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인증 北 연계 시도
상태바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인증 北 연계 시도
  • 배영수 기자
  • 승인 2018.07.13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에 인증 신청 후 ‘황해도 연결지질’ 명목으로 교류 시도

백령도 두무진 전경. ⓒ문화재청


 
인천시가 추진하는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인증’ 사업에 대해 향후 북한과 연계하는 방안을 시도 중이다. 이 일대 지질이 황해도와도 연결돼 있는 만큼 공동연구 등 연계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1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옹진군 백령도와 대청도, 소청도 일대 지질명소 10곳 총 66.84㎢에 대해 환경부에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이달 중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백령도 두무진과 용틀임바위, 대청도 농여해변 등 후보지 선정이 최근 마무리돼 현장 실사와 인증 절차가 남아있다.
 
환경부는 지질 분야와 관련해 세계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해 교육 혹은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인천을 포함 16개 구역이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받았거나 현재 추진 중에 있고, 제주도와 경북 청송군 등은 세계지질공원 인증까지 받았다.
 
시의 자체조사에 따르면 백령도와 대청도는 남한 땅에서 유일하게 10억 년 전·후의 원생대 지층을 갖고 있어 이를 통해 원생대 지질사 규명이 가능한 곳으로 꼽힌다.
 
시는 백령도와 대청도가 지리적으로 북한 황해도와 가까운데, 백령도와 약 10㎞ 떨어진 북한 황해도 남단 장연군 장산곶에서도 원생대 지층이 관찰되고 있고 백령·대청 일대의 대리암 지대(학계 등에서는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로 부름)가 황해도·평안도 일대 지질과도 연결돼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때문에 시는 이 점을 명목 및 매개로 삼아 남북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변수 없이 오는 9월 환경부로부터 국가공원지질 인증을 받으면 대한지질학회를 통한 남북 공동 학술연구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현재 시점으로 백령·대청지역 및 황해도 남단 지역 지질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는 상태인데, 국가지질공원 인증과 관련해 연구 용역을 했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국책연구기관임)’에도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 밝혔다.
 
또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이 환경부 인증을 통과한 이후로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UNESCO Global Geopark) 인증을 추진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북측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시는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문재인 정부 2년차인 올해 4·27 판문점 선언 및 이후 전개된 북미 정상회담 등을 통해 남북평화 분위기가 도래한 데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서해평화시대’를 공언한 만큼 관련된 일련의 전반 사업들이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이렇게 남북 간 지질공동연구 등이 추진되면 시는 서해지역을 중심으로 남북을 오가는 조류 230여 종 및 점박이 물범 등에 대해서도 공동 연구 및 보호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 4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회원국으로 가입했고 최근 북한 람사르습지인 문덕지구에 대한 현지 조사도 진행되는 등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면서 “민간 연구단체를 통해 학술 교류를 추진하고 인천시와 북한이 공동으로 중장기 추진할 수 있는 교류 사업도 찾아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