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농다리' - 천년의 신비 간직한 돌다리
상태바
진천 '농다리' - 천년의 신비 간직한 돌다리
  • 이창희
  • 승인 2012.04.10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환경적인 공법 도입

사진:임영은

천년을 이어온 농다리는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의 굴티마을 앞에 있다. 멀리서 보면 다리가 아니라 마치 돌무더기처럼 보인다. 교각을 세우고 반듯하게 돌을 깎아 만든 다리가 아니라 돌을 원래 모양 그대로 쌓아 투박하기 때문이다. 겉모습은 듬성듬성 구멍도 뚫리고 발로 밟으면 삐걱거리며 움직인다. 큰 돌을 쌓고 그 사이엔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천년 세월을 이겨낸 다리다. 농다리의 ‘농’자에는 해석이 분분하다. 물건을 넣어, 지고 다니는 도구의 ‘농’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혹은 고려시대 임연 장군이 ‘용마’를 써서 다리를 놓았다는 전설에서 ‘용’자가 와전되어 ‘농’이 됐다고도 한다.

다리를 구성한 돌들 모양도 제각각이다. 모두 사력암질의 붉은색 돌을 사용했는데 깎거나 다듬지 않았다. 얼기설기 얹어 놓은 것으로 보이지만 강한 물살에도 떠내려가지 않는 과학적 원리와 함께 철학적 뜻까지 담고 있다. ‘조선환여승람’ 기록에 따르면 자석배음양, 즉 음양의 기운을 고루 갖춘 돌을 이용해 고려 때 축조했다고 한다. 28개 교각은 하늘의 기본 별자리인 28숙을 응용했고 장마 때면 물을 거스르지 않고 다리 위로 넘쳐흐르게 만든 수월교 형태로 만들어 오랜 세월을 이겨냈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가 기어가는 듯 구불거리는 모양으로 생긴 다리는 빠른 물살에 견디기 위한 구조다.

사진:임영은

또한 교각 역할을 하는 기둥들은 타원형으로 만들어져 물살을 피하고 소용돌이가 생기는 것을 막는다. 어눌하게 생긴 돌다리가 천년을 이어온 비밀이 바로 여기에 있다. 10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농다리는 지난 1976년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됐다. 당시만 해도 24간이 남아있던 것을 고증을 통해 최근 28간으로 복원했다.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구곡리에서 농다리를 건너면 나오는 미호천변은 1982년 댐 확장으로 수몰되기 전까지 농다리를 통해 구곡리와 왕래하던 마을이 있던 곳이다.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부잣집이 있었는데 동냥을 온 도사에게 밥은커녕 소여물을 줘 보낸 후 큰 물난리가 났다는 것이다. 베풀지 않고 살았던 부잣집은 마을이 수몰된 지금도 저수지 바닥에서 금방아를 찧고 있다고 한다.

또 저수지와 구곡리를 잇는 길을 뚫었는데, 이것이 용의 허리를 자른 격이라 비가 많이 오게 됐다는 얘기도 있다. 지금까지도 마을 노인들을 통해 구전되는 얘기들은 대부분 물에 대한 얘기다. 농다리가 생겨난 이유도 고려시대 부친상을 당하고 친정으로 돌아가는 여인이 물을 건너지 못하자 다리를 놓아주었다는 것에서 비롯되니 물과 마을에 얽힌 이야기가 농다리와 함께 천년을 전해온 것이다.

사진:임영은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상산 임씨의 집성촌이다. 고려 때부터 이곳에 자리 잡은 사람들은 지역을 가꾸는 데 앞장서고 있다. 천년을 이어온 다리라고 하지만 폭우가 내리거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일부 유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때마다 농다리보존회, 농다리지킴이회, 구산동향우회 등 농다리 관련 단체가 복구에 앞장섰다. 최근까지 유실로 인해 24간만 남았던 다리가 고증을 통해 28간으로 복원된 것도 지역단체의 역할이 컸다.

또한 동양 최고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려는 자치단체의 지원도 적극적이었다. 2000년부터 해마다 농다리 축제도 열린다. 농다리에 대해 알리기 위해 전시관도 만들었고 다리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도 만들어졌다. 살아서 농사를 짓기 위해 건너고, 죽어서는 꽃상여에 실려 건너는 사람과 공존하는 다리가 바로 진천 농다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