 지정되기 때문에 인천시가 어떤 방식으로도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다는 것이 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송도LNG생산기지 안전 문제는 한국가스공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맡고 있고, 인천시는 소관 부서인 에너지정책과가 송도LNG생산기지와 협의만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시 에너지정책과 담당자는 “13일에는 송도LNG생산기지를 방문해서 여러 가지 안전 실태 점검을 했다. 산업통상부 차원에서 앞서 장관도 직접 방문해서 안전 관련 매뉴얼 점검을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가스공사에서도 가스 관련 사고를 예방하는 매뉴얼에 부족함이 없는지 꼼꼼하게 다시 살피고 새로운 매뉴얼을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 송도LNG기지 안전관리과 담당자는 “이 기지는 국가기반시설로서 안전 사고를 대비해서 ‘가스분야 현장조치 행동메뉴얼’을 갖추고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만약 상황이 발생하면 재난통제단을 구성하고, 자체소방대가 출동해서 초기 진압을 하도록 했다"고 언급하면서, "현재 전문소방용역업체가 관리를 맡겨서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인천공단 소방서와도 매년 합동훈련을 해서 안전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월호 대참사를 계기로 산업통상자원부는 기반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있고 있다. 특히 송도LNG생산기지에 장관이 직접 방문해 안전 점검을 주문한 것은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험시설이 있다는 이유일 것이다.

 

인천에 위험시설 송도LNG생산기지가 송도국제도시에 바짝 놓여 있는 상황에서, 세월호 참사를 통해서 본 국가 재난 대응에 구멍이 난 상황을 눈으로 확인한 송도 입주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인천 땅에 위험시설인 송도LNG생산기지가 존재함에도 인천시가 인천시민들의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와 요구를 한국가스공사에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할 수 없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안전관리 체계의 구조적 문제다. 앞으로 해당 지자체가 위험시설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안 등 제도적 보안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도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개발하면서 안전을 고려하지 않고 무계획적으로 매립해 땅을 조성하겠다는 발상으로 추진하다 보니 송도신도시와 불과 2km에 초대형 위험시설인 송도LNG생산기지가 들어서게 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인천시와 경제자자유구역청은 이번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송도경제자유구역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