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아름다이 주어진 꿈빛
상태바
삶이란 아름다이 주어진 꿈빛
  • 최종규
  • 승인 2011.09.21 0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화책 즐겨읽기] 데즈카 오사무, 《불새 1》

 나이든 분들은 우리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이 아이들하고 함께 다닐 수 있는 이때가 가장 즐겁다’고들 으레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이 어릴 때 말고는 함께 다니거나 함께 얘기하거나 함께 살기 어렵다고들 합니다.

 돌이키고 되새길 일입니다. 생각해 보면 나부터 내 어버이하고 한집에서 함께 살아가지 않을 뿐더러, 일찌감치 어버이 집을 나왔습니다. 어버이하고 함께 마실을 다닌 지는 참으로 오래되었고, 어버이와 얘기꽃을 피운 적마저 참 드물다 할 만합니다.

 예전에는 어느 집이나 다 이러하지 않았느냐 할는지 모릅니다만, 오늘날이라고 딱히 다르지 않다고 느낍니다. 예전에는 워낙 가부장 사회라는 틀이 딱딱하고 메말랐다지만, 더 예전에는 양반과 평민과 상놈을 가르는 틀이 훨씬 차디차고 무시무시했다지만, 오늘날에는 학력 사회이니 돈이니 아파트이니 비정규직이니 하면서, 오늘날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제 어버이하고 떨어져 지냅니다. 오늘날 아이들은 ‘아이들이 다 커서 제 어버이하고 어울려 다니기 싫다’고 하기 앞서, 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보육원에 넣거나 어린이집에 넣습니다. 고작 한두 살밖에 안 된 아이들을 아주 마땅히 보육원에 넣어야 한다고 여깁니다. 갓난쟁이한테 가루젖을 먹이고 종이기저귀를 대면서 보육원에 맡기고서, 아이 어머니나 아버지 모두 집 바깥으로 돈만 벌러 다녀야 옳다고 여깁니다.


- 그런 불지옥 속에서 늠름하게 날개를 퍼덕이는 한 생명이 있었다. 그것이 불사조, 또는 불새라 불리었다. (10∼11쪽)
- “매형은 누나를 구하기 위해 불새를 잡으러 갔어. 불새의 생피를 마시면 누나는 살 수 있어. 우라지 형이 돌아올 때까지 기운내.” (17쪽)
- “난, 보통 사람과는 달라! 난 이 야마타이 국의 여왕 히미코야. 영원히 젊고 아름다울 권리가 있다고.” (66쪽)


 나는 옆지기하고 네 식구를 꾸리며 살아가는 동안 생각합니다. 우리한테는 살림돈이 몹시 적어 아이들을 보육원에 넣을 만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골로 보금자리를 옮긴 지난해부터는 아이들을 보육원에 넣으면 돈 한 푼 들지 않는 줄 압니다. 시골에서는 자동차로 데리러 오고 데려다 주면서 보육원 삯을 받지 않습니다. 나라와 지자체에서 돈을 대니까요. 그렇지만, 도시를 떠나 시골에 보금자리를 틀어 살아가면서 두 어버이가 집 바깥으로 나돌며 돈벌이를 해야 할는지 아리송합니다. 두 어버이가 집 안쪽에서 깃들지 않고 바깥으로만 나돌려 한다면 애써 시골로 살림을 옮길 까닭이 없습니다. 그냥 도시에서 살아야지요. 도시에서 돈을 더 벌면서 더 번 돈을 더 많이 쓰면서 살아야지요.

 돈을 적게 벌면서 살아갈 만하니까, 돈을 적게 벌되 집에서 아이들하고 하루 내내 복닥일 수 있으니까, 마땅히 돈보다 아름다울 뿐 아니라, 돈으로는 아름다울 수 없는 삶이니까, 우리 네 식구는 조그마한 시골집에서 옹송그리듯 지내면서도 즐거운 나날을 누릴 만합니다. 온몸을 감싸는 보드라운 소리를 듣습니다. 온몸을 휘감는 보드라운 바람을 맞습니다. 온몸을 돌보는 보드라운 흙을 만집니다. 온몸을 아끼는 보드라운 햇살과 인사하면서 빨래를 넙니다.

 삶이란 아름다이 주어진 꿈빛입니다. 누구한테나 아름다이 주어진 꿈빛이기에 삶입니다. 이 삶을 한낱 돈만 벌자며 보낼 수 없습니다. 이 삶을 마음껏 누리고 신나게 즐겨야 합니다.

 아이들은 돈벌이를 하도록 태어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대학졸업장을 따도록 태어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도록 태어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얼굴이 예뻐지거나 몸매가 미끈해지도록 태어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아이답게 어린 나날을 누리면서 푸른 나날을 즐기다가 천천히 어른이라는 자리로 들어섭니다. 젊은 기운을 쏟으면서 어른한테서 슬기를 받아들이고, 몸소 삶을 치르거나 겪으면서 몸과 마음을 단단히 다스리는 결에 새롭게 아이를 낳아 어버이가 됩니다.


- “나, 물어 보고 싶은 게 있어. 인간은 왜 죽는 거지?” “그야 생명이 다하기 때문이지.” “그럼 죽은 사람은 어디로 가?” “흙으로 돌아가지.” (29쪽)
- “어째서 너만이 죽지 않고 우리 인간은 모두 죽는 거지? 이건 너무 불공평해.” “불공평하다고? 너희들의 소원은 뭐지? 죽지 않는 힘? 아니면 삶의 행복?” “난 그런 거 몰라! 하지만 너처럼 죽지 않는다면 행복할 거야.” “나기, 네 발밑을 봐. 벌레가 보이지? 그곳도 살아 있어. 고작 반년밖에 살지 못하지만. 잠자리는 그보다 더 짧아. 부모가 되고서는 고작 3일을 살 뿐이야. 그래도 그들은 자신들이 불행하다고 한탄하지 않아.” “벌레 따위가 뭘 알아!” (150쪽)


 가장 좋다 할 만한 집을 마련할 만한 우리 살림이 아닙니다. 밑돈은 적고 다달이 버는 돈 또한 아주 적습니다. 돈으로 치자면 극빈층이라 할 만합니다. 남들이 볼 때에는 바보스럽거나 어리석을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삶이란 남한테 보여주려는 삶이 아닙니다. 내가 살아가려는 내 삶입니다. 남 앞에서 자랑스러울 까닭이 없고, 남 뒤에서 부끄러울 까닭이 없습니다. 우쭐거리거나 내보이려는 삶이 아니요, 숨기거나 감추려는 삶이 아닙니다.

 나 스스로 즐거이 맞는 새 하루입니다. 나 스스로 내 아이들과 새롭게 빛낼 하루입니다. 돈이 없는 살림으로는 좋다 하는 시골마을 시골집을 얻어 지내기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가장 좋다 할 만한 시골마을 시골집이 아니더라도, 우리 네 식구 살가이 깃들어 따사로이 뿌리내릴 만한 시골마을 시골집을 찾을 수 있어요. 고즈넉히 깃들어 포근히 어우러질 어여쁜 시골마을 시골집이면 넉넉합니다.

 봄과 여름에는 멧새가 우지는 소리를 내내 들으며 잠들고 일어나서 뛰놀 만하면 됩니다. 가을에는 풀벌레가 노래하는 소리를 실컷 들으며 잠들고 일어나서 뛰놀 만하면 됩니다.

 자동차 소리도 오토바이 소리도 텔레비전 소리도 아닌 멧새 소리입니다. 개구리 소리입니다. 풀벌레 소리입니다. 짐승들 소리입니다. 바람과 비와 구름 소리입니다. 나뭇잎과 풀잎과 꽃잎 소리입니다.


- “만일 히미코 님이 대장의 부모 형제를 죽이라고 하시면, 그렇게 하시겠습니까?” “히미코 님의 명령은 절대적이다. 군인은 싸우는 게 임무야.” (49쪽)
- “나는 간호해 주면서 왜 우리 마을 사람들은 전부 죽였지?” “…….” “왜지? 이유가 뭐야!” “그야, 히미코 님의 명령이니까.” (92쪽)


 만화책 《불새》 1권을 읽습니다. 모두 열일곱 권(외전까지)으로 이루어진 만화책 《불새》는 1954년부터 1989년까지 그렸다고 하는데, 아쉽게도 마무리를 짓지는 못했습니다. 아마 데즈카 오사무 님으로서는 《불새》를 마무리짓고 싶지 않았을 수 있고, 낱권으로 이루어진 책 하나하나가 ‘이어지는 고리’이면서 ‘마무리’라 할 수 있습니다.

 데즈카 오사무 님은 당신이 일군 모든 만화가 ‘사랑’을 이야기한다고 했습니다. 굳이 데즈카 오사무 님 입을 빌지 않더라도 《아톰》이건 《블랙잭》이건 《리본의 기사》이건 《아돌프에게 고한다》이건, ‘사랑’을 발판으로 ‘사랑’이 얽히거나 이루어지는 사람들 삶을 이야기한다고 느끼면서 읽었습니다.

 다만, 데즈카 오사무 님 만화에서 드러나는 사랑은 ‘살을 부비거나 섞는 놀이’와 같은 사랑이 아닙니다. 새벽에 트는 동처럼 천천히 따스해지고, 어머니가 아기한테 물리는 젖처럼 언제나 포근한 사랑입니다. 입으로 읊거나 외치는 사랑이 아니요, 풋사랑도 짝사랑도 외사랑도 아닌 그저 사랑입니다.


- “내가 믿는 건, 우리 아빠나 엄마는 절대 목이 베일 만큼 나쁜 인간이 아니라는 거야!” (103쪽)
- “난 죽을 때까지 천 명이라도 낳을 거야. 그리고 그 아이들이 자라 다시 아기를 낳고, 그래서 몇 천 명이 되면 다시 마을이 생기는 거야.” “그러는데 몇 년이나 걸리는데?” “글쎄, 5백 년이나 천 년은 걸리겠지.” … “천 년 뒤면 누나는 벌써 죽고 없을 거야.” “그야 그렇지. 하지만 이 아이들의 손자의 손자의 손자는 살아 있을 거야.” (160∼161쪽)


 삶을 사랑하는 길을 보여줍니다.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을 보여줍니다. 사랑이 씨앗을 맺고 뿌리를 내리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삶을 사랑하는 아름다움을 들려줍니다. 사람을 사랑하는 즐거움을 보여줍니다. 사랑이 씨앗을 맺고 뿌리를 내리는 거룩한 꿈을 밝힙니다.

 삶을 사랑하지 못하는 슬픈 넋을 보여줍니다.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는 아픈 넋을 보여줍니다. 사랑이 씨앗을 맺고 뿌리를 내리는 이음고리를 깨닫지 못하거나 들여다보지 않는 어리석은 넋을 보여줍니다.


- “사루다히코, 난 당신이 좋아. 그래서 당신이 도망쳤으면 좋겠어.” “내, 내가 좋다고? 지금 그렇게 말했냐? 한 번만 더 말해 봐.” “좋아해! 엄청 좋아.” “한 번 더.” “이건, 절대 아무한테도 얘기하면 안 돼. 이번이 마지막이야.” “하, 한 번만 더 말해 줘.” “좋아해! 엄청 좋아해!” (175쪽)


 2002년에 열일곱 권이 옮겨진 뒤 금세 판이 끊어진 《불새》인데 2011년 2월에 아주 뜻밖에 아주 조용히 2쇄를 찍었습니다. 어디에서도 《불새》 2쇄를 찍었다는 소식을 들려주지 않았기에 1쇄 때에도 놓치고 2쇄 때마저 놓칠 뻔했습니다. 1쇄 때에 놓치고 오래도록 기다린 끝에 드디어 2쇄를 알고는 열일곱 권을 한꺼번에 장만합니다.

 나중에 우리 아이들이 크면 이 아이들한테 데즈카 오사무 님 만화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어 기쁩니다. 《아톰》만 보거나 《블랙잭》만 봐서는, 또 《아돌프에게 고한다》라든지 《메트로폴리스》나 《리본의 기사》만 봐서는, 데즈카 오사무라고 하는 만화쟁이 한 사람이 일본에 끼치고 한국에 미친 발자국이 무엇인지를 헤아릴 수 없습니다. 《붓다》에서 찬찬히 짚으려다가 그만 짚지 못한 아쉬운 고갱이를 받아먹으려면 《불새》를 읽어야 합니다.

 데즈카 오사무 님은 《아톰》이 아니라 《불새》 때문에 널리 사랑받을 만화쟁이입니다. 우라사와 나오키 님은 《아톰》을 발판으로 삼아 《플루토》라는 만화를 그렸는데, 우라사와 나오키 님이 더 깊은 그릇이면서 더 널리 사랑을 꽃피우는 만화를 그리려 했다면, 《아톰》이 아닌 《불새》를 다시 그리려 했겠지요.

― 불새 1 (데즈카 오사무 글·그림,최윤정 옮김,학산문화사 펴냄,2002.1.25./45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