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 '9시 등교' 시행할까?
상태바
인천도 '9시 등교' 시행할까?
  • 이재은 기자
  • 승인 2014.09.17 2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찬성 vs 반대 의견분분, 인천학생들의 생각은?

MBN 캡쳐화면

지난 1일부터 경기도 내 초중고교 중 일부학교에서 ‘9시 등교’를 시작했다. 동참 학교는 전체 학교의 88.9%. 고등학교가 72.7%로 다소 저조하지만 도교육청은 ‘9시 등교’가 정착되면 고교 참여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9시 등교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한 이유는 ‘학생들이 원하기 때문’이다. ‘9시 등교제’는 학생들이 원하는 사안을 정책화한 최초의 사례로 언급된다.

시행 2주가 지났지만 여전히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찬반 의견은 분분하다. 하지만 ‘9시 등교’ 정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이 내달부터 시행하기로 했고, 광주는 검토 중, 제주도교육청은 늦어도 내년 3월에는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반대로 부산을 포함한 경남, 충북 교육청은 전국적으로 42.9% 달하는 맞벌이 부부를 생각하면 불가능한 일이라며 늦은 등교를 거부하는 입장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는 9시 등교제 확산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교총 안양옥 회장은 지난 16일 “중요한 국가교육정책인 만큼 공청회 등을 통해 교육계, 학부모, 학생, 교사 등의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야 한다”며 “등교시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대국민 공청회 개최를 청와대와 교육부, 국회에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이런 절차 없이 9시 등교가 강화되면 총력 투쟁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시교육청은 9시 등교를 염두에 두고 있을까.

교육청 김진철 대변인은 “아직은 9시 등교 시행을 고민하거나 추진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며 “타시도의 사례를 지켜보면서 차후 논의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이나 학부모, 시민단체의 요구가 높지 않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인천 지역 학생들은 오히려 학교측의 두발 규제 강화에 불만이 많다고 보고 있다. “모든 학교가 그런 건 아니지만 일부 학교가 마치 과거로 회귀하는 것처럼 엄격하게 두발을 제한하고 단속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교육청은 10월 25일 중고생 300여명을 초청해 두발자율화에 대한 원탁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학생들의 의견을 두루 들은 뒤 정책 반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초등생 자녀를 둔 학부모 박모 씨(35)는 ‘9시 등교’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아이들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서 게을러질 것”이라며 “주변에 물어보면 늦은 등하교를 싫어하는 학부모들이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반면에 남동고 김모 교사는 적극 환영한다. “9시가 아니라 9시 반, 10시로 더 늦춰야 한다”며 “아이들에게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게 성장에 도움이 된다. 야자와 보충을 없애고 7교시 수업을 마친 뒤 보내면 늦은 시간에 하교하는 것도 아니다”고 전했다. “오전에 졸거나 자는 아이들이 많다. 이른 시간에 학교에 오게 해서 붙잡아두는 것은 강요밖에 되지 않는다. 공부를 하든 안 하든 아이들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것이다.”

그는 또 청소년들은 어른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청소년기에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사립학교에서 1교시를 10시로 늦췄더니 얼마 후 아이들의 성적이 향상되고 대학진학률도 높아졌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충분한 수면과 아침식사, 점심시간에 단 몇 분 햇볕을 쬐는 것만으로 긍정적인 성격으로 바뀌고 안정된다고 한다. 아이들이 자괴감이 아닌 자긍심을 갖고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 등교시간 조정 권한은 학교장의 몫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당사자들이 공감하지 못하면 빛을 보기 힘들다. ‘좋다니까 밀어붙이자’ 식의 강압이 아닌 학생들이 원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와 재고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은 OECD 가입 18개국 중 최하위라는 통계가 있다. '9시 등교'에 대한 인천 학생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